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보 제12호
명 칭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석등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2. 12. 20
소 재 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황전리)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소유단체) : 화엄사
관리자(관리단체) : 화엄사
화엄사 각황전 앞에 세워진 이 석등은 전체 높이 6.4m로 한국에서 가장 커다란 규모이다.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는데, 대개 사찰의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배치된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8각 바닥돌 위의 아래받침돌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큼직하게 조각해 놓았고, 그 위로는 장고 모양의 가운데 기둥을 세워두었다. 장고 모양의 특이한 기둥형태는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유행했던 것으로, 이 석등은 그 중에서도 가장 전형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기둥 위로는 솟은 연꽃무늬를 조각한 윗받침돌을 두어 화사석을 받치도록 하였다. 8각으로 이루어진 화사석은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4개의 창을 뚫어 놓았다. 큼직한 귀꽃이 눈에 띄는 8각의 지붕돌 위로는 머리 장식이 온전하게 남아있어 전체적인 완성미를 더해준다.
이 석등은 통일신라 헌안왕 4년(860)에서 경문왕 13년(873) 사이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석등 뒤에 세워진 각황전의 위용과 좋은 조화를 보여준다. 약간의 둔중한 감이 느껴지긴 하지만 활짝 핀 연꽃조각의 소박미와 화사석·지붕돌 등에서 보여주는 웅건한 조각미를 간직한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작품이다.
각황전(覺皇殿) 앞에 세워진 이 석등은 전체 높이 6.4m로서 한국에 현존하는 석등 중에서 가장 큰 것이다. 전형양식(典型樣式)에서 벗어난 고복형(鼓腹形) 계통(系統)으로 양양 선림원지(禪林院址) 석등(石燈)(보물 제445호) 양식을 계승한 것이다.
8각의 기대(基臺) 측면(側面)에는 안상(眼象)이 장식(裝飾)되었으며, 연화하대석(蓮華下臺石)에는 귀꽃을 갖춘 복판(複瓣)의 8엽연화(八葉蓮華)가 장식되었다. 연대상(蓮臺上)에는 1단의 운문대(雲紋臺)와 간석(竿石)굽받침대를 갖춘 위에 고복형의 간주석(竿柱石)을 안치(安置)하였다. 상대석(上臺石)의 앙련(仰蓮)은 8엽의 단판연화(單瓣蓮華)로서 판내(瓣內)에는 보상화문(寶相華紋)이 장식(裝飾)되었다. 상대석 상면에는 화사(火舍) 괴임대를 마련했는데 이러한 양식은 담양 개선사지(開仙寺址) 석등(石燈)(보물 제111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귀꽃을 갖춘 옥개석(屋蓋石) 정상(頂上)에는 8엽단판연화(八葉單瓣蓮華)를 장식한 복발(覆鉢)과 8각의 노반(露盤)과 상륜(相輪)을 갖춘 간(竿)과 귀꽃을 갖춘 보개(寶蓋)를 안치하고 최정상에는 보주장식(寶珠裝飾)으로 끝막음하였다.
이와 같이 화려한 장식을 갖춘 이 석등의 조성연대(造成年代)는 명확하지 않으나 함통연간(咸通年間)(860∼873)을 전후한 시기일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