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염화실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금강경 강좌 녹취 금강경 강좌 제17강-법계통화분 제19/이색이상분 제20
慧明華 추천 3 조회 2,216 10.04.24 06:03 댓글 4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04.24 06:24

    첫댓글 감사합니다. _()()()_

  • 10.04.24 06:38

    以福德無故(이복덕무고)로 如來說得福德多(여래설득복덕다)니라.ㅡ 복덕이 없기 때문에 여래는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말한 것이다. 수고하셨습니다._()()()_

  • 10.04.24 07:09

    당신은부처님 당신은부처님 당신은부처님 사바하
    당신은부처님 당신은부처님 당신은부처님 사바하
    당신은부처님 당신은부처님 당신은부처님 사바하 _()()()_

  • 10.04.24 07:52

    고맙습니다. _()()()_

  • 10.04.24 09:34

    아,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이 그대로 진리의 세계구나’하고 알 수 있습니다...고맙습니다 _()()()_

  • 10.04.24 21:21

    破二執 顯三空...나에 대한 집착[我執]과 나 이외의 모든 대상에 대한 집착[法執]을 깨뜨리고 텅 빈 허공과 같은 마음가짐을 가질 때 우리는 더 큰 나[大我]로서의 삶을 살 수 있다..수고하셨습니다..혜명화 님! _()()()_

  • 10.04.24 23:14

    如來를 不應以具足諸相으로 見이니 何以故오 如來가 說諸相具足이 卽非具足일새 是名諸相具足이니다 .'모든 상을 부처님이 갖추고 있지만 사실 그 부처님의 훌륭한 상도 상도 아니니 집착할 필요가 없다.하물며 우리일소냐.'...고맙습니다_()()()_

  • 10.04.24 23:35

    감사합니다. _()()()_

  • 10.04.25 16:35

    자기 자신을 다스리고 자신에 대한 집착과 그에 따르는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특효약인~~ (금강경)...고맙습니다..._()()()_

  • 10.04.26 09:59

    無相으로 爲宗이다...상없음으로 으뜸을 삼는다.혜명화님 감솨 빵긋와우..._()()()_

  • 10.04.28 12:50

    고맙습니다 _()()()_

  • 10.04.28 20:58

    고맙습니다 _()()()_

  • 10.06.22 19:04

    복덕 역시 ‘어떤 상황에서든지 내가 어떻게 느끼느냐에 달려있다.’

  • 10.08.06 09:44

    _()()()_

  • 10.08.07 21:28

    ...()...

  • 10.08.19 17:16

    _()()()_

  • 10.10.06 10:28

    _()_

  • 10.10.22 06:46

    ‘무상(無相)으로 위종(爲宗)이다’‘상없음으로써 으뜸으로 삼는다 '_()()()_

  • 10.10.29 11:05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10.12.18 14:21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_()()()_

  • 11.02.26 10:37

    나무금강반야바라밀경
    나무금강반야바라밀경
    나무금강반야바라밀경
    부처님크신은혜고맙습니다...

  • 11.02.26 22:36

    -()()()-

  • 11.03.21 16:07

    _()()()_

  • 11.03.25 11:25

    나무관세음보살_()()()_

  • 11.04.01 15:30

    감사합니다...()()()

  • 11.04.06 17:51

    전체적으로 봐도 무상,무색이고 32상으로 봐도 역시 무상이다..._()()()_

  • 11.07.06 11:17

    _()()()_

  • 11.08.01 21:54

    감사합니다

  • 11.09.24 09:58

    法界通化진리의 세계 법계를 통해 모든이를 전체로 교화한다 "金剛經의 大旨"는 破二執 顯三空 = 아공, 법공, 구공, 세가지 空을 드러 내어서 顯三空이라고 하고,
    我執나에대한 집착과 法執 모든 대상의 집착을 破해서 깨트여야 한다 하여서 破二執이라고 한다 無相......我相 나 라고 하는 고집, 고정된 관념,
    人相 나에 대한 모든 대상, 분별심 衆生相 열등감과 천당에 가고 싶어 하는이 壽者相 집착과 오래 오래 살고 싶어 하는 사람이다
    無相으로 爲宗이라 相이 없음으로써 으뜸을 삼는다 금강경의 근본 취지는 無相爲宗이다...

  • 11.09.24 16:54

    離色離相 = 色도 떠나고,相도 相이 아니다 卽非具足色身도, 곧 색신 육신을 갖추고 있는 것이 아니고 是名具足色身도 이름이 색신 육신을 구족 하셨다고 하셨기 때문입니다 是名 諸相具足 이름이 모두 具足 할 따름 이기 때문 입니다 (四大)지수화풍으로 이루어 져서 얼기 설기 얽혀서 상을 연출했을 뿐이고 空을 이해 하는데는 성문 , 연각 (벽지불), 보살( 육바라밀을 실천하는이) 세가지를 보는 안목이 다 다르다는 큰 스님께서 말씀 하셨습니다 고맙습니다_()()()_

  • 11.09.24 15:58

    無上甚深微妙法은 難見難可니라 ......_()()()_

  • 11.11.27 13:48

    破二執 顯三空.......

  • 11.12.05 21:16

    _()()()_

  • 11.12.30 09:13

    끊임없이 반복하시는 말씀 ‘아무 것도 고정되어 있는 것은 없다’ ..._()()()_

  • 12.04.01 06:41

    色卽是空 空卽是色..._()()()_

  • 12.12.16 09:40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보았읍니다 고맙습니다

  • 12.12.25 15:15

    _()_

  • 13.01.09 07:22

    _()()()_

  • 13.01.11 14:01

    =\\\=

  • 14.05.29 15:02

    _()()()_

  • 14.06.06 07:48

    고맙습니다 _()()()_

  • 15.02.06 09:35

    감사합니다

  • 15.04.28 09:12

    감사합니다()()()

  • 17.07.21 14:22

    _()()()_

  • 17.08.14 12:52

    나무마하반야바라밀 나무마하반야바라밀 나무마하반야바라밀_()()()_

  • 17.11.07 10:39

    _()()()_

  • 19.01.24 21:41

    지족의 삶속에서 진공묘유의 참뜻을 찾아가겠습니다..감사합니다.._()()()_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