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칭호(몇 代祖, 몇 代孫)와 촌수는 구별해야 한다. 직계의 촌수는 셀 때만 필요(1촌 2촌 3촌 4촌 등)하고 방계 촌수도 나의 숙항(3촌 5촌 7촌 9촌 등) 동항(4촌 6촌 8촌 등)을 제외하고는 셀 때만 필요하다.
3. 촌수의 정의; 나의 촌수의 정의 父 母의 혈통 관계를 따질 때 그 가깝고 먼 것을 나타내는 거리의 척도이다. 즉 세와 세간의 거리이다. 그 수치로 1촌 2촌 3촌 4촌 등으로 나타낸다. (이 방법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됨) 나를 기준으로 한 계산방법 예; 나와 가장 가까운 사이는 부친과 아들이므로 다 같이 1촌, 나와 조부는 부친보다 멀므로 2촌, 조부와 숙부는 1촌이고 나와는 멀므로 나와 숙부는 3촌, 이렇게 하면 나와 종제는 4촌이 된다. 촌수는 나의 방계 일부 즉숙항(3촌 5촌 7촌 등) 동항(4촌 6촌 8촌 등)만 위함이나 직계를 셈하지 않고 알 수가 없고 촌수는 칭호가 아니지만 주로 나의 항렬과 숙항에 칭호로 쓰이기도 하나 바람직하지 않다.
참고자료; 1. 퇴계 선생의 촌수도; 별도 2. 안동권씨 촌수 계산법(홈페이지에서) ……… 촌수를 따지는 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부부(夫婦), 즉 내외간은 한몸과 같은 일신(一身)이라 해서 무촌(無寸)입니다. 그 다음 부모와 자식 사이가 1촌이고 형제간은 2촌입니다. 조부모와 손자녀 사이도 2촌입니다. 숙백부모(叔伯父母)와 조카 사이가 3촌이고 조카들끼리, 즉 형제의 자식들 사이가 4촌이며, 4촌의 자식과는 5촌이 되고 4촌의 자식들끼리는 6촌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