狀之狀, 無物之象. 是謂恍惚.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執古之道, 以御
상지상, 무물지상. 시위황홀.영지불견기수, 수지불견기후.집고지도, 이어
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지유. 능지고시, 시위도기.
봐도 보지 못하는 것을 갖다가선 눈의 視力(시력)이 損傷(손상)되었다한다 平常(평상)人(인)의 眼目(안목)이라한다 들어도 듣지 못하는 것을 갖다가선 귀 밟음이 희미해졌다한다 傾聽(경청)하는 것이 그렇게 크게드넓게 깨우치지 못하는 것을 갖다가선 하는 내용이리라 잡으려 할려도 잡지못 하는 것을 갖다가선 희미함 이라 한다 마치 무지개를 잡으려 쫓듯이 말이다 거기 있는 줄 알고선 가보면 희미하여져선 이미 벌썰 저기로 달아나 보이고 없는 것이다 이러한 세가지 항목을 갖다가선 그렇게 곧바로 詰責(힐책)할 事項(사항)은 아니다 그러므로 混成(혼성)여선 하나가되면 그 윗된 것은 밝지 아니한 것이 없고 아래로는 어둡지 아닌한 것이 없다 이렇게 되면 극단적인 말 兩極(양극)을 가리키는 것인데 그런 게 아니고 위로는 밝은 것이 아니고, 아래로는 그 어두운 것이 아닌지라 그 中立的(중립적)인 位相(위상)을 가리키는 말이 되는 것이다 所以(소이)中庸(중용)中道(중도)를 쓴다는 말이리라 綿綿(면면)[繩繩(승승)]이 이어지는 것을 볼 것 같으면 그렇게 名分(명분)지을 사항이 아닌 것이다 그 모습이 物象(물상)이 없는 데로 復歸(복귀)허는 現狀(현상)인데 이를 갖다가선 얼굴 없는 얼굴상이라 한다
事物(사물)이 형상이 없는지라 이를 갖다가선 恍惚(황홀)한 境界(경계)라 한다 볼 수 없는 그 머리를 맞이하고 볼 수 없는 그 뒤를 쫓는 狀況(상황)이니 예전의 길을 지니고선 지금의 존재함을 몰아가는 것인지라 잘 예전 시작함을 앎을 갖다가선 紀綱(기강)이 잡힌 길[道(도)]이라 하는 것이다
* 本文 第十四章= 보아도 보지 못하는걸 갖다 밝음이 상했다 함이요 들을려 해도 듣지 못하는 걸 갖다 일흔 먹은 노인처럼 귀먹음이라 한다(*희미하다한다) 움켜 쥘려 해도 얻지 못하는 걸 갖다 미미해서 빠져나간 것이라 한다 이세가지를 왜 그런지를 제대로 밝힐 수가 없다 그런 까닭에 혼미한데 썪여 그 하나가 되어 그 위도 밝지 아니하고 그 밑도 어둡지 아니함이라서 줄줄이 메인 것 같아야 (*줄줄이 연 달은 것 같아서) 이름을 어떻게 명목 지어 붙일수 없어 다시 원래 물사 없었던 곳으로 되돌리니 이를 일러 얼굴 없는(*비어진) 간판 상 이라 하고 物事(물사) 없는 형상이라 함이라 이를 일러 홀연 한 것이라 하고 맞이해도 그 머리를 볼수 없고 쫓을려 해도 그 뒷꼬리를 볼 수 없어 옛의 길을 지니어 지금의 존재를 몰고 간다(*떠받들고 간다) 할 것이다 * 옛 의 시작됨을 잘아는 게 이 길의 기강이 된다 할 것이다
* 보아라 해도 보지 못하는 것을 갖다가선 눈이 멀었다 말하는 것이고, 들으라 해도 듣지 못하는 것을 귀가 먹었다하는 것이고, 쥐 켜 줘도 얻지 못하는 것을 우매하다한다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자신이 알지 못한다면 그 값어치의 진귀함을 느끼지 못한다는 뜻] . 이 세 가지는 그렇게 나무랄 것만 못된다 할 것이라 이래 그러므로 혼미하여도 하나가 된다하니, 그 위로는 밝지 못하고 그 아래로는 어둡지 않고 면면이 이어짐인 지여- 그렇게 명분 지을 수 없다 하나니, 사물 없는 현상에 복귀 한다하는 것이라 이를 일러서 얼굴 없는 얼굴상이라 하나니, 사물 없는 형상 이를 일러서 황홀한 경계라 하고 그 머리 드러내지 않는 것을 맞이하고 그 뒷전 드러내지 않는 것을 쫓는다 하니 옛 의 길을 지니고선 지금에 존재를 몰아간다면 잘 옛 의 시작을 안다하는 것이니 이를 일러서 길의 기강이라 하는 것이다 했다
* 소씨는 주석하대. 보려해서 보는 건 빛인데 빛깔을 변별해 보려는 자는 그렇게 볼 수 없다는 것이다 (* 유추컨대= 마치 의류 매장엘 갖는데 옷들이 너무 들 좋아 그게 그건 것 같고 그게 그건 것 같아 어느 게 좋은지 고를 수 없다는 것이니 그렇다면 빛을 보는 능력이 상실된 거나 진배없다는 것이다) 들으려해서 듣는 것은 음향인데 음향을 들으려해서 그렇게 잘 듣지 못하는 것은 보는 것의 유추 때와 마찬가지로 음률이 황홀하게 흐르면 어느 음질이 좋은지를 변별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이래서 귀의 능력이 상실된 것처럼 보인다는 뜻이다) 혹여 소리가 가늘어서 희미해서 듣지 못한다고 도 풀 수 있다 이것은 청각의 장애를 뜻한다. 움켜쥐어서 얻으려는 것은 부닷겨 오는 物事인데 그걸 제대로 얻을 수가 없다하는 것은 (*흡사 생각 없이 맞닥뜨린 많은 물 고기떼를 맨손으로 잡으려 드는 것 같아 물 속에 들어 첨벙되기만 했지 갈피를 잡지 못하게 하는 물고기를 쫓아다니느라고 힘만 들었지 한 마리도 못 잡는 거와 같다 는 뜻이다) 이상의 세 가지는 비록 지혜 있는 자라 해도 어떻게 해볼 수 없게끔 한다는 것이니 요컨대 반드시 서로를 분간할 수 없는 하나에 돌아 가야지만 바르어 진다할 것이니 (*서로 혼 둔 속에 하나로 귀결짓는 모습이 그렇다는 것이다) 그 하나란 것은 성품을 말하는 것이다 이세가지는 성품이 운영하는 모습이니 사람이 처음엔 성품만 존재하였을 따름이나 그 물사와 서로 더불어 얽혀든 연후에야 그렇게 사분 오열되 나옴이 있는 것이다 보고 듣고 맞닥트리기고 를 날로 써먹으면서도 그 근본으로 돌아 올줄 모른다 거듭 혼미함으로 빠져 하나가 되지 않으면 날로 멀어지리라 만일 널리 그 뜻을 유추해 볼제 엔 석존이 말하는 이른바 六入(*여섯 가지 들음)에 모두 들어가는 것이라 할 것이니 불경중의 하나인 '수 능엄경'에 있어 이르길 흐름이 되돌아와서 온전하게 하나가 된다하니 여섯 가지 실천치 못 할 것이라는 게, 바로 이를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사물이 형체가 있는 것은 모두가 음양에 걸린다 그런 까닭에 위는 밝고 아래는 어둠이라 하는데서 그렇게 도망가지 못하게 되어있는 것이다 길이 비록 위에 있어 밝지 않고 밑에 있어 어둡지 않음을 형용이나 셈으론 그렇게 미루어 볼 수 없는 것이라서 줄줄이 연달 은 것처럼 해 운영해 끊어지지 아니한다 할 것이다 사람이 그 운세 돌아감이 끊겨 지는걸 보면 존재하는 사물들이 그 마침내 없음에 돌아감을 모르리라 (*채워진 것들이 마침내 비움을 모른다는 뜻도 통함) 간판이란 그 감각에 띄는 것이다 형상이란 미세한 것으로 부터다 간판 없는 간판 형상 없는 형상 모두가 존재하나 뭐라고 이름지어 붙일게 적당치 않은지라 그러므로 홀황이라 말해보는 것이다 길이 존재치 아니함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전후를 가히 볼 수 없는 것이다 옛적에 물질이 쫓아 생긴 바의 연유가 있을 것이나 있는 것의 물사는 지금이요 없는 것의 물질은 옛 이라 (*찬 것의 물사는 지금이요 비운 것의 물사는 옛 이란 뜻도 통함) 그 쫓아 생긴 바를 잡았다면 (*생명시발 태동의 방법을 알아 그 전권을 지녔다면) 나가고 물러감과 급하고 천천히 함을 자유자재로 함이 내게 있다 할 것이다.
* 여씨는 주석하대. 길이 존재가 없음이라 그러므로 볼려고 해도 보지 못한다 함인 것이다 비록 보진 못한다 하더라도 그렇게 검음이 무르익고 누름이 무르익어 이름을 무엇으로든지 찍어다 붙일게 마땅찮음으로 빛깔이 없다 함인 것이라 말씀컨대 밝음이 평이해졌다 할 따름인 것이다 들으려 하나 존재가 없음이라 그런 까닭에 들을려 해도 듣지 못한다 함인 것이다 비록 듣질 못하긴 하나 그렇게 다섯 가지 소리(* 궁상각치우==도레미파솔......) 가 무르익어선 뭐라고 이름을 지어다 붙일게 아닌지라 그래서 소리 없음이라 함인 것이니 말씀컨대 희미하다 할 따름인 것이다 움켜쥐려는 게 존재 가 없음이라 (*뭘 어느 한가지를 딱 부러지게 지목하여 그것만 잡으려는 건 아니란 뜻) 그런 까닭에 잡을려도 얻지 못함이라 비록 얻진 못했으나 그렇게 陰陽(음양) 즉 양 그름과, 음 그름이 무르익고 剛柔(강유=굳세고 부드러움)가 무르익고 長短(장단=길고 짧음)이 무르익고 圓方(원방=둥글고 모남)이 무르익고 生死(생사=죽고 삶)가 무르익고 暑凉(서량=더위와 추위)이 무르익고 浮沈(부침=뜨고 잠김)이 무르읶고 出沒(출몰=나오고 넘어가고)이 무르익고 甘苦(감고=달고 씨거움)가 무르익고 香(전향=누린내 나고 향기 남)이 무르익는 등 諸樣相 兩比 多比 象(제양상 양비 다비)이 무르익어서 그렇게 무슨 이름을 찍어다 붙일게 적당치 않은지라 그래서 형체 없음이라 함인 것이니, 말씀컨대 미미할 따름이라 함인 것이다 대저 물질을 구하려다 얻지 못하는 자 그 이치를 따져 얻을 수 있을 것이나 이세가지는 종당에 가서도 그렇게 시시콜콜 따져 물을 계제에 있는 것이 아닌 것이다 그렇게 사리나 무슨 이치로 분별할게 아니면 총명이 무너진 것이요 형용할 재간이 흩어진 것이요 슬기로움을 버리었음인 것이다 내가 만약상 얻을 수만 있다면 보고 듣고 움켜쥐어서 혼돈 스러움과 하나가 될 것이라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마음으로써 포획하여서 혼돈 스러움과 하나가 되면 귀가 눈 같고, 눈이 귀 같고, 마음이 귀 눈 같으리라. 대저 길을 잃는다는 것은 위론 빛을 보고 밑으론 흙이 됨을 내 얻은 것이라 그 위로는 빛 될게 아닌지라 그러므로 밝지 못하고 그 밑으론 흙 될게 아닌지라 그러므로 어둡지 않아 줄줄이 연 달은 듯 하여 주욱- 뻗은 듯 해서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비록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해도 꼭 그것이라고 그렇게 이름을 지울 수 없음이라 그래서 다시 원래 物事(물사) 없는 곳으로 되돌아 갈 따름이라 함인 것이다 되돌아가면 비록 물사는 없더리도 뭔가 달리 지목 지어 지는 게 있을 것이니 이를 일러 얼굴 없는 간판 상 물사 없는 형상이라 함인 것이니 일찍이 물사가 없다 곤 확증할 수 없는 것이므로 또한 이를 흐리멍텅 홀황이라 함인 것이다 홀황하다는 건 밝지 못하다는 것이요 확증할 수 없으면 물사 없음에서를 의심을 냄이라 즉 물사가 없지 아니함인 것이다 또 홀황 한즉 어둡지 아니함이라 어둡지 않으면 물사의 존재를 의심 냄이라 물사의 존재가 아니라 할 것인 것이다 그 처음할 앞이 없는지라 그런 까닭에 맞이한다 해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그 마치도록 꼬리를 못 보는지라 그런 까닭에 그 자취를 쫓으려해도 그 후미를 못 본다 함인 것이다 전후가 없으면 時性向(시성향)의 古今(고금)인들 있겠는가? 비록 고금이 없다고 들 하지만 일찍이 옛 지금이(*어제오늘)이 없지 않은지라 곧 윗 옛에 어른 하여서 늙음 되지 아니함을 내 얻어서 날로 사용함이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옛 의 길을 지녀서 지금의 존재를 몰아간다 함인 것이다 이른바 옛 이란 것은 지금과 다를게 없음이니 옛 의 저절로 시작된 바를 알음임이요 지금이란 것이 또한 옛 과 다를 게 없는 지라 지금의 쫓아 온 바를 알음임이다 진실로 옛 의 저절로 시작된 것을 알면 지금의 쫓아온 내력을 알 수 있으리라 처음에 저절로 란 게 없었음 옴을 쫓을게 없다 이른바 끝없는 기강이니 기강이란 것은 길(*道)의 벼리(*별바=그물 코의 주된 밧줄로 그것을 끌어당기면 다른 연계된 그물 코들이 모두 달려 온다 한다) 인 것이다 길을 그렇게 잡지 못할 것이라도 이러함을 얻으면 그렇게 잡아 지녀서 덕을 삼았다 하리로다 덕을 지닌 걸 벼리라 하는 것이다
* 박씨는 주석하대. 夷(이)란 平易(평이)하다는 뜻으로 틔지 않게 문드러져서 傷(상)했다는 뜻이다 希(희= 드믊 이란)란 止(지=미진하다)=소리가 미세해서 멈춘 것 같다는 뜻이다 微(미)란 (묘=작다는 뜻임)이다 詰(힐)이란 분별함과 같음이니 그렇게 분별함에 이를 수 없다함은 자취가 없어 분별을 바르게 못한다는 뜻이다 本文(본문)의 세 가지가 모두 자취가 없어 그렇게 분별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혼둔하게 하나가 됨에 이 형용하는 길의 몸 미묘하여 視聽 控搏(시청 공박=보고 들음 당기고 찾아 붙잡음=움켜쥠) 으로 미칠바 가 아니란 것이다 (교)란 밝음의 극한경계요 (매)란 어둠의 극한경계다 밝지도 않고 어둡지도 않다 함은 위로는 지극한 밝음도 아니고 아래로도 지극한 흐림도 아니란 뜻이다 繩繩(승승)이란 면면히 이어짐과 같은 뜻이다 또 존재하는 듯 하기도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다는 뜻은 길의 몸이 본대 비었다는 뜻이다 * 지금이라 말하고 봄이라 말하고 들음이라 말하고 움켜쥠이라 말하고 하나가됨이라 말하고 밝지 않음이라 말하고 어둡지 않음이라 말하고 줄줄이 이어짐이라 말함 등은 物事(물사)가 있다는 성향에 가까운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物事(물사)가 없음에 되돌아가 얼굴없는 얼굴상 형상 없는 형상상은 形而上(형이상=형용의 윗됨)을 뜻함과 같음이요 홀황이란 것은 확정짓지 못하는 뜻으로 존재하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듯 하기도 하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말씀컨대 홀황 해서 맞이할려 해도 그 머리를 보지 못한다함은 시작 없음을 말함이요 쫓으려해도 그 뒤를 보지 못한다함은 마침이 없음을 뜻함이다 길이 란 게 하늘땅보다 먼저 앞서 존재하는 것이므로 말씀컨대 예전 옛 의 길을 지니어서 지금의 존재를 떠받들어 몰아간다 함임이며 없음으로 있음을 몰아 받들고 길로써 物事(물사)를 제도함인지라 이렇다면 길의 생김을 아는 것이라 길의 생긴걸 앎으로 일러 길의 벼리라 함인 것이니 벼리란 紀綱(기강)이 되는걸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