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줄기(莖, stem)
식물은 수중생활에서 육상생활로 진화하였기 때문에 수분이나 무기질이 풍부한땅과, 빛과 공기가 풍부한 공기 중에서의 이중생활이 가능하게 되었다. 줄기는 뿌리와 함께 분화되었는데 이는 식물이식물이 육상에 적응하기 위해서이다. 뿌리에서 흡수된 수분이나 무기질, 잎과 기타부분에서 만들어진 당분 또는 기타의 대사물질을 전신으로 보내거나 저장하고, 또한, 식물체를 공기 중에 지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통도조직, 저장조직, 기계 조직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줄기가 발달하게 되었다.
통도조직이 늘어선 줄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양치식물과 피자식물, 나자식물의 3문(門)에 한하며, 나자식물과 피자식물에는 식물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경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또한, 많은 식물의 줄기는 증식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증식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번식경이라고 한다. 또한 물질의 저장을 주로 하는 줄기를 저장경, 잎과 같이 엽록소를 가지고 동화작용을 하는것을 영양경이라 한다.

줄기에는 식물에 따라 일정한 형식(보통은 여러 나선상으로 배열)이나 일정한 간격으로 잎이 생기게 된다. 줄기에 잎이 생기는 곳을 절(節, node)이라 하며 절과 절사이를 절간(節間)이라 한다. 잎이 붙은 뿌리의 상부를 엽액(葉牌)이라 하고 많은경우 여기에 생성된 싹에서 가지가 나와 줄기로 분지한다.
(1) 줄기의 구조와 기능
1) 줄기의 구조
① 줄기는 위쪽의 끝에는 생장점이 있어서 길이 자람이 발생하게 되고 줄기 가운데부분에서는 형성층이 있어서 부피 자람이 이루어진다.
② 생장점은 후에 생장하여 잎이 되는 어린엽이 주위로부터 싸여서 싹을 형성한다.
③ 한 개의 싹에서 생장한 줄기 또는 가지는 한 개의 단위로서, 어린가지라고 한다.
④ 정아는 싹의 선단의 것을 말하는 것이며, 줄기의 측면에 나는 것을 측아, 그 가운데 엽액에 붙는것을 액아라고 부르며, 이들을 합쳐서 정아라 하고 이들 이외에서 나는 것을 부정아라고 한다.
2) 줄기의 기능
줄기는 잎을 붙이고 있는 식물의 지상부분으로 줄기와 뿌리가 다른 것은 잎을 붙이고 있는데 있다.
① 지지기능 : 줄기는 식물의 잎과 꽃 그리고 열매를 붙이고 있는 지지 기능을 한다.
② 운반기능 : 뿌리에서 흡수된 불과 함께 무기물과 잎에서 광합성을 통하여 합성된 유기물을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i ) 뿌리렬 → 뿌리의 물관 → 줄기 물관 → 잎맥의 물관 → 기 공
ii) 엽록체(잎) -→ 잎맥의 체관 --→ 줄기의 체관 → 저장기관(열매, 뿌리)
③ 저장기능 : 영양분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④ 호흡기능 : 피목을 통하여서 기체 교환 기능을 한다.
(2) 줄기의 형태별 분류
줄기는 지상에 위치하는 지상경과, 지하에 위치하는 지하경으로 구분이 되며 이들의 형태는 크게 다르다.
1) 지상경
지상경은 1~2년에 죽는 초본경과, 다년동안 살아 있는 목본경으로 나눈다.
초본경을 가지는 식물을 초본, 후자인 목본경을 갖는 식물을 목본이라 한다.
지상경은 또한 자력으로 지상으로 서서 올라가느냐 못가느냐에 따라서, 자립경, 타립경으로 구별이 되며, 타립경은 일반적으로 만(덩굴성)이라고 한다.
① 포복경
지표, 또는 반지하로 대개 수평으로 뻗는 것을 포복경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연전초. 피막이풀, 뚝갈, 잔디 등과 같은 것들이 있다.

잔디 피막이풀
② 전요경
다른 식물의 줄기를 말아가며 성장하는 것을 전요경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나팔꽃, 으름덩굴, 오미자와 같은 것들이 있다.

나팔꽃 으름덩굴
2) 지하경
지하경은 다년생 초본이 대부분이며 동절기 또는 건조기에 지상부가 죽더라도 지하부에서 전분 등을 저장하여 계절이 좋아지면 발아하여 새싹을 틔우게 한다.
지하경은 형태상 근경, 괴경, 구경, 인경 등으로 구분을 한다.
① 근경
근경은 땅 속을 수평으로 뻗으면서 성장하고, 휴면기에 지상부가 죽더라도 그 지상경옆의 곁눈이 새롭게 근경을 생장시켜 다음해 새로운 싹을 만들므로 이것이 지상경이 된다.
절에서도 싹을 내어 새로운 싹을 만들고 증식한다.
절 또는 절간에서 다수의 부정근을 내고 지중에서 수분을 흡수한다.(생강, 황련, 미치광이풀, 창출)
양치류는 지상경이 없고, 지중에서 땅과 평행한 기상근경으로부터 근엽을 내는 것이 보통이다.

미치광이풀 황련
② 괴경
괴경은 지중의 기는줄기의 밑부분이 휴면시에 비대해 져서, 전분 등을 저장하고, 당년의 지하경은 죽는다.
표면의 본래 엽액에 상당하는 액아로부터 다음해에 새로운 지상경을 낸다.(감자, 돼지감자)

돼지감자 감자
③ 구경
구경은 기부가 구상으로 비대하고, 지상경이 죽어도 남고, 1~수개의 싹에서 새로운 지상경을 낸다.
(사프란, 반하, 택사)

반하 택사
④ 인경
인경은 줄기의 절간이 극히 짧게 되어 원반상이 되고, 그 주위에 다육질로 된 인편엽이 밀생하면서 구상으로 된 것이다.
인면엽의 엽액에서 새로운 싹이 나와 새로운 싹을 만든다.
(양파, 백합, 참나리)

참나리 양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