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가지 현란한 색이 사람의 눈을 멀게 하고, 다섯 가지 화음이 사람의 귀를 먹게하고, 다섯 가지 달가운 맛이 사람의 입을 상쾌치를 못하게하고, 馬(마)를 달려 狩獵(수렵)을 하는 행위가 사람의 마음을 발광을 하게 하고 얻기 어려운 財貨(재화)가 사람의 행동을 방훼를 한다 이래서 聖人(성인)은 배를 위하고 [배를 위하기 위하여선] 耳目(이목)을 위하지 않는다 하니,
그러므로 저를 버리고 이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所以(소이) 實(실) 속을 차리는 행위를 하지 아무 실속도 없는 마음만 어지럽히는 眩亂(현란)한 誘惑(유혹)에는 誘導(유도) 되지 않는 다는 말씀이리라
* 本文第十二章= 다섯 가지 빛깔이 사람의 눈으로 하여금 멀 게하고(*황홀한 색에 빠지면 빛의 판단을 흐리게 한다) 다섯 가지 음향이 사람의 귀로 하여금 먹게 하고 (*음률가락이 지극히 황홀하면 제대로 음률에 참 맛을 분간 못한다는 뜻) 다섯 가지 맛이 사람의 입으로 하여금 맛을 잃어버리게 하고(*여러 맛을 음미 하다보면 맛에 깊이 젖어 제멋을 식별해 내기 어렵다) 말달려 사냥함은 사람의 마음으로 하여금 미쳐 날뛰게 하고 얻기 어려운 보화는 사람의 행위로 하여금 방해 꺼 리를 일으킨다 이래서 성인이 배를 위하고 눈을 위하지 않는 까닭이 여기에 있는 것이니 저쪽을 버리고 이쪽을 취함인 것이다
* 청황적백흑등 오색은 사람의 눈으로 하여금 현란하게 해선 그 색상의 분간을 제대로 못하게 멀게 하고, 궁상각치우 등 다섯 가지 음률은 사람의 귀를 현란하게 하여선 멀게 한다 달고 쓰고 맵고 시고 짜고 등 다섯 가지 맛은 사람의 입으로 하여금 그 떫게 한다 [땡감이 사람 입을 떫게 하 듯 하면 다른 것을 금새 먹음 그 무슨 맛인지를 분간할 수가 없다]
말 몰아 사냥하면 사람의 마음으로 하여금 발광하게 한다, 얻기 쉽 잖은 財貨(재화)는 사람의 가고자하는 길을 훼방을 놓는다 , 이래서 성인은 뱃심의 알참을 위하고 눈요기를 위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저를 버리고 이를 취하게되는 것이다
* 소 씨는 주석하대. 빛을 봄과 소리를 들음과 맛을 보는 것이 그 근본은 모두 성품에서 나나니 방법 을 쓰건대 그 성품을 위하고 물질에 연연하지 않는 게 지극한 경계에 다다랐음이라 할 것이다 및 눈은 다섯 가지 빛을 인연하고 귀는 다섯 가지 음향을 인연하고 입은 다섯 가지 맛을 인연한다 인연하는 것에 마음을 빼앗겨 그 근본을 잃으면 비록 본다해도 눈이 멀게 되어 제대로 파악 질 못하게 되고 비록 듣는다해도 귀먹은 게 찬 것이라 제대로 듣지 못하고 비록 맛본다 해도 맛을 잃어 버려 제 맛을 모른다 성인이 빛을 봄과 소리를 들음과 맛을 봄이 모두 여 너 사람들과 같고 말달려 사냥함에 이르러도 일 찍 히 하지 아니한바가없으며 얻기 어려운 보화 일 찍 히 사용하지 아니함이 없었음은 그렇게 사람들이 모두 병 됨으로 여기나 성인만은 유독 복을 삼는 이유는 어째서인가? 성인은 배를 위하고 여 너 사람들은 눈을 위하기 때문이다 눈으로 탐하여선 잘 받아 드리질 못하고 뱃심으로 받아 들여서 일 찍 히 탐하지 않는 연유가 여기에 있음이라 저- 물건은 밖으로부터 이르는 것이고 이- 성품은 안에서 엉기는 것이다.
* 여씨는 주석하대. 눈이 눈을 위하기 위해 쓰는 것은 빛과 빛이라 해도 그릇된 빛이요 다섯 가지 색에 속하는 빛을 말할 것 같으면 눈을 위하여 쓰는 것을 잃게 되어서 눈 멀 은거에와 다름이 없다 하리라(*소위 겉눈의 쾌락만을 쫓다보면 그 가치 됨됨이의 진면목을 볼 수 없음으로 봐도 당달봉사처럼 눈이 멀어 있다는 것이다 다른 오감각 또한 같은 뜻의 내용이다) 귀 또한 귀만을 위하는 소리 중에 소리라 할지라도 그릇된 소리인 것이니 다섯 가지 음향에 속하는 소리를 말할 것 같으면 그 귀를 위하는 바를 잃게되니 귀먹음에와 다름이 없으라며 입이 입을 위하기 의한 맛 또한 그렇다 할 것이니 다섯 가지 맛에 속하는 맛을 말할 것 같으면 입을 위하는걸 잃어서 혀 맛 느낌을 잃어버림과 다름이 없으리라 만물을 요란케 못할 것이니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데서 성인이라 함인 것이다 외양만 쫓으면 깊은 생각이 없어서 밀쳐 날뛰게 되리니 일 또한 그러해서 말달려 사냥함이 더욱 심해지리라 흡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 정지할 줄 알면 위태하지 않으니 행위를 안전함을 쓰는 게요 밖같에서 찾아구하면 위태한 게 되어서 실천하는데 방해 스러움이 있으리라 물질에 대해서 도 또한 그러해서 얻기 어려운 보화를 얻으려고 하는 행위가 더욱 심해지라 이는 뱃심으로 받아드릴 줄 모르는 자요 눈으로만 보려는 자이다 이래서 성인이 뱃심을 위하고 눈을 위하지 않는다 (*배짱 포부가 넓은 자는 사소한대 얽매여 구애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친 편견을 갖거나 옹졸하고 용렬한 행위에 빠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는 눈의 욕망의 추구를 버리고, 이- 모르는데 와(*남이 모른 는걸 내가 통달한다 길(*道) 이 득달한곳을 가리킴). 욕망 없는 비고 고요한걸 취함인 것이다
* 박씨는 주석하대 五 感覺 할게 지나침은 다- 물욕을 쫓음에서니 삶을 방해하고 덕을 해를 끼친다 성인인즉 그런데 의지하여 취하지 아니하시니 대저 몸은 먹음을 취해 배를 채움이라 물질로써 삶을 방해치 않고 욕망의 추구로써 덕을 害(해)하지 않음이라 그런 까닭에 배를 위하고 눈은 위하지 않는다 말한다 배를 말하고 눈을 말하는 것은 대저 글을 살펴 볼 진데 저를 버리고 이를 취함인 것이다 사치함을 버리고 겸손함을 취한다는 뜻이다. * 역자 부언한 다면 길이란 게 논리성향을 띈 궤변을 길게 늘어 놀게 아니란 것이니 지금 여기서 주석을 다는 사람들이 편견에 빠져 있다는 뜻이요 그 편견에 빠짐으로 이끈 老子(노자) 역시 편파적인 사람임엔 틀림없다 무슨 주장을 내세우는 건 정신이 그리로 쏠려 기운 것이므로 어떻게든 합리성의 동조자를 구하는 편견에 빠진 것일 뿐이다 이런 말하는 역자 또한 불손하고 건방지며 어리석은 심성에 껍질을 뒤집어 쓴 줄 모르는 편파적인데 빠진 자임을 부언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