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饗 |
顯 |
顯 |
顯 |
維 | ||||||||
淸 |
考 |
妣 |
考 |
|||||||||
酌 |
孝 |
歲 | ||||||||||
庶 |
諱 |
孺 |
校 |
子 |
次 | |||||||
羞 |
日 |
人 |
長 |
鍾 |
||||||||
復 |
密 |
府 |
泰 |
|||||||||
恭 |
臨 |
陽 |
君 |
|||||||||
伸 |
朴 |
敢 |
八 | |||||||||
奠 |
追 |
氏 |
昭 |
月 | ||||||||
獻 |
遠 |
告 |
||||||||||
感 |
歲 |
于 |
||||||||||
尙 |
時 |
序 |
||||||||||
遷 |
二 | |||||||||||
昊 |
易 |
十 | ||||||||||
天 |
九 | |||||||||||
罔 |
日 | |||||||||||
極 |
||||||||||||
謹 |
||||||||||||
以 |
饗 |
顯 |
顯 |
顯 |
維 | ||||||||
淸 |
考 |
妣 |
考 |
|||||||||
酌 |
孝 |
歲 | ||||||||||
庶 |
諱 |
孺 |
校 |
子 |
次 | |||||||
羞 |
日 |
人 |
長 |
鍾 |
||||||||
復 |
密 |
府 |
泰 |
戊 | ||||||||
恭 |
臨 |
陽 |
君 |
寅 | ||||||||
伸 |
朴 |
敢 |
八 | |||||||||
奠 |
追 |
氏 |
昭 |
月 | ||||||||
獻 |
遠 |
告 |
辛 | |||||||||
感 |
歲 |
于 |
未 | |||||||||
尙 |
時 |
序 |
朔 | |||||||||
遷 |
二 | |||||||||||
昊 |
易 |
十 | ||||||||||
天 |
九 | |||||||||||
罔 |
日 | |||||||||||
極 |
己 | |||||||||||
亥 | ||||||||||||
謹 |
||||||||||||
以 |
♣ 기제사의 차례 ♣ |
1. 분향재배 : 제주가 향을 피우고 2번 절함
2. 강신재배 : 제주가 술(잔에 차지 않게 조금 따름)을
모사그릇에 3번으로 나누어 붓고 2번 절함
3. 참 신 : 제주이하 모든 참신자가 함께 2번 절함
4. 초 헌 : 제주가 을 올림
⑤ 독 축 : 초헌(첫 술잔을 올림)이 끝나면 제주이하 모든 참사자가
무릎꿇고 부복하며, 축관은 앉아서 엄숙한 목소리로 축문을 읽음. 읽기가 끝나면 잠시후 일어나며 제주는 2번 절함
6. 아 헌 : 2번째 을 올림
7. 종 헌 : 3번째 을 올림
8. 계반삽시 : 메(밥)그릇의 뚜껑을 열고 수저(수저바닥이 동쪽을 향하게) 를 꽂음
9. 유 식 : 제주가 무릎꿇고 을 조금 따라서 좌·우측사람을 통하여 술을 채우도록 함 (첨작)
⑩ 합 문 : 참사자 일동이 문을 닫고 대청이나 마루에서 조용히 기다 림 (합문의 시간은 밥을 9번 떠 먹을 동안의 시간)
⑪ 계 문 : 제주가 앞에서서 기침을 하고 문을 열고 일동을 데리고 들어감
12. 헌 다 : 숭늉을 갱(국)과 바꾸어 올리고 메(밥)를 조금씩 3번 떠다 말아 놓고 숟갈을 숭늉그릇에 담근다.
13. 철시복반 : 숭늉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고 메(밥)그릇의 뚜껑을 덮 는다.
14. 사 신 : 참사자 일동이 2번 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태움
15. 철 상 : 상을 걷는 것을 말함 (모든 제수는 뒤에서 부터 물린다)
16. 음 복 : 조상께서 주신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제사가 끝나면
참사자와 가족이 모여서 시식을 한다.
※<설·추석 차례>는 (8.계반삽시)가 (3.참신)다음에 오며 ⑤⑩⑪을 제외하고 기제사와 같이 행한다.
※ 家家禮(가가례) - 집안에 따라 예법이 다를 수 있음
饗 |
顯 |
顯 |
顯 |
維 | ||||||||
淸 |
考 |
妣 |
考 |
|||||||||
酌 |
孝 |
歲 | ||||||||||
庶 |
諱 |
孺 |
校 |
子 |
次 | |||||||
羞 |
日 |
人 |
長 |
鍾 |
||||||||
復 |
密 |
府 |
泰 |
丁 | ||||||||
恭 |
臨 |
陽 |
君 |
丑 | ||||||||
伸 |
朴 |
敢 |
八 | |||||||||
奠 |
追 |
氏 |
昭 |
月 | ||||||||
獻 |
遠 |
告 |
丁 | |||||||||
感 |
歲 |
于 |
未 | |||||||||
尙 |
時 |
序 |
朔 | |||||||||
遷 |
二 | |||||||||||
昊 |
易 |
十 | ||||||||||
天 |
九 | |||||||||||
罔 |
日 | |||||||||||
極 |
乙 | |||||||||||
亥 | ||||||||||||
謹 |
||||||||||||
以 |
<축문 쓰는 법>
1. 축문은 길이 36cm 정도 폭 24cm 정도의 백지위에 정자로 쓴다.
2. 축문의 문구 중 維(유)자, 顯(현)자, 饗(향)자는 한글자 위로 올려 쓴다.
3. 干支(간지) : 제사든 당년의 太歲(태세) 즉 丁丑(정축)년이면 丁丑(정축)이라 쓴다.
4. 某月(모월) : 제사든 달이 음력 八月(팔월)이면 八月(팔월)이라 쓴다.
5. 干支朔(간지삭) : 제사든 달의 음력 초하루 日辰(일진)을 쓴다. 예로서 八月中에 제사를 지내고 음 력 八月 一日의 일진이 丁未(정미)이면 丁未朔(정미삭)이라 쓴다.
6. 某日(모일) : 제사날이 음력 二十九日이면 그대로 二十九日이라 쓴다.
7. 干支(간지) : 제사날의 日辰(일진)을 그대로 쓴다. 즉 제사 당일의 일진이 乙亥(을해)면
그대로 乙亥(을해)라 쓴다.
8. 제관명 : 부모제사면 孝子(효자), 조부모제사면 孝孫(효손), 증조부모제사면 孝曾孫(효증손), 고조부 모제사면 孝玄孫(효현손)이라 쓰고, 제관이름을 쓴다.(예. 鍾泰 )
9. 관직명 : 생전에 벼슬을 했을 경우 學生(학생)대신, 벼슬의 직급인 「理事官」혹은 「校長」,「道 知事」 등의 직위를 쓴다.
10. 본관 : 母(모), 祖母(조모) 曾祖母(증조모), 高祖母(고조모)의 본관성씨를 쓴다.(예. 密陽朴氏)
11. 양위분 모두 돌아 가셨을 경우 축문중 諱日復臨(휘일부림)이라는 문구 앞에
아버지 제사이면 顯考(현고), 어머니 제사이면 顯妣(현비),
할아버지 제사이면 顯祖考(현조고), 할머니 제사이면 顯祖妣(현조비),
증조부 제사이면 顯曾祖考(현증조고), 증조모 제사이면 顯曾祖妣(현증조비),
고조부 제사이면 顯高祖考(현고조고), 고조모 제사이면 顯高祖妣(현고조비)라 쓴다.
양위분중 한분만 돌아 가셨을 경우는 그대로 諱日復臨(휘일부림)을 쓴다.
12. 설명을 참고하여, 앞쪽의 축문양식에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등과 색깔있는 부분을 수정한후 인쇄하여 사용하기 바랍니다.
지방쓰는 양식도 같이 올리려 했으나, 너무 컴퓨터에 의존하는 것도 좋지 않은 것 같고,
축문은 글자(漢字)수가 많고 간격을 맞추기가 쉽지않아 인쇄하여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겠으나,
지방만큼은 한지를 오려서 붓(붓펜)으로 정성들여 써서 제사를 모시는 것이 자녀교육에도 좋을 것 같아 올리지 않았음.
앞 축문을 한글로 읽고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글) 유 세차 정축팔월정미삭이십구일을해
효자 종태 감소고우
현고 교장부군
현비 유인밀양박씨 세서천역
현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향
(해석) 아버지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애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흠향 하시옵소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