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애함을 입음과 욕됨음을 입음을 그 놀래는 것처럼 여길 것이고, 貴大(귀대)해지는 것을 근심하길 肉身(육신)의 몸 같이 여길 것이니라 어째서 寵辱(총욕)입음을 놀라워 여겨야 한다는 것인가 총애함을 입는다는 것은 위에서 내려오는 것이 되고 그 장차는 그렇게 총애함이 시들어질 것인지라 이래서 얻는다하여도 놀라워 여기게되고 얻었다면 그 잃을 가를 놀라워 여기게 된다는 것인지라 그래서 그렇게 하는 말이리라 그러곤 누구에겐가 그렇게 총애함을 입는다는 것은 그 아부 충정을 표현한 것이 된 것이고 상대방이 자신을 卑下(비하) 낮춰본 것이 된 것이라 上等(상등)품격은 되지 않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어째서 貴大(귀대)해지는 것을 근심을 하길 肉身(육신)처럼 여긴다 하는 것인가 내가 그러하게 여기는 까닭은 가진 것이 커지는 것을 근심하는 것인데 [ 크게 가진 것을 근심 한다는 것인데 = = 큰 근심이란 것을 가졌다는 것인데 = 큰 근심 가진 것이라 하는 것인데] 내 몸 가진 것을 위함으로써 내 몸가짐 없음에 영향을 미치는지라 그러므로 몸을 귀하게 여김으로써 천하를 위하려 드는 자는 이렇듯 바르게 천하를 의지하게 하는 것으로 여기게되고, 몸을 사랑함으로써 천하를 위하려는 자는 바로 천하에 의탁하려드는 행위가 될 것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할 것이니라
커지는 것 고귀해지는 것은 장차 쇠락 해지는 것 까지 영향을 미치게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니 그래서 육신의 몸 가진 것이 그 몸 없어지는데 영향을 미친다 함인 것인지라 사람이 進退(진퇴)를 잘한다면 그 무슨 욕됨을 입고 그 몸이 쇠락 해지는 봉변을 당할 것인가 이런 내용이리라 물러서야 할 자리인데도 다른 이가 자신을 활용하려고 그 부추김을 잘못 읽고선 반대로 내다 앉으려 든다면 어찌 표적이되 지 않으며 비난의 화살이 쏟아지지 않을 것인가 이런 의미도 통한다할 것이다 그래서 항시 내가, 가진다, 얻는다,하는 것은 그렇게 잃을가 하는 불안한 생각을 안고 있다는 것이라 그래서 그 귀대해지는 것 총애함 입는 것 이런 것이 좋은 것만 아니고 그 悲運(비운)이 닥칠 때를 생각하게끔 하는 의미요 單語(단어)라 할 것이다 물러 날줄을 알라하여선 退界(퇴계)인 것이다
* 本文 第十三章= 총애함과 욕됨을 두려운 듯이 여기고 큰 근심 귀하게 여김을 자신의 몸처럼 한다는 뜻은 뭘 말하는 것인가? 총애함과 욕됨을 두려운 듯이 여긴다는 것은 총애함은 아래를 위하는 것인데 얻어도 두려운 듯이 여기고 잃어도 두려운 듯이 여긴다 이를 일러 총애함과 욕됨을 두려운 듯 이 여긴다는 것이요 뭘 갖다 큰 근심 귀하게 여기길 몸처럼 한다 함인가? 내가 큰 근심 가진 것을 내 몸처럼 여긴다면 내 몸이 없어진다 면 내 뭘 근심할 것인가? 몸을 귀하게 여김으로써 천하를 위하는 자는 천하를 자기에게 의지케 하고 (*끌어 붙들어주던), 제 몸을 아낌으로써 천하를 위하려는 자는 천하에(*다른 이에게) 빌붙어 살려한다(*제 몸을 천하에 의탁하려한다), (*진 선과 위선의 갈름도 되고 또 뒤에 나오는 문장형태를 본다면 그 아님도 된다)
* 총애와 욕됨을 입는 것을 놀라킴을 입는 것 같이 여긴다하고, 큰 근심을 귀하게 여김을 몸같이 여긴다 함이나니, 무엇을 갖다가선 총애함과 욕됨 놀라키는 것으로 여기는가 한다면 총애함으로 아래를 위하려 든다면 얻는 자도 뜻밖에 황감하게 은총을 받는지라 놀라워 여기고, 잃는 자도 여지 것 하사 받던 은총을 잃어버리는 것이라 이래 놀라워 여기리니 이를 갖다가선 총애 함괘 욕됨이 놀라키는 것이라 여김이요,
무엇을 갖다가선 큰 근심 귀하게 여기길 몸같이 한다하는가 하면, 내 큰 근심을 가졌다하는 것으로써 내 몸 있음을 위하여 내 몸 없는데 까지 미치는 지라 내게 무슨 근심을 가지게 될 것인가 이래 그러므로 몸의 귀함으로써 천하를 위하려 드는 자는 바르게 천하가 의지하려들 것이요 몸을 애낌 으로써 천하를 위하려 드는 자는 그렇게 천하가 의탁하려 들 것이기 때문이라, 이를 그렇게 말한다 할 것이다
* 소씨는 주석하대 옛날 통달한 사람은 총애함을 받는걸 두려워하길 욕됨을 받는 것처럼 두려워 여겼으니 (* 譯者 拙解= 인심과 세사가 상황 따라 졸지에 변하길 잘하니 언제 또 뒤바뀔지 모르기 때문이다 총애함을 받을수록 과시하지 않고 좌불안석 전전긍긍해 행동거지 처신을 더욱 조심한다는 뜻이다 ) 총애함이 욕됨보다 앞선 것을 안다 할 것이다 (*역자 졸해= 총애함을 받음이 다하면 욕됨이 이를 건 기정사실이다 그러므로 다하지 않겠끔 은은한 처신을 하여 충성만 하였지 지나친 아부를 하여 많은 점수를 딸려 하지 않는다는 것임) 몸을 귀하게 여김을 큰 근심을 귀하게 여기는 것같이 한다함은 몸이 근심의 근본인줄 알기 때문이다 (*譯者 拙解= 언제 상황이 돌변할지 모른다 귀한 몸이 一落 千丈(일락천장)하여 누명을 쓰고 참수 당한다면 이- 몸가진게 큰 근심 덩어리가 아닌가? 몸이 없다면 무슨 누명을 쓸 근심을 하며 죽을 근심을 하겠는가? 이런 뜻도 통함) 이래서 총애함을 포기해서 욕됨이 미치지 않게 한다는 것이요 자신이란 걸 잊어서 근심이 이르지 않게 한다는 것이다 (*이른 바 총애와 욕됨의 성향이 서로 별개의 성향을 가진 건 아니다) 욕됨이 총애를 받음에서 생기는걸 세상사람은 깨닷질 잘못한다 총애함을 윗 됨을 삼고 욕됨으로 밑을 삼는다는 게 다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렇듯 욕됨이 총애함에서 남을 알면 총애함이 실로 아래를 위하는 게 될 것이라 그러므로 옛의 통달한 사람은 총애함을 받아도 두려워하고 총애함을 잃어도 두려워하고 일찍이 총애함을 편안히 여기고 욕됨을 두려움으로 여기지 않는다 한다 이른바 두려워하는 듯 하다는 것은 두려워함과 같다는 것이나 실로 두려워하는 건 아니다 두려워하는 것 같을 따름인 것이다 귀함 됨이 어렵다 말하는 것은 몸이란 게 큰 근심의 근본을 가진 게 되기 때문이다 세상의 (*뜻 있는)선비 큰 근심 밟는걸 어려워하지 그 몸 존재하는걸 어려워 여기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성인이 근심 밟음을 어려움으로 여김으로 인하여 가르치데 몸가짐을 어려워 여기라는 것이다 몸 가진 걸 어려워 여길 줄 알아서 큰 근심을 던다 성품이 사람에게서 살아있다고 해서 잘 덧보태기 함도 없고 그렇다고 죽는다해서 잘 덜어내지도 않는다 그 큰 것은 천지를 가득 메우고 그(*精)정신 한 것은 물불을 밟게 하고 금석을 뚫게 한다 대저 물질이란 걸 그렇게 잘 근심할게 없는데 그렇게 천하 늘상 근심함은 근본 성품을 잃어버릴까 에서니 오직 몸을 위하는걸 몸 아끼듯 독실함을 보아서 물질을 대하여 그 됨됨이를 시종일관 근심할 것이라 나고 죽음과 질병은 안으로부터 쳐 나오는 것이요 총애와 욕됨 잃고 얻음의 사귐은 밖에서부터 움켜 들어오는 것이니 한가지라도 근심 아닌 게 없다 대저 그렇게 통달한사람은 성품의 헐어짐을 잊어서 몸을 채우려 들지 않나니 홀연히 몸을 잊어서 천하의 근심을 다 버린다 그런 후라야 바르게 세상을 건네는데 얽매임이 없다 할 것이다 사람이 권익을 쫓고 (*權利에 매달리고) 부귀에 빠져 어려움을 범하여도 뉘우치지 않는 것은 장차 그 몸을 두텁게 함에 있을 뿐이니 이제 록을 천하로써 삼아서 몸의 맡음(*所任)을 소중히 여기면 그 몸을 잊은 게 지극한 경계에 도달했다 할 것이니 이와 같이해서 천하로써 같이 어울리면 비록 천하 크다 하더라도 그렇게 근심할 것 못되리라
* 여씨는 새겨 풀 대. 총애라는 것은 남에게 양육 받는 것이라 아랫된 길이다 총애한다해서 그 총애함을 받음이 있으면 욕되리라 (*남에게 양육 받는다는 건 그렇게 내놓고 자랑할 것 못된다는 것이다 왜냐? 요즈음의 애완동물처럼 노리개에 불과한 것임으로 남의 희롱 놀이 감에 지나지 아니하니 속이 있는 자 욕됨으로 여긴다 할 것이다 물론
그것도 영리목적의 하나의 수단은 될 수 있다 세상 처신이 수단과 목적이 다는 아닌 것이니 그 사람을 평가할 제 어떻게 살았느냐 의 과정을 중시하는 수가 많아 후세에 남기게 되는 것이다 ) 생각하길 내게 욕됨이 있다는 것은 내가 두려워하는 게 있다는 것이니 얻지 못했을 적엔 얻기를 두려워하고 이미 얻어선 잃을 까 를 두려워한다 만일 내가 두려워할게 없다면 무엇이 욕됨이 있을 건가? 곧 총애 받음에서 욕됨이 있다는 것은 또한 이 같을 따름이다 귀한 자는 남을 길르는 자니 윗 된 길이다 귀해서 그 귀함이 차면 근심할게 찬 것이리라 내가 큰 근심을 가졌다는 것은 내 자신을 위하는 몸을 가졌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길해도 또한 내게 근심이 되고 흉해도 역시 내게 근심이 된다 만약상 내몸이 없다면 내 무슨 근심을 할 것인가? 곧 귀함은 큰 근심을 가졌다는 게 역시 이 같을 따름이라 몸을 말하면 마음이 내달림을 알 것이고 내달림을 말하면 몸이 얽매이게 됨을 알 것이다 마음 쓸게 없으면 두려움이 없고 두려울 게 없으면 욕됨이 없고 몸이 없으면 얽메임이 없고 얽메임이 없으면 근심이 없다 옛적에 순임금이 필부일 적에 천자를 벗하였다면 곧 총애함을 받았다 할 것이라 만일 진실한 면을 가졌다면 무슨 욕됨을 두었다 할 것인가? 고상하게 (*품위를 지켜)천하를 두었으니 그렇게 귀함이라 할 것이리라 또(*而) 더불어 두지 않았다 한들 무슨 큰 근심을 뒀다 할 것인가? 그러므로 귀한 몸으로 천하를 위하는 것을 갖다 천하를 바른데 의지하게 한다는 것이고 총애함을 받아서 욕됨을 불렀다하면 그 몸을 갖고 천하에 의지하려 듦이리라(*관점의 다양성 시각차이 =나쁘게 보는 것이 좋게 보는 것으로 될 수도 있고 좋게 보는 것이 나쁘게보일수도 있다는 것이니 입장의 전도나 여러 다양성을 일으킬 수 있다) 천하를 끌어 붙들고자 아니하는 자는 제 몸을 아껴서 천하를 위하려 드는 것이니 이를 갖다 천하에 의탁하려 든다 할 것이다 귀하여서 근심을 만나면 그 몸이 위태하리나 그렇게 천하에 의탁하려 들지 않는 자이다 만약상 총애함을 받는데도 그 총애함을 두지 않았다 여기고 귀하여도 귀함을 두지 않았다 여김은 순임금 같은 이가 참으로 해당하는 자로써 천하에 의탁하였다 할 것이다 (*그러니까 이래저래 논리전개에 유리한대로 적용한다는 것이니 이것을 公理 사상이라 할 것이다)
* 박씨는 주석하대. 두려운 듯 함이란 두려워한다는 뜻이다 총애하면 마땅히 기뻐해야 할 것이나 기뻐하지 않고 두려워 한다함과 욕됨을 마땅히 부끄러워해야 할 판인데 부끄러워하지 않고 두려워한다는 뜻은 모두가 겸손함을 보여서 삼가 두려워한다는 뜻이니 자신을 내세우지 않음의 지극한 경계이다 귀함은 오히려 소중함을 말함이다 사람은 단지 그자신의 소중함을 알아서 큰 근심의 소중함을 모른다 만약상 그렇게 큰 근심을 소중하게 여김은 그 근심을 생각하는 게 깊음이리라 욕됨 아래 문장을 살펴볼진대 이 글자 위에 혹 寵爲上(총위상) 세 글자가 벗어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고 혹 마땅히 若驚(약경) 두 글자를 두었어 야 할 것인데 없고, 辱 爲下(욕위하) 글자를 다 알지 못함이다 얻음은 총애를 가리키고 잃음은 욕됨을 가리킴이다 無身(무신) 이란 몸을 가졌지 않았다는 뜻이고 사람이 근심을 가졌다는 것은 다 사사로움이 그 몸으로 부터라 할것이니 자신이 사사로운 마음이 없다면 근심이 말미암아 이를게 없으리라 그러므로 자신의 몸을 귀하게 여기는 마음으로 천하 사람을 귀하게 여기면 사람들이 다 나를 이어 받들어서 그렇게 천하가 내게 의지하려 들것이리라 제 몸을 아끼는 마음으로 천하 사람들을 아끼면 천하 사람이 다 나를 흠모해서 그렇게 천하에 의탁하려 들 수 있으리라 그렇게 끌어 잡아 붙들어주고 그렇게 흠모함을 받아 의탁할 수 있다면 모두가 그러함이 없지 않을까 를 근심할 따름이리라 이런 것이 모두 그 몸이 사사롭지 않은 본받음이 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