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든간 잘된 것은 드러난 표시된 것이 없다는 것으로서 일정한 그 무슨 준칙이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고, 그 역설적인 논리 그 이미 시비간에 반대가 설정되어 있음으로서 그 전개 浮刻(부각) 된다는 것을 여기서는 말하여 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좋은 행실은 지나간 찍힌 바퀴 자국이 없고 좋은 言行(언행)은 옥티 잡을 구실이 없고 셈이 잘 이뤄진 것은 수판을 두둘길 일이 없으며 잘 닫긴 문은 그 빗장걸이를 하지 않아도 열리질 않는 것 이고 잘 묶여진 것은 줄을 사용하지 안 었서도 풀리지 않는 것이다 이래서 聖人(성인)은 늘 상 좋은 사람을 찾는 데에서는 이러한 원인으로 그 포기해야 할 사람이 없고 늘 상 좋게 事物(사물)을 구원함에 있어서도 이런 원인으로 인해서 그 포기하는 사물이 없다하는 것이다 이를 갖다가선 그 밝은 것이 몸에 베었다 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善(선)한 사람은 不善(불선)한 사람을 스승 삼고 不善(불선)한 사람은 선하고자 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의 입장이라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귀하지 못한 것에 스승이 있는 것이고 사랑해야 하지 않을 것에 도움 받을 일이 있는 것이라는 것이다 비록 아무리 커다란 지혜이라도 그 혼미한 것이 그렇게 없다면 그 지혜를 어디서 발굴 해 낼 것인가 이런 내용이라 이를 갖다가선 要點(요점)의 묘미라 하는 것이다 하고 있다
소이 크게 혼미한 것이 있어 야지만 지헤로움이 생긴다 그 슬기로움이 샘솟는 곳 샘솟게 하는 곳이라는 것이리라 모든 슬기로움이 그 발단이 원인 그 治積(치적)할 것이 있은 다음에야 그렇게 發想(발상)이 되어선 있게 된다는 것이리라
* 本文 第二十七章= 착한 행실은 찍히는 자취가 없고 착한 말은 탈잡을게 없고 잘하는 계산은 셈 가지를 사용하지 않고 잘 닫히는 문은 빗장질 아니해도 삐그덕 하게 열리지 않고 매듭이 잘 지어진 건 줄로 묶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다 이래서 성인이 늘 상 착하게 사람을 구원하는지라 그런 까닭에 버려지는 사람이 없고 늘 상 물건을 잘 구원하는지라 버려질 물건이 없다 이를 일러 밝음을 드리웠다(* 밝음속에 밝게 있다는 뜻)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은 착하지 않는 사람을 스승하고 착하지 않은 사람은 착한 사람의 도움을 준다 하니 그 스승된 위치가 귀하게 여기는 게 아니요 (*불선한걸 어찌 귀하다 할 것인가?) 그 도움되는걸 사랑하지 않는다 함인 것이니(* 역자 좁은 소견에 역설적으로 내 도움된다고 불선한게 자꾸만 생겨나라 할 순 없잖는가?) 비록 큰 혼미함이라 하더라도 이런데 묘한 요점이 되는걸 알게 된다 할 것이다
* 착한 행실은 수레바퀴 찍히는 것처럼의 자취가 없다 선한 말씀은 옥에 티를 말하는 것처럼의 그러한 꾸짓을 것이 없다 좋은 셈법은 주산과 산 가치를 쓰지 않어도 셈할수 있다 잘 닫은 문은 빗장을 걸지 않아도 열리지 않는다 잘 매듭지어진 것은 굳이 끈으로 묶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다 이래서 성인은 늘 상 좋게 사람을 구한다 그러므로 버릴 사람이 없다 늘 상 착하게 사물을 구원한다 그러므로 버릴 물건이 없다
이를 일러서 그 밝음이 스며들어 있다한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은 착하지 못한 사람을 그 스승으로 삼는다 착하지 못한 사람은 착한 사람을 도우는 입장에 있게 된다 [*역설적 논리를 갖다가 부치는 모습이다 ] 착한 사람을 도와주대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기지 않게 하고 그도움을 사랑하게 하지 않는다 그러한 이치를 관찰컨대 비록 지혜가 너무나도 커 보이는지라 이래 되려 큰 혼미함으로 여겨진다 이를 일러선 요점의 묘결이라 하는 것이다 * 소이 나쁜 것도 내가 지향 할바의 他山之石(타산지석)이 되니 세상에 있는 모든 다른 것이야 말할 나위 있을 건가 이런 견해이리라
* 소씨 주석하대. 이치를 깨우쳐서 실천함으로 찍힌 자욱이 없고 적절한 연후에 말하는지라 말씀이 천하에 가득해도 입을 허물잡지 못한다 만물에 수를 앞에 나열해서 계산치 않아도 아는데 뭘하러 셈 갓치를 쓸 것인가? 덕이 완전한사람은 그 만물에 있어서 어머니와 어린 자식간과 같다 할 것인데 비록 따로 세워 놓고 손떼지 못함과 같음이라 빗장 없어도 잘 닫히며 줄 없이도 잘 묶여 있는데 저- 방법을 쓰는 자와 셈 갓치를 가진 자는 계산함을 써서 빗장을 만들어 문을 닫고 줄을 지녀 갖곤 묶어 재키나 그 역량을 끼치는 바는 작다 성인은 사람에 있어서 특별나게 거동치 않으셔도 구원하시길 잘하신다 내가 사람을 버리지 않는데 사람이 어찌 내게 돌아오지 아니하리요 함인 것이다 대저 사람을 위난 가운데 구원하는 게 구원함의 큰 것은 아닌 것이다 바야흐로 나고 죽음이 흘러 궁글름이 물질의 폐단이 되는 것이라서 유추컨대 내 밝음에 다달은걸 더불게 하대 어두운자들로 하여금 다들 밝게 하길 등불같이 하여서 서로 전하고 서로 드리워서(*서로가 서로를 비추면 어둠이 물러간다는 뜻이리라) 끊어지지 않게 하면 이것이 곧 사람을 잘 구원하는 것이 된다 할 것이다 성인이 세속 사람과 같이 私利 營利追求(사리 영리추구)등 딴 뜻을 두어 가르침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그 도움되는걸 사랑하지 않는다 천하가 딴뜻 없이 배움에 전념하는 연고로써 그 스승을 귀하다 않는다 성인이 유독 나로 하여금 천하를 망각케 않하고 역시 천하로 하여금 나를 잘 망각케 하는 이유는 성인의 묘한 점은 비록 지혜 있는 자라도 깨우치지 못할 바가 있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묘한 요점이라 하는 것이다 (*묘한걸 찾는 것이라 함인 것이다)
* 여씨 주석하대. 수레가 행하면 수레바퀴 자국이 나고 사람이 걸어가면 발자국이 난다 즉 실로 행해서 자취가 남지 않는 것이 없을 정도다 해야할걸 알아 행하면 행할게 하지 않을 것에서 나는 것이다 (* 따지고 보면 행할 거와 행하지 않을걸 변별해서 하지 않을 것을 발판으로 해서 해야할걸 터득해서 하게되는지라 소위 밭이란 행치 못할 터요 씨앗의 發芽(발아)는 행하는 것이다 ) 그래서 하지 않을 것에서 행할게 나온다 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좋은 행실은 찍힌 자취가 없다는 것이다 (*譯者言= 사람이 또한 수모를 겪은 것은 머리에 오래 남지만 남에게 은덕을 입은 것은 오래 기리지 못하는 것이다 또 내가 베푼 것은 오랫동안 간직 생색거리가 되고 남에게 해로움을 입힌 것은 합리화를 성립시켜 금새 머리에서 떨쳐 버리고자 한다 할 것이다 ) 지혜로운 자는 말이 없고 수다쟁이는 슬기롭다 할 수 없다, 말 자체론 실로 탈잡을게 없는 것이나 말할 줄 알아서 말을 내는 것이라면 곧 말이란 것 또한 앞과 같은 논리에 의해 말하지 못할 것을 발판으로 해서 나오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좋은 말씀은 탈잡아 꾸짓을게 없다는 것이다. 하나(*壹)란게 말씀과 더불으면 둘이되고 { (*하나란 의미를 말씀이란 거와 연계시켜 합리화 시키면 (예로 하나란 길이요 생명이요 하늘에 말씀이다 하나란 하늘 님의 말씀을 대표한다 이런 논리전개) 둘이란 게 성립되고 즉 늘어난다.)} 이미 둘이란 의미를 이미 하나란 의미와 결부시키면 셋이 성립된다 (*譯者言= 소위 無極 太極 兩儀 方式과 가로세로 높이 방식의 時空원리일 뿐이다 三과四는 합하면 七인데 이는 짝수의 개념과 홀수의 개념에서 나왔다 홀짝이란 개념의 수합은 셋이 되는 것이다) 이로 부터 지난 업적 쌓임을 재주 가진 경력의 산술 법으로선 능숙하게 계산할게 못되는 것이라 오직 하나의 도리를 깨우침을 얻어서야만 수다(言多)를 망각하는 것이라서 유능한 수셈을 이루고 수에 통달함에 이르면 그 계산하는 것에 그렇게 궁색하지 않는다 할 것이다 그런 까닭에 말하길, 좋은 계산은 셈 가지를 쓰지 않는다 함이니 하늘이 문을 여닫음이 없고 여닫음이 내게 존재한다 내가 곧 열지 않는다면 누가 능숙하게 열 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길, 잘 닫히는 문은 빗장 없어도 삐금하게 열리지 않는다 천하에 떳떳함이 그렇게 존재하는 것은 약속을 줄로써 묶지 않아도 그 그렇게 떳떳한 매듭을 지음이라 그러므로 잘 맺힌 건 줄 없이 묶은 것이라도 그렇게 잘 풀리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행함에 있어서 이러함을 쓰지 않으면 자국이 있게 되는 것이고 말씀에 있어서도 이러함을 쓰지 않으면 말함에 병탈이 잡히게 된다 계산하는 것이나 닫는 것이나 매듭짓는 것이나 등에 있어서도 이러함을 쓰지 않으면 비록 주산을 갖고 계산하더라도 어지러워지고 빗장을 지르더라도 열리고 줄로 단단히 묶는 것 같이 하더라도 풀릴 것이니 이렇게 몸에 존재하는 게 폐단이 있는데 어느 겨를에 딴 사람과 만물들을 구원한다 할 것인가? 성인은 오직 능숙하게 길을 몸 삼아서 이 다섯 가지를 잘 행한다 이래서 늘 상 사람을 잘 구원해서 버려지는 사람이 없고 늘 상 만물을 구원하길 잘해서 버려지는 물건이 없다 어떻게 하면 이 다섯 가지가 본성에 부여된 이치와 그렇게 같이 잘 합할 수 있겠는가? 그것은 오직 성인의 늘 상 그러한 밝음을 알아서 구원함을 같이하는 사귐에 있을 뿐이다 (*소위 성인이 하시는 일에 동참하는 데에 있다는 뜻임) 실행하고 말씀하고 계산하고 닫고 매듭짓고 등에 있어서 그 그렇게 할 바를 모르면 그 밝은 빛 속에서도 바르게 봄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말하길 이를 일러 밝음을 드리우면 오직 그 잘 구원할 수 있다 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은 착하지 못한 사람을 스승하고 착하지 못한 사람은 착한 사람을 도운다 함인 것이다 사람을 착하지 않는 것이라 하는 것도 밝혀주는 것으로 되는데 뭘 버릴게 존재 할 것인가? 비록 그렇더라도 길에 뜻을 둔 자 마음을 망각하고 착한 사람이 비록 착하지 못한 사람을 스승 한다 해도 내- 그 스승의 바르게 귀함 됨을 모른다 착하지 못한 사람이 비록 착한 사람을 도우는 주체라 해도 내- 그 도움을 바르게 사랑할 줄 모른다 그 스승을 귀히 여기지 않고 그 도움을 사랑하지 않을 것 이라면 비록 지혜 있는 자라 해도 알지 못할 바가 있어서 멀어 혼미한 듯 함이라 (*이것이 뭐가 뭔지 어덜떨 하다는 뜻이리라) 대저 결론컨대 지혜로 구함을 써도 얻지 못한다는 게 이 길의 묘한 요점이 된 바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비록 지혜 있더라도 크게 혼미함이니 이를 일러 묘한 찾음(*요점, 구함.)이라 함인 것이다
* 박씨 주석하대. 자국과 말씀의 병됨과 주산으로 계산함과 빗장과 줄로 묶음 등의 다섯 가지 비유를 듦은 모두 함이 있음 자취 있음을 말함인 것이다 이러함 없으면 함이 없는 것이라서 자취가 없어지리라 성인은 하염없이 늘상 자연에 순응해서 그 자취를 볼 수 없는 지라 그러므로 이러함으로써 깨우쳐 고한다 성인은 사람과 만물에 있어서 그 착하지 못한걸 보면 늘 상 달래어서 인도 해감에 착하지 못한 자로 하여금 변화하게 하여 착함을 위하니 슬퍼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만 있지 천박시 보거나 미워하는 뜻은 없다 그런 까닭에 잘 구원해서 버려지는바가 없고 아울러 모든 걸 용납하고 끌어안아서 좋아함과 미워함의 자취를 보이지 않는 것이다 밝음을 드리운다(*襲=습=엄습하다 불의에 쳐들어가다 잇다 계승하다 받다.)는 것은 밝음을 소중히 여긴다는 뜻이다 밝은 게 또 밝으면 오히려 큰 밝음을과 같다 임씨가 말하길 襲이라하는 것은 藏=장=갈무린다는 뜻이다 성인이 일찍이 사람을 버리거나 만물을 포기할 마음이 있지 않았으니 화락한 빛이 티끌과 같이 해서 더불음은 하나가 되기 위함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밝음을 드리운다 함과 뜻이 역시 통한다 할 것이다 (資=자) 즉 도와서 착하게 되게 함인 것이다 성인이 사람을 잘구원하면 착하지 못한 사람이 성인의 도우는 바로서 착한 자가 된다 愛(애)란 애석하게 여긴다 아낀다는 뜻으로도 쓴다 그 도움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 도움되는 바를 아끼지 않고 확연한 깨우침에 다달을 때까지 (*착함을 이룰 때까지) 미치는 영향력을 극대화해 쓴다는 뜻이다 사람이 다만 그 스승할게 크게 혼미해서 귀함되지 못함만 알고 그 도움되는 것이 옳치 못한 것으로 이루어 졌음을 아끼지 아니 할 줄을 모른다 진실로 그 도움되는걸 아끼지 않으면 비록 어진 지혜를 가진 자라도 역시 한가지로 큰 혼미함에 돌아간다 할 것이다 이러한 이치를 통달한자 바르게 묘한 요점의 길을 잘 얻었다 할 것이다 이러함을 이끌어서 스승이 귀하지 않아도 밝음을 쓰는 것이요 도움되는 게 그릇된 맺힘이라도 아끼지 않는 것이니 사람을 버릴게 없고 만물을 버릴게 없다는 뜻이다 (* 譯者言= 소위 知彼知己면 백전 백승이라고 뭔가 알아보겠다고 뛰어든 것이 지나치게 휩쓸린게 되어 그만 물이 들게 되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깨침을 받을려 들어간게 도리혀 악의 구렁텅이로 떨어진 것이되 지혜있는 자라도 도리혀 혼미한 것이 되어진 것이라 할 것이다 이것이 내 깨침에 도움이 되는것이라 해서 자제할 줄 모르고 덤벙거리면 저쪽의 끌어당기는 힘이 셀 땐 물이 든다는 것이다 그런걸 조금 겪고 그런걸 아니하기 위해서 기르침 받을려 들어갔던 것이 도리혀 깊게 물이 들어 나락에 떨어지면 그와 같이 혼미해졌다 할 수밖에 더 있겠는가? 가령 마약 단속반원이 마약 집단을 퇴치하겠다고 그 소굴에 들어가서 그하는 행위에 휩쓸리게 되어 손을 떼질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면 도리혀 이쪽의 정보를 저쪽의 보스에게 제공할 것인데 어찌 혼미 한데 떨어졌다 아니할 것인가? 이상의 역자의 부언에 뜻도 좀 통한다 할 것이다) 맹자 말하길 맞음이 맞지 않는걸 맞게끔 길르고 재주 있는 자가 재주 없는 자를 재주 있게 끔 길른다 할 것이니 만일 맞음이 맞지 안는 것이라 해서 버리고 재주있는 자가 재주 없는 것이라 해서 버린다면 어짊과 불초함이 서로 거리가 한마디도 잘 안될 것이라 하니 노자의 뜻은 대저 이와 같음을 뜻한다 할 것이다 * 역자 더부언 한다면 착하지 못한 사람이 착한 사람의 스승이란 뜻은 착한 사람이 착하지 못함을 보고 스스로가 그 불선 함에 물들지 않는 것을 깨우침 받는 건 둘째치고 그 착하지 못한 사람을 착함으로 이끄는데 미묘한 스승된 점이 있다는 뜻이다 즉 그러한 깨침이 있게된 원인제공자 였음으로 어떻게 됬던 (*내가 그를 선으로 이끌 그런 입지가 되었던간) 나에 스승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