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 지지(地支) 가운데 寅卯辰 동방, 巳午未 남방, 申酉戌 서방, 亥子丑 북방이 있는데, 이것들이 방(方)이다. 申子辰 水局, 亥卯未는 木局, 巳酉丑 金局이 있는데, 이것들이 국(局)이다. 무릇 세 글자가 완전하면 방을 이루게 되는데, 두 글자만 있는 것은 (방으로) 취하지 않는다. 역량으로 말하면, 寅卯辰이 완전한 것은 亥卯未보다는 비교적 강하다. 戊 일간이 寅月을 만났는데 세 글자(寅卯辰)가 보이면 (세 글자) 모두를 칠살로 논한다. 卯月에 세 글자가 보이면 (세 글자) 모두를 정관으로 논한다. 己 일간은 이와는 반대가 된다. 辰月을 만나고 (세 글자가 보이면) 寅卯의 세력을 살펴보고 경중을 비교해서 정관인지 칠살인지 구별한다. 나머지 경우도 이 원리를 따르면 된다. (원문에서) 말한 바의 방과 국은 석이면 안된다는 이론은 역시 완전히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목방(木方)에 亥 글자가 보인다면 생(生)해서 왕(旺)하게 만드는 신(神)이 되고, 未 글자가 보인다면 내가 극하는 재성이 되면서 또한 뿌리를 내리는 지지가 되는 것이니, 있다고 해서 안될 리가 없다. 즉, 삼합 木局을 취용(用)할 때에 어찌 손상이 되고 누가 되겠는가? 쓰임새에 이르러서는 국(국)의 쓰임새는 많고 방의 쓰임새는 협소하다. 그러므로 방을 논하면서 달리 엉뚱한 논리를 펼 필요는 없는 것이다.
己 戊 丁 甲
未 辰 卯 寅
시 일 월 년
癸壬辛庚己戊
酉申未午巳辰
此木方全. 搭一未字爲混. 然無未字. 則日主虛脫. 且天干甲木透露. 作殺而不作官. 必要未字. 日主氣貫. 身殺兩停. 名利雙輝. 鼎甲出身. 仕至極品. 可知方混局之無害也.
차목방전. 탑일미자위혼. 연무미자. 즉일주허탈. 차천간갑목투로. 작살이부작관. 필요미자. 일주기관. 신살양정. 명리쌍휘. 정갑출신. 사지극품. 가지방혼국지무해야.
이 사주는 목방이 완전하고, 한 글자 未가 섞여 있다. 그런데 未 글자가 없다면 일주가 허탈하게 된다. 게다가 천간에 甲木이 투출하니 칠살(칠살국)이지 정관(정관국)이 아니다. 未 글자가 있는 것이 필요하니 일주의 기운이 통하고 있다. 신살양정(身煞兩停)이 되니 명리쌍전하였고, 정갑(鼎甲:과거 급제 3등 안에 듦) 출신으로 벼슬이 극품(極品)에 이르렀다. 이것을 보아도 방이 국에 섞여 있어도 해롭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주는 지지에 동방이 모였으니 불은 밝고 나무는 수려하다.. 가장 기쁜 것은 병화가 경금의 탁기를 바로 곁에서 극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른봄에는 나무가 연약하니 반드시 亥水의 생조를 얻어야 한다. 위인이 문장이 뛰어나고 풍류를 알고 학문이 깊었다. 癸巳 대운에 水生木이 되고 火가 녹(祿)을 얻으니 좋은 학교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고 이름이 한림원에 높았다. 午 대운에 寅과 합하여 등림(鄧林)의 숲에서 동량(棟樑)의 재목이 되어 솜씨 좋은 목수를 만닌 셈이고, 임랑(琳琅)의 옥돌 밭에서 뛰어난 조각가를 만난 셈이 되었다. 丙申 대운에는 火가 뿌리가 없고 金이 득지(得地)하니 동방의 수기(秀氣)를 깨뜨리니 사건을 저지르고 파직이 되었다. 만약 亥水의 생조가 없었다면 어찌 대흉을 면할 수 있었겠는가?
【滴天髓原文】
局混方兮有純疵. 行運喜南還喜北.
국혼방혜유순자. 행운희남환희북.
국에 방이 섞여도 순수함에 하자가 생기는데, 운에서는 남쪽이 좋기도 하고 북쪽이 여전히 좋기도 하다.
지지 세 개가 서로 합하여 국(局)을 이룬 것은 모두 장생과 제왕과 묘고(生旺墓)를 취하여 하나의 (오행의) 기운이 시작하여 끝마치게 된다. 사주 가운데 세 개의 지지가 합세한 것을 만나게 되면 길흉의 힘이 비교적 크다. 또한 두 개의 지지를 취하는 것도 있다. 그럴 때는 제왕의 지지(子午卯酉)가 위주가 된다. 예를 들면 亥卯 혹은 卯未는 모두 가히 취할 수 있다. 亥未는 그 다음이다. 무릇 회합이란 충을 꺼리는 법이니, 예를 들면 亥卯未 목국(木局)이 있는데 한 개의 酉丑 글자가 그 가운데 섞여 있거나 또는 충하는 글자끼리 바짝 붙어 있으면 국(局)이 깨지게 된다. 비록 충하는 글자가 그 사이에 섞여 있을지라도 충하는 글자끼리 바짝 붙어 있지 않고 멀리 떨어져 있다면, 합이 되면서 아울러 손상된 것으로 겸해서 논한다. 두 개의 지지가 국을 이루었을 때는 서로 붙어 있으면 묘하게 되고 충을 만나면 곧 깨진다. 다른 글자가 그 사이에 끼어 있으면 이 역시 (합하는 두 글자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무력(無力)하다. 이럴 경우에는 반드시 천간에 드러나(領出) 있어야 쓸 수가 있다. 국(局)에 방(方)이 섞이면 하자가 있다는 설은, 방(方)은 방(方)을 얻는 것이 중요하고 국(局)과 섞이면 안된다는 설과 유사한데, 그 이치를 궁구하여 보면 이 역시 해롭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 (亥卯未 목국이 있을 때) 寅 글자가 보이면 같은 기운(同氣)이라고 말할 수 있고, 辰 글자가 보이면 남은 기운(餘氣)이라고 말할 수 있으면서 또한 동방의 습한 土이니 능히 목신(木神)을 생조할 수 있는데, 또 다시 어찌하여 손해를 끼치고 누를 끼치겠는가. 행운에서 남북이 나뉘는 것은 반드시 사주 가운데의 의향을 살펴보는 것이 옳다. 목국(木局)을 예로 들면 일주가 甲乙이고 사주가 순전히 木이고 다른 글자가 섞여 있지 않다면, 행운이 남방(火)으로 흘러가면 수기(秀氣)가 유행(流行)한다고 할 수 있으니 곧 순수하게 된다. 행운이 북방(水)으로 흘러간다고 해도 강한 신(强神)을 생조하므로 하자가 없다. 만약 천간 지지에 火가 있어서 수기(秀氣)를 토(吐)하고 있는 사주라면, 대운이 남방으로 행할 때는 명리(名利)가 충분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지만, 대운이 북방으로 흐를 때는 그 즉시 흉재(凶災)가 닥칠 것이다. 木을 이와 같이 논했거니와, 나머지도 (이렇게) 유추하면 된다.
이 사주는 목국이 완전하고 寅이 섞여 있다. 그런데 사주에 金이 없으니 그 기세가 종강(從强)이 된다. 일방(一方)의 수기(秀氣)를 깊이 얻었으니, 소년시절에 과거 급제하고 경진, 신사 대운에 비록 癸水가 유통시켜(化) 주었으나 여전히 고생(刑喪起倒)을 면치 못하고 벼슬길에 지장이 많았는데, 육순 이후에 대운이 壬午, 癸未로 흐르자 현령(縣令)에서 사마(司馬)로 승진하고 황당(黃堂)에서 관찰이(觀察)이 되니 돛을 올리고 큰 바다로 나아감과 같았으니 누가 능히 이를 막으랴? 이로 보건대 강한 목국(木局)을 종(從)하는 경우에는 동남북(東南北)의 운이 모두 길하고 오로지 서방 金의 대운을 만나면 극파(剋破)됨을 알 수 있다.
이 사주 역시 목국이 완전하고 寅이 섞여 있다. 丁火 식신 수기를 취함이 앞 사주를 종강(從强)으로 논함과 다른 점이다. 巳 대운에 丁火가 임관(臨官)이 되니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고, 庚午 辛未 대운은 남방의 金이니 (힘이 약해서) 체용(體用)을 손상하지 못하고 벼슬길이 평탄하다가, 壬申 대운에 木火가 모두 상하니 국(局)이 깨져서 군중(軍中)에서 죽었다. 앞 사주는 종강이니 남북(水火)이 모두 길했는데, 이 사주는 (용신이) 木火이니 서북(金水)은 해롭다. 이 두 사주를 보건대 국에 방이 섞여도 무해함을 알 수 있다.
【滴天髓原文】
若然方局一齊來. 須是干頭無反覆.
약연방국일제래. 수시간두무반복.
만약 방(方)과 국(局)이 함께 온다면, 반드시 간두(干頭)에 반복(反覆)이 없어야 한다.
방국(方局)이 함께 온다는 것은, 위의 방에 국이 섞이고 국에 방이 섞인다는 문장에 이어지는 말이다. 예를 들면 寅卯辰이 亥未를 겸한 것, 亥卯未가 寅辰을 겸한 것, 巳午未가 寅戌을 겸한 것, 寅午戌이 巳未를 겸한 것, 申酉戌이 巳丑을 겸한 것, 巳酉丑이 申戌을 겸한 것, 亥子丑이 申辰을 겸한 것, 申子辰이 亥丑을 겸한 것 등이다. 간두(干頭) 반복(反覆)이 없어야 한다는 것은 방국이 일제히 오면 그 기가 왕성하니 천간에서 그 기세에 순응하면 묘하게 된다는 말이다. 예를 들면 지지에 寅卯辰이 있고 일주가 木인데, 亥의 생조를 받거나 未의 고(庫)를 얻었거나, 또는 지지에 亥卯未가 있고 일주가 木인데 지지에 다시 寅의 녹(祿)이나 辰의 여기(餘氣)가 있다면, 왕(旺)이 극에 이른 것이다. 金으로써 능히 극할 수 있는 바가 아니라면 반드시 천간에서 火가 그 정영(精英)을 설해야 하는데, 이 때에 金水가 보이지 않으면 간두에 반복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 그 후에 土의 운으로 흐른다면 전순득서(全順得序:전체가 순응하여 질서를 얻음)가 되어 나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만약 天干에 火가 없고 水가 있다면 종강(從强)이라고 일컫는 것인데 水의 운으로 가서 그 왕신(旺神)의 기세에 순응하게 되면 가장 아름답다. 金의 대운으로 가면 金生水, 水生木이 되니 흉한 일을 만나도 해소된다. 만약 火가 있는데 水가 있거나, 혹은 火가 없는데 金이 있다면, 이것을 간두반복이라 일컬을 수 있다. 만약 운에서 안돈을 얻는다면, 土를 만난 즉 그 거역하는 水를 막아주고, 火를 만난 즉 그 미약한 金을 제거할 수 있으니, 역시 길한 것을 잃지 않게 된다. 만약 일간(日干)이 土이고 다른 천간에서 火를 얻으면 상생의 마땅함을 얻게 되므로 이 역시 반복이 아니다. 金을 만난다면 적은 것으로 (용신을 삼아서) 많은 것을 대적하는 것인데 水를 보면 강신(强神)을 생조하게 되므로 반복이 된다. 그러므로 위력으로써 이를(강자를) 제압하는 것은 덕으로써 이를(강자를) 화(化)하는 것보다 못하다. 이렇게 되면 그 기운이 흐르고 흘러서 전체가 순조롭게 되는 것이다. 다른 것도 이와 비슷하다.
癸 乙 丁 甲
未 亥 卯 寅
시 일 월 년
癸壬辛庚己戊
酉申未午巳辰
此方局齊來. 月干丁火獨透. 發洩菁英. 何其妙也. 惜乎時干癸水透露. 通根亥支. 緊傷丁火秀氣. 謂干頭反覆. 所以一衿尙不能博. 貧乏無子. 設使癸水換一火土. 名利皆遂矣.
차방국제래. 월간정화독투. 발설청영. 하기묘야. 석호시간계수투로. 통근해지. 긴상정화수기. 위간두반복. 소이일금상불능박. 빈핍무자. 설사계수환일화토. 명리개수의.
이 사주는 방국이 함께 있다. 월간 丁火가 홀로 투출하여 정영을 발설하고 있으니 어찌 묘하지 않겠는가? 애석하게도 시간에 癸水가 투로(透露)하고 지지 亥에 통근하여 丁火 수기(秀氣)를 손상하고 있으므로 간두반복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근근히 살았을 뿐이지 풍부하게 살지는 못했으며 빈핍하고 아들이 없었다. 만약 癸水가 하나의 火土로 바뀌었다면 명리(名利)가 모두 따랐을 것이다.
이 역시 방국이 함께 있는데, 간두(干頭)에 水가 없고 丁火 수기가 유행하고 행운이 심하게 거역(反悖)하지 않으니 향방(鄕榜)에 합격하고 벼슬이 주목(州牧)에 이르고 자식이 많았고 재물도 많았으며 성품이 인자하고 품행이 단정하고 수명은 팔순을 넘었고 부부간에 서로 공경하였다. 그러므로 소위 木은 인자함을 주관하며 인자한 사람은 수명이 길어서 격의 명칭을 곡직인수(曲直仁壽)라고 한다는 말이 믿을만하다고 하겠다. 이 두 사주를 비교해 보건대 간두반복(干頭反覆)과 전순득서(全順得序)는 천양지차라는 것을 알 수 있다.
【滴天髓原文】
成方干透一元神. 生地庫地皆非福.
성방간투일원신. 생지고지개비복.
방(方)을 이루고 천간에 하나의 원신(元神)이 투출하면, 생지(生地)와 고지(庫地)가 모두 복이 되지 못한다.
방(方)을 이루고 천간에 원신(元神)이 투출했다는 말은 일주가 곧 방(方)의 기운인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木方인데 일주가 木이거나 火方인데 일주가 火라고 한다면, 이는 곧 원신이 투출한 것이 된다. 생지(生地)와 고지(庫地)가 모두 복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신왕하면 또 다시 생조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음이다. 그러나 이 역시 그 기세를 잘 살펴야지 한가지로 논하면 아니 된다. 방을 이루고 원신이 투출하면 왕한 것을 가히 알 수가 있다. 당연히 또 다시 생지와 고지로 가서 방(方)을 돕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 만약 년월시의 천간에 재관이 섞여 있지 않고 겁재와 인수가 있다면 일컬어 종강(從强)이 되는 것이니 생지와 고지가 있어도 역시 능히 발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수하게 하나의 火의 운으로 가면 진정한 수기유행(秀氣流行)이 되니 명리가 모두 따를 것이다. 만약 년월시의 천간에 재관이 무기(無氣)한데 또 다시 생지나 고지로 간다면 비단 발복하지 못할 뿐 아니라 온갖 고생을 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누차 시험해 보아도 잘 맞았기에 이 책에 기록하는 바이다.
이 사주는 방을 이루고 천간에 원신이 투출했으며 사주에 金水가 섞이지 않았고 시간에 丁火가 수기를 토하고 있으니 순수하여 볼만하다. 초중년 대운이 火土의 마을로 가니 향방(鄕榜)에 합격하고 좋은 곳으로 발령이 났다. 아쉬운 것은 목다화식(木多火熄)이라 丁火가 이를 설기하기에 부족한 것이다. 그러므로 운이 庚申에 이르자 화를 면할 수 없었다. 이 사주가 만약 時에 丙寅이 있었다면 반드시 갑방(甲榜)에 급제하고 벼슬길이 혁혁하였을 것이고, 庚申 대운에도 丙火가 충분히 이를 대적할 수 있으므로 대흉(大凶)에는 이르지 않았을 것이다.
이 사주는 재가 월지(提綱)에 있어서 왕하고 丙火 식신이 이를 생조하고 있으니 당연히 재성이 용신이 되고 丙火가 희신이 되고 癸水가 기신이 된다. 신왕하여 재를 용신으로 취하는 사주이니 십여만 금의 유산을 받았다. 초년 水木 대운에 한번에 망해서 불꺼진 재처럼 되었고 辛亥 대운에 이르러 火가 절(絶)하고 木을 생하고 水는 왕지(旺地)에 임하니 추위와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이를 보건대 방을 이루든 국을 이루든 반드시 먼저 재관의 세력을 살펴 보아야 한다. 만약 재가 왕하고 월지에 있다면 재가 용신이 되니, 관성이 재를 얻으면 관성이 용신이 된다. 만약 재성이 월지에 통하지 못하고 관성이 왕한 재성의 생조를 받지 못한다면 반드시 그 적은 것을 버리고 그 무리를 지은 것을 따라야 한다. 여타의 경우도 이와 같다.
【滴天髓原文】
成局干透一官星. 左邊右邊空碌碌.
성국간투일관성. 좌변우변공녹녹.
국(局)을 이루고 천간에 일단 관성이 투출하면, 왼쪽 오른쪽이 모두 헛되고 보잘 것 없다.
만약 지지에 木局을 이루고 일주 원신이 투출했는데 다른 천간에 辛의 정관이나 庚의 칠살이 보이는데 (관살이) 허탈하고 무기(無氣)하다면, 설사 다른 천간에 土가 있다고 해도 이 土 역시 휴수(休囚)되어 있어서 金을 생조하기 어려우니 반드시 지지에 申酉丑 가운데 하나의 글자라도 있어야 아름답게 된다. 만약 申酉丑이 없고 도리어 寅辰 글자가 있다면 곧 木의 세력은 더욱 성하고 金의 세력은 더욱 쇠해진다. 그러므로 하잘 것 없이 평생을 보내게 되고 명리를 모두 이루지 못한다. 만약 세운(歲運)에서 그 관성을 제거한다면 역시 발달한다. 필요한 것은 사주에 먼저 식상이 있은 연후에 세운에서 관살의 뿌리를 깨끗이 제거한다면 명리가 따른다. 木局이 이와 같으니 다른 것도 이렇게 논한다.
이 사주는 乙木이 월지에 통근(歸垣)하고 亥卯未가 모두 있으니 木의 세력이 왕성하고 金의 기운이 허탈하다. 가장 기쁜 것은 시에 丁火가 투출하니 제살하는 용신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초년 대운 土金의 마을에 분주하게 움직였으나 기회를 잡지 못하다가 丁亥 대운에 이르러 木을 생하고 제살하니 군대에서 공을 세워서 현좌(縣佐) 벼슬을 얻었고, 丙戌 대운에 丁을 도와 辛을 극하니 현령(縣令)으로 승진했다. 이것이 소위 강한 것이 무리를 지어서 적은 것을 대적하는 경우에는, 세력은 그 적은 것을 제거함에 있다고 하는 것이다. 칠살이 왕하면 (칠살을) 제어함이 마땅하다고 추리하는 것과는 다르다. 酉 대운에 이르러 칠살이 녹을 얻어 왕해지고 木局을 파하니 사망했다.
이 사주는 乙木이 월지에 통근(歸垣)하고 비록 국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그러나 寅時이니 亥時에 비하면 그 역량이 몇 배나 된다. 대국적으로 보면 원국 중에 土가 세게 金이 두 개가 있으니 흡사 재성이 왕한 칠살을 생조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卯가 월지에 있어서 왕하고 모든 지지에 木의 뿌리가 있어서 왕하니 金의 생지(生地)는 아니다. 초년 대운 土金의 마을에 공립학교에 입학하여 장학금을 받았고 집안 재산이 풍족하다가, 丁亥 대운에 (용신) 칠살을 제압하고 (기신이) 국을 이루니 처자를 극하고 재산을 까먹고 죄를 지어 면직되고 우울하게 지내다가 사망했다.
癸 乙 己 庚
未 亥 卯 寅
시 일 월 년
乙甲癸壬辛庚
酉申未午巳辰
此造正合本文成局干透官星. 左右皆空. 四柱一無情致. 用財則財會劫局. 用官則官臨絶地. 用神無所着落. 爲人少恒一之志. 多遷變之心. 以致家業破耗. 讀書學醫. 一無成就. 而且財散人離. 削髮爲僧.
차조정합본문성국간투관성. 좌우개공. 사주일무정치. 용재즉재회겁국. 용관즉관임절지. 용신무소착낙. 위인소항일지지. 다천변지심. 이치가업파모. 독서학의. 일무성취. 이차재산인리. 삭발위승.
이 사주는 바로 본문의 국을 이루고 관성이 투출하면 좌우가 모두 헛되다는 말에 해당한다. 사주에 정(情)이 이르는 곳이 한 군데도 없다. 재를 용신으로 삼으려고 해도 겁재가 국을 이루고 있고, 관을 용신 삼으려고 해도 절지에 임해 있으니 용신이 안착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위인이 한가지 뜻을 견지하지 못하고 변덕이 심하여, 기업을 까먹고 공부를 하지도 못하더니, 의술을 배우다가 성취하지 못하고 또 다시 풍수(堪輿)를 배워 스스로 장중경과 양구빈과 뇌포의가 다시 세상에 나왔다고 하였으나 세상 사람들이 그를 믿지 않았다. 또 다시 무(巫)를 배우고 역(易)을 배우고 명(命)을 배우는 등 매우 많은 것을 배웠으나 깊이 있게 하지 못하고 하나도 이룬 것이 없었다. 그리하여 재산이 흩어지고 가족과 헤어지고 삭발하여 중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