存 心 篇(존 심 편)ㅡ 마음을 보존하는 글ㅡ1부
7. 存 心 篇(존 심 편)ㅡ인의(仁義)의 마음 지키기를 성(城) 지키듯이 하라.
景行錄에 云 坐密室을 如通衢하고 馭寸心을 如六馬可免過니라.
경행록 운 좌밀실 여통구 이촌심 여육마가면과
▷ 坐 : 앉을 좌 座 : 자리 좌 ▷ 密室(사방이 막혀 있는 곳) ↔ 通衢(사방이 뚫린 곳)
▷ 衢 : 네거리 구 ▷ 馭 : 말 부릴 어, 다스릴 어 ▷ 寸 : 마디 촌, 작을 촌. 길이의 단위로 一寸은 一尺의 1/10 ▷ 六馬 : '여섯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로도 풀이함 ▷ 過 : 허물 과
[경행록]에 이르기를, "비밀한 방에 앉았어도 마치 네 거리에 앉은 것처럼 하고 작은 마음을
제어하기로 마치 여섯필의 말을 부리듯 하면 가히 허물을 면할 수 있느니라."고 하셨다.
擊壤詩에 云 富貴를 如將智力求인대 仲尼도 年少合封侯라 世人은
격양시 운 부귀 여장지력구 중니 연소합봉후 세인
不解靑天意 空使身心半夜愁이니라.
불해청천의 공사신심반야수
身心半夜愁이니라.
▷ 擊壤詩 : 송나라 때 소옹(소강절)이 엮은 <이천격양집(伊川擊壤集)>에 실려 있다.
▷ 如 : 만약 ~한다면(=若) ▷ 將 : ~로써, ~을 가지고. 장계취계(將計就計) ▷ 合 : 맞을 합,
합당할 합. 합리(合理) ▷ 解 : ~을 깨닫다. ~을 이해하다 ▷ 空 : 헛되이, 부질없이, 공연히
▷ 使 : 하여금 사, 부릴 사. '~로 하여금 ~하게 하다' ▷ 半夜 = 中夜 '한밤중' ▷ 愁 : 근심 수
[격양시]에 이르기를, "부귀를 지혜와 힘으로 구할 수 있다면 중니는 젊은 나이에 마땅히
제후에 봉해졌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푸른 하늘의 뜻을 알지 못하고 헛되이 몸과 마음으로
하여금 한 밤중에 근심하게 하느니라."고 하셨다.
范忠宣公이 戒子弟曰人 雖至愚나 責人則明하고 雖有聰明이나 恕己則昏니
범충선공 계자제왈 인수지우 책인즉명 수유총명 서기즉혼
爾曹는 但 當以責人之心으로 責己하고 恕己之心으로
이조 단 당이책인지심 책기 서기지심
恕人則不患不到聖賢地位也이니라.
서인즉불환부도성현지위야
▷ 범충선공은 북송(北宋)때의 재상으로 이름은 純仁, 字는 堯夫, 시호는 忠宣으로 범중엄(范仲淹)의 아들이다. ▷ 雖 : 비록 수 ▷ 至 : 지극할 지 ▷ 責 : 꾸짖을 책 ▷ 恕 : 용서할 서
▷ 昏 : 어두울 혼 ▷ 爾 : 너 이 曹 : 무리 조 爾曹는 '너희들' 兒曹는 '아이들, 자식들'
▷ 但 : 다만 단, 무릇 단 ▷ 則 : 곧 ~이면 ▷ 患 : ~을 걱정하다 ▷ 到 : 이를 도
범충선공이 자제를 경계하여 말하기를, "자신은 비록 어리석을지라도 남을 책하는 데는 발고,
비록 재주가 있다 해도 자기를 용서하는 데는 어둡다. 너희들은 마땅히 남을 책하는 마음으로써
자기를 책하고,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써 남을 용서한다면 성현의 경지에 이르지 못할 것을
근심할 것이 없느니라."고 하셨다.
子曰 聰明思睿도 守之以愚하고 功被天下라도 守之以讓하고 勇力振世라도
자왈 총명사예 수지이우 공피천하 수지이양 용력진세
守之以怯하고 富有四海라도 守之以謙이니라
수지이겁하고 부유사해 수지이겸
▷ 睿 : 밝을 예 ▷ 被 : 이불 피, 입을 피, 미칠 피 ▷ 讓 : 사양할 양 ▷ 振 : 떨칠 진
▷ 怯 : 겁낼 겁 ▷ 四海 : 사방의 바다, 온 세상을 말함 ▷ 謙 : 겸손할 겸
공자가 말하기를, ""총명하고 생각이 뛰어나도 어리석은 체 하여야 하고 공이
천하를 덮을만 하더라도 겸양하여야 하고 용맹이 세상에 떨칠지라도 늘 조심하여야 하고 부유한 것이
사해를 차지 했다 하더라도 겸손하여야 하느니라."고 하셨다.
素書에 云 薄施厚望者는 不報하고 貴而忘賤子는 不久니라.
소서 운 박시후망자 불보 귀이망천자 불구
▷ 素書 : 진(秦)나라 때의 병가(兵家)인 황석공(黃石公)이 장량에게 준 병서. 흔히 <黃石公素書>라고 함 ▷ 薄 : 엷을 박 ▷ 施 : 베풀 시 ▷ 厚 : 두터울 후 ▷ 望 : 바랄 망 ▷ 久 : 오랠 구
{소서>에 이르기를, "박하게 베풀고 후한 것을 바라는 자에게는 보답이 없고,
몸이 귀하게 되고 나서 천했던 때를 잊는 자는 오래 계속하지 못하느니라."고 하였다.
施恩勿求報하고 與人勿追悔하라.
시은물구보 여인물추회
▷ 與 : 줄 여 ▷ 追 : 따를 추, 쫓을 추 ▷ 悔 : 뉘우칠 회, 후회할 회
"은혜를 베풀거든 그 보답을 구하지 말고, 남에게 주었거든 후에 뉘우치지 말지니라."
孫思邈이 曰 膽欲大而心欲小하고 知欲圓而行欲方이니라.
손사막 왈 담욕대이심욕소 지욕원이행욕방
▷ 손사막(孫思邈)은 당(唐)나라 때의 사람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학설에 정통했고 음양(陰陽), 의약(醫藥)에도 뛰어났다고 한다. ▷ 膽 : 쓸개 담, 담력 담 ▷ 圓 : 둥글 원 ▷ 方 : 바를 방
손사막이 말하기를, "담력은 크게 가지도록 하되 마음가짐은 섬세해야 하고 지혜는 원만하도록
하되 행동은 방정하도록 해야 하느니라."고 하셨다.
念念要如臨戰日하고 心心常似過橋時니라.
염염요여림전일 심심상이과교시
▷ 念念, 心心 생각마다(모든 생각에), 마음마다(모든 마음에) ▷ 要 : ∼해야 한다. ∼하는 것이 요구된다. ▷ 臨 : 임할 림 ▷ 似 : 같을 사 ▷ 過 : 지날 과 ▷ 橋 : 다리 교
"생각하는 것은 항상 싸움터에 나아갔을 때와 같이 하고 마음은 언제나 다리를 거느는 때와같이 조심해야 하느니라."
懼法朝朝樂이오 欺公日日憂니라.
구법조조락 기공일일우
▷ 懼 : 두려워할 구 ▷ 朝朝, 日日 아침마다, 날마다 ▷ 欺 : 속일 기 ▷ 公 : 공변될 공 "공공(公共), 공중(公衆)"의 뜻
"범을 두려워 하면 언제나 즐거울 것이요 나라 일을 속이면 날마다 근심이 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