|
종 류 |
용 도 |
A-1 |
프레스 및 전단기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는 형태로서 투광부,수광부(반사부), 콘트롤 부분으로 구성된 것 |
B-1 |
동력프레스 (슬라이링, 핀, 로울링키, 맞물림 클러치)에서 사용하는것으로 반드시 클러치 개조가 필요한 것 |
○ 광전자식 안전장치의 설치
- 광전자식 안전장치의 방호높이는 슬라이드 조절량과 스트로크 길이를 합한 것 이상이 되어야 한다.
- 광전자식 안전장치의 최저방호 한계는 다이 높이에서 슬라이드 조절량을 뺀 수치를 3으로 나눈 길이보다 적게 한계를 낮춰야 한다. 그러나 방호되지 않는 부분을 고정 가드나 커버로서 방호할 경우는 예외로 한다.
- 부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 투·수광기의 시험거리는 4.0m에서 시험하여 이상동작이 없어야 한다.
- 가벼운 충격에도 안전기의 성능이 보호될 수 있는 카바가 있어야 한다.
- A-2형의 경우는 클러치를 개조하여 프레스 램 하강시 광선을 차단하면 즉시 정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야 하며 클러치의 부착이 용이하고 동작에 확실성이 있어야 한다.
- 정전시 램의 정지, 동작등에서 작업자의 위험이 없어야 한다.
- 접촉기 용착시에는 작업에 안전을 기할 수 있는 회로가 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알려 줄 수 있는 표시 램프가 부착되어야 한다.
*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성능검정 승인된 제품만 사용할 수 있다.
○ 광전자식 안전장치의 장점 및 단점
장 점 |
단 점 |
- 시계를 차단하지 않아서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
- 확동클러치 방식에는 사용할 수 없다 (클러치개조시 가능) |
○ 광전자식 안전장치의 기능유지를 위한 점검사항
항 목 |
점 검 사 항 |
광선의 방호범위 |
1. 위험개소에 신체의 일부가 들어갔을 때 광선을 차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
안전장치의 작동 |
1. 광선을 1개씩 투광쪽에서 차광하여 표시램프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한다 |
프레스 와 연동 |
1. 차광한 채 조작단추를 눌러서 슬라이드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 한다. |
볼트, 핀등 |
1. 헐거움, 빠질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한다 |
프레스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양수조작식 안전장치는 2개의 누름단추 등을 양손으로 조작하는데 따라 슬라이드를 하강시키는 장치이며 다음 아래와 같이 구분될 수 있음.
○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종류
양수조작식 (급정지기구를 가진프레스) |
2개의 누름단추에서 손을 떼면 프레스의 급정지 기구가 작동하여 손이 금형에 도달하기 전에 슬라이드를 정지하는 방식으로 안전 1행정 운전방식이 있는 마찰식 클러치에 부착한다. |
양수기동식 (급정지기구가 없는핀클러치 프레스) |
손을 누름단추에서 떼어 금형의 위험의 위험한계에 손이 도달하기 전에 슬라이드가 하사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분당 행정수가 120 이상인 프레스에 사용된다 |
○ 안전거리
양수기동식 안전장치 |
Dm = 1.6 Tm 여기서 Dm :안전거리(핀클러치의 경우 단위 :mm) Tm :양손으로 누름단추를 눌렀을 때부터 슬라이드가 하사점에 도달하기 까지의 소요 최대시간(단위 : mm)
|
양수조작식 안전장치 |
D= 1.6(Tl+Ts) 여기서 D : 안전거리(단위 : mm) Tl+Ts : 누름단추등으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부터 슬라이드가 정지할 때 까지의 시간 (최대정지시간 단위 : mm) m = 1.6 Tm
|
그런데 이식에서 Tl은 안전장치의 Ts는 프레스 기계의 각각 고유성능 값으로 봄.
1.6은 프레스 작업자 손의 기준속도를 초속 1.6 m 로 본 것임.
○ 양수조작식 안전장치의 기능 유지를 위한 점검사항
부 위 |
점 검 사 항 |
1행정 1정기구 누름단추 등 |
- 누름단추를 누른 상태에서 1행정에 슬라이드가정지할 것 |
가동부분 (전자 스프링 당김식) |
- 맞물림 금구의 작동 정도를 본다. |
가동부분(공기실린더식) |
- 피스톤과 클러치의 연결부에 헐거움, 파손이 없을 것 |
클러치 복귀용 스프링(양수기동식) |
- 파손이 없을 것 |
공기청정장치 |
- 오일이 오일러에 가득 채워져 있을 것 |
전기계통 |
- 누름단추의 접속, 연결기, 케이블의 손상이 없을 것 |
볼트·너트 |
- 헐거움이 없을 것 |
프레스 가아드식 방호장치
○ 가아드식 안전장치의 종류
종 류 |
용 도 |
C-1 (가아드식) |
프레스 및 전단기 |
C-2 (게이트가이드식) |
특수목적외 프레스 |
○ 가아드식 안전장치의 안전조건
- 가아드는 금형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 가아드의 용접부위는 완전 용착되고 면이 미려하여야 한다.
- 가아드에 인체가 접촉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는 곳은 부드러운 고무등을 입혀야 한다.
- 게이트 가이드 방호장치는 가아드가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드를 동작시킬 수 없고 또한 슬라이드 작동중에는 게이트 가아드를 열 수 없어야 한다.
- 게이트 가아드 방호장치에 설치된 슬라이드 동작용 리미트 스위치는 신체의 일부나 재료등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가아드의 높이는 부착되는 프레스의 다이높이 이상(최소 180mm)으로 한다.
- 가아드의 폭과 사용되는 금형의 폭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한다.
금형의 최대폭(mm) |
700 |
600 |
450 |
300 |
200 |
100 |
가아드의 폭(mm) |
700 |
600 |
500 |
400 |
300 |
200 |
- 가아드의 폭 400mm이하의 것은 측방을 방호하는 가아드를 설치할 것
- 가아드에는 손이나 손가락이 위험한계에 닿지 않도록 틈새를 아래표에 의거하여 설치할 것
개구부의 틈새의 최대치수(mm) |
개구부에서 위험한계까지의 거리(mm) |
6 8 12 16 25 35 45 50 |
20 이하 20 이상 50 이하 50 이상 100 이하 100 이상 150 이하 150 이상 200 이하 200 이상 300 이하 300 이상 400 이하 400 이상 500 이하 |
○ 가아드식 안전장치의 장점 및 단점
장 점 |
단 점 |
ㅇ 완전한 방호를 할 수 있다. ㅇ 금형 파손에 의한 파편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한다 |
ㅇ 금형의 크기에 따라 가드를 선택 하여야 한다 ㅇ 금형 교환 빈도수가 적은 기계에 사용가능하다. |
○ 가아드식 안전장치의 기능 유지를 위한 점검사항
항 목 |
점 검 사 항 |
가아드와 클러치와의 연동 |
- 가아드가 위험부위를 차폐한뒤 슬라이드가 작동할 것 |
각부의 파손·마모 |
- 가아드에 파손등이 없을 것 |
프레스 수공구
○ 핀셋트류
용 도 |
소형재료를 취급할 경우 효과적이다 |
재 질 |
대나무, 강철 등 |
길 이 |
필요에 따라 20cm~25cm가 적당 |
○ 플라이어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대형의 재료를 지지하는데 광범위하게 활용
○ 수공구의 활용시 주의사항
■ 적절한 수공구를 제작한다
■ 수공구로 재료를 취급하는 습관이 되도록 훈련을 한다
■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항시 준비한다
■ 공구걸이 등에 정연히 정리해 두어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 가급적 많은 수량을 준비해 둔다.
프레스 부위별 위험요소
프레스 부위별 위험요소 | ||||
부 위 |
현 상 |
감지 및 검출 |
대책 및 조치 |
위험 요소 |
볼트 및 너트 체결부위 |
o너트이완 |
-너트이완 |
-재체결후 조임 |
낙하파손 |
모터부위
|
o우-웅 소리가 난다
o따르륵 소리가 난다
o찌익 소리가난다
|
-모터 -풀리와 휠의 직각도 이탈 -냉각팬의 조임 이탈 -베어링 이상 -v-벨트 경사걸이
-양쪽축의 평 행도 이탈
|
풀리축과 휠축의 평도 유지
-팬 조임용 세트 볼트 체결 -v-벨트길이 조정 -v-벨트진직도 유지 -양쪽 축 평행도 유지 |
모터소손,낙하 B/R 파손
소음, 팬 파손 모터 소손 모터 소손
소음 v-벨트 마모
|
V-벨트부위
|
o꼬이면서 Z자 회전한다
oV-벨트 실이 보인다
|
-모터 풀리 이동 -직각도 이탈 -V-벨트풀리 의크랙,칩, 흠이 있다 |
-휠과 풀리의 직각도 유지 -키의 이탈방지 -풀리 교환
|
풀리 비래 낙하
벨트 마모 동력저하
|
슬라이드 부위
|
o크랭크축 하강 시2중음이 발 생한다
|
-크랭크축 체 결용 조볼트 가 파손이나 이완됨 |
-볼트나 너트 교체
|
메탈카바가 비래, 낙하
|
기어부위
|
o기어가 상하로 뛴다 o기어메탈부위 의 황금색 흐 름이나가루가 보인다 |
-치합이 맞지 않다 -오일 및 그 리스 주입이 않되고 있다
|
-기어 교환 일 및 그리스 주입 순환 확인 -배관 및 호스 터짐 유무 확인
|
기어 크랙,파손 비산,낙하 메탈 및 B/R 파손
|
클러치 및 브레이크
|
o확동 클러치에 서 탕-탕하고 타음발생
o마찰클러치에 서 슬라이드 정지위치 틀림 |
-클러치,핀 삽입 상태 불량
-마찰판의 편마모
|
-크랭크축 정지위 치조정,브레이크 조정 지지스프링 파손 -마찰판마모도 및 정지 위치 조정 교환 |
2차 낙하발생, 연속 행정
스틱현상,협착 및 금형 파손
|
슬라이드 및 조정용 볼트
|
o볼트가 과잉 체결 되어있다
|
-슬라이드가 드르륵 떨며 작동함 |
-볼트 적정 체결
|
슬라이드 Gib 마모 정지 위치 변환 |
체결용스프 링와셔 |
o구배면에 평와 셔 사용 |
-평와셔 틈이 있다 |
-테이퍼와 와셔 사용 |
부품 낙하 볼트 파손 |
볼트고정
|
o지지용 로드로 용접 고정
|
-변형 현상이 있다
|
-볼트, 스토퍼를 부착하여 지지 시킬 것 |
가드 부품낙하 및 파손
|
너트이중 체결
|
o너트 이중체결
|
-너트두께가 얇은 것이 위쪽에 체결 |
-볼트 파손
|
-볼트 파손 부품낙하,비산
|
프레스 위험요인
○ 프레스의 위험요인]
o 프레스기에 가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개구부가 너무 크거나 옆면의 가드가 너무 좁은 것은 적당치 않다.
o 작업자의 손이 램아래에 있다.
o 성형된 제품을 제거할때 로드(rod)나 스틱(Stick)등의 공구를 준비하지 않았거나 미리 준비된 공구를 사용하지 않았다.
o 수인식 방호장치가 적당치 않았다.
o 양수조작 프레스 제어가 적절치 않았다.
o 손쳐내기식 가드가 적절하게 설치되지 않았다.
o 작업자가 프레스기를 조절하거나 금형을 바꾸거나 수리할때 동력을 차단하지 않았다.
o 송급 배출작업에 수공구를 사용하지 않았다.
○ 프레스 기계 및 행정길이에 따른 방호장치
구 분 |
방 호 장 치 |
o1행정 1정지식(크랭크 프레스) |
o양수 조작식, 게이트 가드식 |
o행정길이(Stroke)가 40mm이상의 프레스 |
o손쳐내기식, 수인식 |
o슬라이드 작동중 정지 가능한 구조(마찰 프레스) |
o광전자식(감응식 |
※ 일반적으로 자동송급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스는 방호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간주한다.
Roll Feeder는 재료(Strip)의 송급장치이다.
○ 프레스 방호장치의 장단점
수인식 방호장치 | |
장 점 |
단 점 |
o 슬라이드의 2차 낙하에도 재해방지가 가능 o 끈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수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 o 가격이 저렴하다 o 설치가 용이하다. |
o 작업반경의 제한으로 행동의 제약을 받는다. o 작업자를 구속하여 사용을 기피한다. o 작업의 변경시마다 조정이 필요하다. o 스트로크가 짧은 프레스는 되돌리기가 불충분 하다 |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 |
장 점 |
단 점 |
o 가격이 저렴하다 o 설치가 용이하다. o 수리·보수가 쉽다 o 기계적인 고장에 의한 슬라이드의 2차 낙하에도 재해방지가 가능하다. |
o 측면방호가 불가능하다. o 작업자의 정신집중에 혼란이 온다. o 스트로크 끝에서 방호가 불충분하다. o 작업자의 손을 가격하였을때 아프다. o 행정수가 빠른 기계에 사용이 곤란하다. |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 |
장 점 |
단 점 |
o 행정수가 빠른 기계에 사용할 수 있다. o 다른 방호장치와 병용하는 것이 좋다. o 반드시 양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정상적인 사용하에서는 완전한 방호가 가능하다 |
o 행정수가 느린기계에는 사용이 부적당하다. o 기계적 고장에 의한 2차 낙하에는 효과가 없다
|
광전자식 방호장치 | |
장 점 |
단 점 |
o 시계를 차단하지 않아서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o 연속 운전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
o 핀클러치 방식에는 사용할 수 없다. o 작업중의 진동에 의해 위치변동이 생길 우려가 있다. o 설치가 어렵고 기계적 고장에 의한 낙하에는 효과가 없다. |
가이드식 방호장치 | |
장 점 |
단 점 |
o 완전한 방호를 할 수 있다. o 금형 파손에 의한 파편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 한다. |
o 금형의 크기에 따라 가드를 선택 하여야 한다. o 금형 교환 빈도수가 적은 기계에 사용이 가능 하다. |
프레스 안전거리
○ 광전자식 안전장치의 안전거리 산출방법
■ D = 1.6 × (T2 + T0)
T2 : 응답시간 100msec
T0 : 브레이크 정지시간 205msec
■ 장착거리
a 〉 D (A ; 슬라이드 전면에서 수평거리)
= 550 〉 488〔OK〕
■ 필요한 광축수
40(N-1) 〉 ST+Ad
N : 회전수
ST : 스트로크
Ad : 슬라이드 조절량
○ 양수조작식 안전장치 안전거리 산출방법
■ D = 1.6 × (Tl + Ts)
Tl : 안전거리(mm)
Tl + Ts : 누름버튼에서 손이 떨어지고 슬라이드가 정지 할 때까지 시간
■ 누름버튼 설치위치(C형)
D 〈 a + b + ⅓Led
프레스 재해사례 및 주요 점검사항
○ 프레스 재해사례
(가) 금형이 불시 낙하로 인한 재해
① 금형설치중 금형낙하로 사망
② 금형설치후 금형낙하(설치불량)로 수지절단
③ 하형설치중 슬라이드하강에 의한 사망
(나) 작업중 수지절단
① 금형사이에 수지 협착 절단
② 2인 공동작업중 후면 가공재 제거중 슬라이드하강 사망재해
③ 고장난 기계정비중 슬라이드 하강 두개골 파열
○ 기계본체 주요 점검사항
① 크랭크 축 또는 플라이휠 기타 동력전달장치의 이상유무
② 클러치 브레이크 기타 제어계통 이상유무
③ 1행정 1정지기구 급정지기구 및 비상정지장치 이상유무
④ 연결봉 및 슬라이드관계 이상유무
⑤ 전자밸브 압력조정밸브 기타 공압계통 이상유무
⑥ 전자밸브 유압펌프 기타 유압계통 이상유무
⑦ 리미트스위치 릴레이 기타 전자계통 이상유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