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높이 : 510m
위치 : 전남 여수시 삼일동
특징, 볼거리
영취산은 산세가 수려하거나, 산이 높다거나, 산악인들에게 잘 알려진 산도 아니요 그렇다고 한번쯤 오를 만한 특색있는 산도 아니다. 고향의 뒷산 같은 510m에 불과한 산이다. 영취산 진달래는 키가 작으며 무리지어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진달래 군락은 450봉 아래 사면, 450봉을 지나 작은 암봉이 있는 부근, 정상아래 사면, 진래봉 부근 등 크게 4개 지역에 무리지어 있으며 분홍 물감을 부어 놓은 것 같다.
영취산 진달래 축제가 매년 4월 첫째 주에 열린다. 진달래 산행 적기는 기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4월 첫째 주에서 둘째주가 적기가 된다.
영취산은 진달래 개화시기 이외에는 그다지 가볼 만한 산은 아니지만 진달래가 만개하는 4월초에는 진달래산행과 함께 오동도의 동백꽃을 즐길 수 있다.
진달래가 피는 4월초에 오동도의 동백꽃도 같이 피며, 오동도로 가는 도로의 가로수가 벚꽃으로 되어 있어 벚꽃도 즐길 수 있다. 가까운 안심산 밑에 안심산온천이 있어 산행후 온천욕도 즐길 수 있다.
흥국사는 보조국사가 귀 고려 명종 25년(1195) 세운 사찰이다. 원래 절은 조선 선조 30년(1597년)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었고 인조 2년(1624) 계특대사가 중건하였다.
흥국사가 위치한 곳은 백두대간 끝자락 지리산으로부터 여수로 뻗어 내린 산줄기 가운데 한 갈래로 진례산과 영취산 등 여러 봉우리가 마치 연꽃이 감싸고 도는 듯한 형상이며, 영취ㆍ진례 두 봉우리를 기점으로 자내리와 정수암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두 줄기 물줄기가 합해지는 정점이다. 흥국사는 비보 사찰로서 '비보'라고 하는 것은 '돕고 보호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웅전의 영산회상도는 석가모니가 인도 영취산에서 설법할 때의 모습으로, 항마촉지인의 석가 불상과 화불, 직계 제자, 보살, 신장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석가의 방편 분신인 관음보살을 강조하고 있다. 대웅전의 가장 높은 기둥 뒷면 벽화에도, 대웅전 앞에 모시는 괘불 탱화도 서 있는 관음보살을 모셨고, 다시 원통전에 염불 주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등 조선 중ㆍ후기에 와서는 더욱 법화 신앙화 되었다.
산행 코스
1코스 : GS정유 뒤 임도삼거리 → 억새평원 → 450봉 → 진례산 정상 → 도솔암 → 봉우재 → 영취산 → 439봉 → 갈림길(오른쪽) → 흥국사
2코스 : GS정유 뒤 임도삼거리 → 억새평원 → 450봉 → 진례산 정상 → 도솔암 → 봉우재 → 흥국사
3코스 : 상암 → 임도 → 봉우재 → 진달래군락지 → 영취산정상 → 흥국사
산행 길잡이
산행은 봉우재를 기점으로 LG정유 뒤, 흥국사, 사격장, 상암동 등 여러 곳이 있지만 진달래 산행을 위하여는일반적으로 LG정유에서 남해화악 중간 사이의 임도를 산행기점으로 한다. 여천공단에서 남해화학 방향으로 가는 길가에서 임도가 시작된다. 20여분정도 길을 오르면 산행기점이 되는 임도 삼거리에 닿는다.
본격적으로 산행이 시작되는 삼거리에서 450m봉까지 오르는 등산로는 억새평원이라고도 하며 억새천국이다. 오른편으로 여천공단과 광양제철소가 한눈에 들어온다. 왼편 산자락에 수만그루 진달래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450m봉 아래로 공터가 나타나며 능선을 따라 남동쪽으로 가면 짤막한 암릉이 나타난다. 암릉의 양쪽은 급경사 절벽이다. 암릉 끄트머리 오른쪽 사면에 밧줄이 메어져 있다. 몇 미터 정도되는 ?줄을 타고 내려가 정상으로 오른다. 정상으로 오르는 오른쪽 산자락은 온통 진달래 군락지이다. 정상에서 남쪽 아래 길로 도솔암을 거쳐 내려가면 봉우재에 닿는다.
봉우재에서 흥국사쪽으로 하산할 수도 있으나 바위와 어우러져 한폭의 그림 같은 진달래 군락을 이루고 있는 진래봉으로 오른다. 진래봉에서 능선을 타고 조금내려가면 헬기장이다. 능선을 타고 한참을 가다보면 오른쪽으로 갈림길이 나오는데 여기서 오른쪽 길로 내려가면 흥국사이다. 산행시간은 넉넉잡고 4시간이면 족하다.
여수시 삼일동과 상암동에 걸쳐서 자리한 영취산은 해발 510m의 높지 않은 산이다. 산세가 수려하지도, 높지도 않은 영취산이 전국적으로 유명한 것은 봄이면 온 산을 붉게 물들이는 진달래를 국내에서 제일 먼저 볼 수 있는 산이기 때문이다. 경남 창녕의 화왕산, 경남 마산의 무학산과 더불어 전국 3대 진달래 군락지 중 한 곳으로 꼽히는 곳이다. 30~40년생 진달래 수만 그루가 33만여제곱미터에 걸쳐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고 있어, 매년 4월이 되면 온 산은 붉게 타오르게 한다.
영취산 등반은 산이 낮은 만큼 어느 코스로 잡든 4시간 정도면 가족 산행이 가능한 정도 이다. 진달래를 가장 잘 즐길 수 있는 코스는 호남정유 위의 임도나 상암초등학교를 산행 기점으로 하여 450m봉을 거쳐 영취산 정상으로 올라 봉우재로 내려선 뒤 진래봉으로 다시 오른다. 진래봉에서 헬기장, 439m봉을 지나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들어서 흥국사로 하산하는 코스이다. 무박산행을 할 때는 위의 역코스로 흥국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450m봉에서 정상까지가 진달래가 가장 볼만한데 길이 험할 수도 있으므로 어두울때 이곳을 지나게 되면 위험할 수도 있으므로 산행 시간을 잘 조절하여야 한다.
영취산은 매년 4월이면 진달래 축제를 개최한다. 축제 기간중에는 영취산 산신제, 청소년 백일장, 사진 촬영대회, 진달래 아가씨 선발대회, 향토먹을거리 등 다채로운 행사들이 펼쳐져 진달래를 찾아온 상춘객들에게 볼거리와 먹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영취산이란 이름은 석가모니가 최후로 설법했던 인도의 영취산에서 그 이름을 따온 것으로 추측된다. 영취산의 등산지도를 보면 영취산과 진례산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국가지리정보원은 2003년 5월 17일자로 산의 명칭을 <영취산>에서 <진례산>으로 변경고시하였으나, 사람들은 지금도 관례적으로 439m봉의 이름인 영취산을 산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수반도의 주산인 영취산은 예로 부터 지역민들에게 신령스런 산으로 인식되어 기우제나 치성을 드렸던 곳이다. 전통기원 도량이었던 금성대가 있고 그 아래 기도도량인 도솔암이 지어져 오늘에 까지 전해지고 있다. 동국여지승람과 호남 여수읍지에는 도솔암과 함께 기우단이 있어 매우 영험하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지방 수령들이 기우제를 지내고 기우시를 남기는 등 구한말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왔었다고 한다. 또한 영취산의 넓은 산자락에는 흥국사가 자리 하고 있는데, 흥국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나라의 융성을 기원하기 위해 건립된 사찰로, 1195년(고려 명종25년)에 보조국사가 창건 하였다. 흥국사 안에는 대웅전(보물 제369호)을 비롯해 보물 제578호인 대웅전 후불 탱화, 원통전, 팔상전 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다. 어울러 흥국사는 임진왜란 당시 유일하게 승병 수군이 있어, 이곳 흥국사 안에서 300여명의 승병 수군이 훈련을 했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해발 510m의 산 정상에 서면 남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어선들이 한눈에 보이고, 광양만과 여천공단, 동북쪽으로는 광양의 백운산, 묘도가 선명하다.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흥국사 입구에 주차장이 있으며, 상암 부락 쪽으로는 부락 안에 작으나마 차를 댈 만한 공간들이 몇 군데 있어 주차가 가능하다.
영취산(靈鷲山 510m)이 전국적으로 유명한 것은 봄이면 진달래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4월이면 약 15만평에 진달래꽃이 만개하고, 특히 산 중턱에서 정상까지 꽃으로 거의 뒤덮여 마치 산이 활활 불타오르는 듯한 장관을 연출하기 때문이다.
영취산은 예로부터 신령스런 산으로 인식되어 기우제나 치성을 드렸던 곳이다. 영취산이란 그 이름도 석가모니가 최후로 설법했던 인도의 영취산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된다. 또 산 기슭에는 전통기원 도량이었던 금성대가 있고 그 아래 기도도량인 도솔암이 지어져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
영취산이란 이름은 석가모니가 최후로 설법했던 인도의 영취산에서 그 이름을 따온 것으로 추측된다. 영취산의 등산지도를 보면 영취산과 진례산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국가지리정보원은 2003년 5월 17일자로 산의 명칭을 『영취산』에서 『진례산』으로 변경고시하였으나, 사람들은 지금도 관례적으로 439m봉을 영취산으로 부르고 있다.
여수반도의 주산인 영취산은 예로 부터 지역민들에게 신령스런 산으로 인식되어 기우제나 치성을 드렸던 곳이다. 전통기원 도량이었던 금성대가 있고 그 아래 기도도량인 도솔암이 지어져 오늘에 까지 전해지고 있다. 동국여지승람과 호남 여수읍지에는 도솔암과 함께 기우단이 있어 매우 영험하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지방 수령들이 기우제를 지내고 기우시를 남기는 등 구한말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왔었다고 한다.
또한 영취산의 넓은 산자락에는 흥국사가 자리 하고 있는데, 흥국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나라의 융성을 기원하기 위해 건립된 사찰로, 1195년(고려 명종25년)에 보조국사가 창건 하였다. 흥국사 안에는 대웅전(보물 제369호)을 비롯해 보물 제578호인 대웅전 후불 탱화, 원통전, 팔상전 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다. 어울러 흥국사는 임진왜란 당시 유일하게 승병 수군이 있어, 이곳 흥국사 안에서 300여명의 승병 수군이 훈련을 했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영취산 산행은 산이 낮은 만큼 어느 코스로 잡든 4시간 정도면 가족 산행이 가능한 정도 이다. 진달래를 가장 잘 즐길 수 있는 코스는 GS칼텍스정유 위의 임도나 상암초등학교(예비군훈련장)를 산행 기점으로 하여 450m봉을 거쳐 영취산 정상으로 올라 봉우재로 내려선 뒤 진래봉으로 다시 오른다.
진래봉에서 헬기장, 439m봉을 지나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들어서 흥국사로 하산하는 코스이다. 무박산행을 할 때는 위의 역코스로 흥국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450m봉에서 정상까지가 진달래가 가장 볼만한데 길이 험할 수도 있고, 어두울때 이곳을 지나게 되면 위험할 수도 있으므로 산행 시간을 잘 조절하여야 한다.
영취산 산행은 흥국사를 들머리로 삼는 것이 가장 좋다. 절 진입로의 벚꽃터널을 지나 흥국사 대웅전과 원통전, 후불탱화, 홍교 등 볼거리가 많기 때문이다. 흥국사 옆으로 난 등산로를 따라 30분 걸으면 봉우재가 나온다. 봉우재에서는 남서쪽 405봉이나 북쪽 영취산 어느 곳을 향해도 좋다.
영취산 진달래 군락은 정상 동북 능선의 450봉 부근과 정상 남쪽 능선의 439봉 봉우재 구간이다. 이들 군락지를 두루 즐기기 위해서는 흥국사→439봉→봉우재→정상→450봉→상적마을 혹은 상암초교→450봉→정상→봉우재→439봉→흥국사 코스가 좋다. (약 3~4시간)
정상 동북 능선은 온통 진달래가 둘러쳐 있다. 450봉부터 하산이 시작된다. 지도에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북으로 펼쳐지지만 실제는 정상 밑에서 급하게 떨어져 골명재 부근으로 이어진다. 450봉에서 서북쪽으로 조금 내려서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그곳에서 왼편으로 내려가면 상적마을 서쪽으로 내려가는 편한 계곡 하산길이다.
상암초교 왼쪽 옆 농로를 따라 골짜기 길로 접어든 다음 다복솔숲을 지나 급경사길을 10분쯤 오르면 억새밭. 이 억새밭이 한동안 이어지다가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둔덕에 이르면 오른쪽 너머로 갑자기 붉은 진달래밭이 나타난다.
설혹 안개가 짙게 끼었더라도 워낙 진달래가 조밀하게 피어나 붉은 기운이 죽는 법이 없다. 이곳 450m봉 동사면의 진달래밭은 진달래 자체만의 조밀한 빛이 일품이라면 영취산 상봉(510m) 남쪽 봉우재 - 405m봉간의 산비탈은 기암봉과 진달래, 억새가 어울린 절경지로 손꼽힌다. 산행코스가 바로 450m봉에서 이 상봉을 지나 봉우재로 이어지게끔 나 있다.
450m봉을 지나 50m쯤 가면 널찍한 헬리포트가 나온다. 이를 지나 오르막길을 잠시 걸으면 암릉이 나타난다. 영취산에서 단일 암릉으로는 가장 큰 이 암릉 양쪽은 급경사 절벽인데, 암릉 끄트머리 오른쪽 사면에 밧줄이 매어져 있다. 이를 잡고 내려서서 조금 더 가면 상봉의 정상. 이곳의 산불감시초소 옆을 지나 봉우재까지는 별로 볼 것 없는 널찍하고 넓은 흙자갈 길이다.
진달래밭은 봉우재 이후부터 펼쳐진다. 봉우재에서 405m봉 정상으로 이어진 등산로 주변에 큼직한 바윗덩이들이 자리잡고 있고 그 사이마다 진달래가 들어차 일대 승경을 이룬다. 405m봉 정상은 널찍한 암봉. 이 봉 남서쪽의 439m봉까지도 능선 주변에 진달래가 밭을 이루고 있다.
탐방객들은 대개이곳까지 구경한 다음 되돌아서서 다시 봉우재로들 내려간다.그러나 439m봉 서릉을 타고 내려가면 산벚꽃이 만발한 흥국사로 바로 내려설 수 있다.
◈ 상암동→450m봉→상봉→봉우재→405m봉→439m봉→흥국사 (진달래꽃 산행에는 최상)
◈ 흥국사→439봉→봉우재→정상→450봉→상적마을 혹은 상암초교→450봉→정상→봉우재→439봉→흥국사 코스
승용차를 가져갔을 경우 가장 좋은 탐승코스는 상암동→450m봉→상봉→봉우재→405m봉↔봉우재→동쪽 계곡길→상암동마을 코스.
다만 이 경우에는 상암동부락의 주차형편이 좀 좋지않다. 대로변 아니면 부락 안 골목길 옆의 공간 등을 이용해야 한다. 진달래철의 휴일에는 매우 번잡하므로 여천이나 여수시내에 차를 두고 대중교통편으로 한바퀴 돌아오는 것이 가장 편하다.
◈ 흥국사 : 흥국사는 고려 명종 때 보조국사 지눌이 지은 호국사찰이라 전한다. 아치형 석교인 홍교(보물 568호)와 후불탱화(보물 578호) 그리고 대웅전(보물 396호)이 있다. 지방문화재 원통전과 당우 등 볼거리가 많은 절이다.
◈ 향일암 : 돌산도의 향일암은 지방 문화재 40호로 홍련암, 남해 보리암, 강화도 보문사와 함께 4대 관음기도처로 불린다. 향일암은 "해를 향한 암자"라는 뜻이다. 기암절벽 위에 위치하고 있어 남해 수평선에서의 일출이 장관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