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hammacakkappavattanavaggo
Dhammacakkappavattanasuttaṃ
‘‘Ekaṃ samayaṃ bhagavā bārāṇasiyaṃ viharati isipatane migadāye. Tatra kho bhagavā pañcavaggiye bhikkhū āmantesi – ‘‘dveme, bhikkhave, antā pabbajitena na sevitabbā. Katame dve? Yo cāyaṃ kāmesu kāmasukhallikānuyogo hīno gammo pothujjaniko anariyo anatthasaṃhito, yo cāyaṃ attakilamathānuyogo dukkho anariyo anatthasaṃhito. Ete kho, bhikkhave, ubho ante anupagamma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Katamā ca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Ayaṃ kho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ṃ ariyasaccaṃ – jātipi dukkhā, jarāpi dukkhā, byādhipi dukkho, maraṇampi dukkhaṃ, appiyehi sampayogo dukkho, piyehi vippayogo dukkho,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pañcupādānakkhandhāpi (pī. ka.)] dukkhā.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 yāyaṃ taṇhā ponobbhavikā [ponobhavikā (sī. pī.)] nandi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seyyathīdaṃ (sī. syā. kaṃ. pī.)]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 yo tassāyeva taṇhāya asesavirāganirodho cāgo paṭinissaggo mutti anālayo.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pe… sammāsamādhi.
‘‘‘Idaṃ dukkh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ṃ ariyasaccaṃ pariññeyy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ṃ ariyasaccaṃ pariññā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pahā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pahīn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sacchikā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sacchika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bhāve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bhāvi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Yāvakīvañca me, bhikkhave, imesu catūsu ariyasaccesu evaṃ tiparivaṭṭaṃ dvādasākāraṃ yathābhūtaṃ ñāṇadassanaṃ na suvisuddhaṃ ahosi, neva tāvāhaṃ, bhikkhave , sadevake loke samārake sabrahmake sassamaṇabrāhmaṇ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paccaññāsiṃ [abhisambuddho paccaññāsiṃ (sī. syā. kaṃ.)].
‘‘Yato ca kho me, bhikkhave, imesu catūsu ariyasaccesu evaṃ tiparivaṭṭaṃ dvādasākāraṃ yathābhūtaṃ ñāṇadassanaṃ suvisuddhaṃ ahosi, athāhaṃ, bhikkhave, sadevake loke samārake sabrahmake sassamaṇabrāhmaṇ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paccaññāsiṃ. Ñāṇañca pana me dassanaṃ udapādi – ‘akuppā me vimutti [cetovimutti (sī. pī.)], ayamantimā jāti, natthidāni punabbhavo’’’ti. Idamavoca bhagavā. Attamanā pañcavaggiyā bhikkhū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unti.
Imasmiñca pana veyyākaraṇasmiṃ bhaññamāne āyasmato koṇḍaññassa virajaṃ vītamalaṃ dhammacakkhuṃ udapādi – ‘‘yaṃ kiñci samudayadhammaṃ, sabbaṃ taṃ nirodhadhamma’’nti.
Pavattite ca pana bhagavatā dhammacakke bhummā devā saddamanussāvesuṃ – ‘‘etaṃ bhagavatā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Bhummānaṃ devānaṃ saddaṃ sutvā cātumahārājikā devā saddamanussāvesuṃ – ‘‘etaṃ bhagavatā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Cātumahārājikānaṃ devānaṃ saddaṃ sutvā tāvatiṃsā devā…pe… yāmā devā…pe… tusitā devā…pe… nimmānaratī devā…pe… paranimmitavasavattī devā…pe… brahmakāyikā devā saddamanussāvesuṃ – ‘‘etaṃ bhagavatā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Itiha tena khaṇena (tena layena) [( ) natthi (sī. syā. kaṃ.)] tena muhuttena yāva brahmalokā saddo abbhuggacchi. Ayañca dasasahassilokadhātu saṅkampi sampakampi sampavedhi, appamāṇo ca uḷāro obhāso loke pāturahosi atikkamma devānaṃ devānubhāvanti.
Atha kho bhagavā imaṃ udānaṃ udānesi – ‘‘aññāsi vata, bho, koṇḍañño, aññāsi vata, bho, koṇḍañño’’ti! Iti hidaṃ āyasmato koṇḍaññassa ‘aññāsikoṇḍañño’ tveva nāmaṃ ahosīti. Paṭhamaṃ.
1081. Ekaṃ samayaṃ bhagavā bārāṇasiyaṃ viharati isipatane migadāye. Tatra kho bhagavā pañcavaggiye bhikkhū āmantesi – ‘‘dveme, bhikkhave, antā pabbajitena na sevitabbā. Katame dve? Yo cāyaṃ kāmesu kāmasukhallikānuyogo hīno gammo pothujjaniko anariyo anatthasaṃhito, yo cāyaṃ attakilamathānuyogo dukkho anariyo anatthasaṃhito. Ete kho, bhikkhave, ubho ante anupagamma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Katamā ca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Ayaṃ kho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ṃ ariyasaccaṃ – jātipi dukkhā, jarāpi dukkhā, byādhipi dukkho, maraṇampi dukkhaṃ, appiyehi sampayogo dukkho, piyehi vippayogo dukkho,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pañcupādānakkhandhāpi (pī. ka.)] dukkhā.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 yāyaṃ taṇhā ponobbhavikā [ponobhavikā (sī. pī.)] nandi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seyyathīdaṃ (sī. syā. kaṃ. pī.)]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 yo tassāyeva taṇhāya asesavirāganirodho cāgo paṭinissaggo mutti anālayo.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pe… sammāsamādhi.
‘‘‘Idaṃ dukkh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ṃ ariyasaccaṃ pariññeyy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ṃ ariyasaccaṃ pariññā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pahā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pahīn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sacchikā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sacchika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bhāve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bhāvi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Yāvakīvañca me, bhikkhave, imesu catūsu ariyasaccesu evaṃ tiparivaṭṭaṃ dvādasākāraṃ yathābhūtaṃ ñāṇadassanaṃ na suvisuddhaṃ ahosi, neva tāvāhaṃ, bhikkhave , sadevake loke samārake sabrahmake sassamaṇabrāhmaṇ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paccaññāsiṃ [abhisambuddho paccaññāsiṃ (sī. syā. kaṃ.)].
‘‘Yato ca kho me, bhikkhave, imesu catūsu ariyasaccesu evaṃ tiparivaṭṭaṃ dvādasākāraṃ yathābhūtaṃ ñāṇadassanaṃ suvisuddhaṃ ahosi, athāhaṃ, bhikkhave, sadevake loke samārake sabrahmake sassamaṇabrāhmaṇ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paccaññāsiṃ. Ñāṇañca pana me dassanaṃ udapādi – ‘akuppā me vimutti [cetovimutti (sī. pī.)], ayamantimā jāti, natthidāni punabbhavo’’’ti. Idamavoca bhagavā. Attamanā pañcavaggiyā bhikkhū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unti.
Imasmiñca pana veyyākaraṇasmiṃ bhaññamāne āyasmato koṇḍaññassa virajaṃ vītamalaṃ dhammacakkhuṃ udapādi – ‘‘yaṃ kiñci samudayadhammaṃ, sabbaṃ taṃ nirodhadhamma’’nti.
Pavattite ca pana bhagavatā dhammacakke bhummā devā saddamanussāvesuṃ – ‘‘etaṃ bhagavatā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Bhummānaṃ devānaṃ saddaṃ sutvā cātumahārājikā devā saddamanussāvesuṃ – ‘‘etaṃ bhagavatā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Cātumahārājikānaṃ devānaṃ saddaṃ sutvā tāvatiṃsā devā…pe… yāmā devā…pe… tusitā devā…pe… nimmānaratī devā…pe… paranimmitavasavattī devā…pe… brahmakāyikā devā saddamanussāvesuṃ – ‘‘etaṃ bhagavatā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nti.
Itiha tena khaṇena (tena layena) [( ) natthi (sī. syā. kaṃ.)] tena muhuttena yāva brahmalokā saddo abbhuggacchi. Ayañca dasasahassilokadhātu saṅkampi sampakampi sampavedhi, appamāṇo ca uḷāro obhāso loke pāturahosi atikkamma devānaṃ devānubhāvanti.
Atha kho bhagavā imaṃ udānaṃ udānesi – ‘‘aññāsi vata, bho, koṇḍañño, aññāsi vata, bho, koṇḍañño’’ti! Iti hidaṃ āyasmato koṇḍaññassa ‘aññāsikoṇḍañño’ tveva nāmaṃ ahosīti. Paṭhamaṃ.
초전법륜경(Damma cakka pavattana sutta)
초전법륜경(Dhammacakkappavattanasuttaṃ)
이 경은 쌍윳따 니까야(상응부)에 들어있는 경입니다. 잘 알다시피 쌍윳따 니까야는 다섯 개의 품으로 이루어졌는데, 이경은 그 가운데 마지막 대품 진리 상응에 들어있습니다.
이 경 이름은 Dhamma(법)와 cakka(바퀴), 그리고 ppavattana(굴림, 설함)로 이루어진 말로 쉽게 법이라고 하는 바퀴를 굴렸다(轉法輪)는 뜻입니다.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데 당시 기술로 가강 효과적인 수단이었던 바퀴를 부처님의 가르침인 법으로 비유한 것이죠. 그 이름에 당신의 가르침이 널리 퍼져 인간의 행복과 사회의 평화를 이룩하는데 잘 쓰이기를 바라는 마음이 가득 담겨있습니다.
경으로 옮기고 있는 sutta(숫따, 經)의 뜻을 보통 낱줄과 씨줄로(사전확인요)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촘촘하고 가지런하게 엮었다는 뜻으로 쓰는 것이겠죠. 다르게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목수들이 나무에 정확하게 선을 그어 자를 때 쓰는 먹줄입니다.
나무를 자를 때 잘라야 할 것과 남겨야 할 곳을 정확하게 나누는 기준선을 그을 때 쓰는 줄을 먹줄이라고 하는 것처럼 붓다의 가르침을 sutta(숫따, 經)라고 한 것은 우리가 삶을 살아갈 때 붓다의 가르침을 행위의 기준, 잣대로 삼을 만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붓다의 가르침에서 우리가 배워야 하는 것은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네 가지 진리, 곧 사성제로 그것이 바로 잣대가 되는 가르침인 것이죠.
Evaṃ me sutaṃ
Ekaṃ samayaṃ bhagavā bārāṇasiyaṃ viharati isipatane migadāye.
Tatra kho bhagavā pañcavaggiye bhikkhū āmantesi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붓다는 이씨빠타나라고 하는 사슴동산에 계셨다.
그 때 붓다는 다섯 비구들에게 이와 같이 말씀하였다.
이 단락은 경을 설한 사람, 경을 들은 사람, 경을 설한 장소만을 밝히는 부분이데, 이것을
nidana(니다나)라고 합니다. nidana(니다나)는 원인 이유 까닭이라는 뜻을 지닌 말로 간단한 배경이야기 정도로 이해를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Evaṃ me sutaṃ)
빨리어는 우리말과 달리 수동태형식을 참으로 많이 씁니다.
이 문장도 그대로 옮기면 '이와 같이 나에게 들려졌다.'로 옮겨야 합니다. 붓다의 가르침을 주관적인 견해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들었다는 뜻을 드러내기 위해 '들려졌다'는 수동형으로 했을 수 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말과 글이 우리와 조금 다르게 수동형이 많아서 그런 것뿐이지요. 가급적이면 빨리어 문장이 수동형으로 나왔더라도 우리 말법에 따라 능동형으로 바꾸어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한 때 붓다는 이씨빠타나라고 하는 사슴동산에 계셨다.
(Ekaṃ samayaṃ bhagavā bārāṇasiyaṃ viharati isipatane migadāye.)
Ekaṃ samayaṃ 은 한 때(一時)로 옮기는 데 '한 때는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때를 말합니다. 한 때에 짝이 되어 다음 문장에 항상 나오는 말이 바로 Tatra(그 때에)입니다. 한 때를 받은 것이죠. 그러니까 정확히 시간을 알 순 없지만 어는 때 부처님께서 바라나시 이시빠따나 녹야원에 있었는데, 녹야원에 있었던 바로 그 때라고 받는 것입니다.
그 때 붓다는 다섯 비구들에게 (이와 같이) 말씀하였다.
(Tatra kho bhagavā pañcavaggiye bhikkhū āmantesi)
pañcavaggiye bhikkhū 보통 오비구로 옮기는데 그대로 옮기면 다섯 무리 비구들이죠. 빨리어 복합어를 그대로 옮기면 잘 이해가 되지를 않습니다. 여기서 다섯이라는 뜻을 지닌 panca와 무리, 무더기라는 뜻을 지닌 vagga는 말 그대로 다섯 무리가 아니라 다섯이 한 무리를 이루어 늘 다녔기 때문에 '다섯이 한 무리'라는 뜻을 이렇게 간단하게 복합어로 만든 것이죠. 따라서 다섯 비구는 사실 '다섯이 한 무리인 비구들'이라는 뜻이죠. 우리말론 그냥 다섯 비구들입니다. 이 문장엔 사실 목적어가 생략되었는데 다음에 나오는 내용이 사실 이 문장의 목적어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두 가지 치우침(양극단)
dveme, bhikkhave, antā pabbajitena na sevitabbā.
Katame dve?
Yo cāyaṃ kāmesu kāmasukhallikānuyogo hīno gammo pothujjaniko anariyo anatthasaṃhito,
yo cāyaṃ attakilamathānuyogo dukkho anariyo anatthasaṃhito.
2) 비구들이여, 수행자는 두 가지 치우침(兩極端)을 기대지 말아야 한다.
두 가지 치우침이란 무엇인가?
첫 번째 치우침은 바깥 대상이 주는 즐거움을 쫓는데 계속 힘을 쏟는 것이다.
그것은 하찮고, 거칠며, 범부가 하는 짓이고,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할 바가 아니며, 이롭지 않은 것이다.
두 번째 치우친 길은 자신을 힘들게 하는데 계속 힘을 쏟는 것이다.
그것은 괴로운 것이고,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할 바가 아니며, 어떤 이로움도 주지 않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수행자는 두 가지 치우침(兩極端)을 기대지 말아야 한다.
dveme, bhikkhave, antā pabbajitena na sevitabbā.
한글에선 보통 호격이 문장의 처음에 놓이는데 빨리어에선 청유형이나 명령문일 경우는 보통 두 번째에 호격이 자리 잡게 됩니다. 이 문장과 같은 경우이죠. 이 문장 또한 수동으로 쓰였죠. 그대로 옮기면 "비구들이여! 수행자에 의해서 두 가지 치우친 길은 기대지 말아져야 한다."로 해야겠지만 우리 말은 그렇게 하지 않죠. 능동으로 바꿔 옮겨야 훨씬 보기가 좋습니다.
보통 극단(極端)으로 옮기는 빨리어 antā(안따)는 '부분'이라는 뜻도 있고, '끝'이라는 뜻도 들어있습니다. 뒤이어 나오는 중도에 견주어 이 낱말에 들어있는 두 가지 뜻을 합쳐서 끝 부분(극단)으로 이해하는 것이죠. 끝 부분(극단)이 두 가지가 나오니 중도를 가운데로 두고 서로 반대편에 마주한 것이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지 않을까요?
극단을 '치우침'으로 옮기고, 양극단은 두 가지 치우침으로 옮겼습니다.
Katame dve?
이 문장은 무엇이 두 가지인가? 두 가지가 무엇인가? 어떻게 옮기든 상관없죠. 두 가지는 두 가지 치우침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선 두 가지 치우침이란 무엇인가? 로 옮겼습니다.
사실 문장을 끊어서 옮겼는데 그대로 옮기면 좀 답답한 듯해서요. 빨리 문법에 맞추어 그대로 옮기면 좀 읽기에 답답하죠. 그대로 한 번 옮겨 볼까요?
다섯 가지 대상에 욕망과 즐거움을 쫓는데 힘을 쏟는 어떤 것은 하찮고 거칠며, 범부가 하는 짓이고,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할 바가 아니며, 이롭지 않다. (그것도 하나의 치우침이고.)
자신을 힘들게 하는데 계속 힘을 쏟는 어떤 것은 괴롭고,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할 바가 아니며, 이롭지 않다. (그것도 하나의 치우침이다.)
빨리 문법에 대한 설명은 복잡하니 짧게만 하기로 하죠. 빨리어 yo 대명사로 특정하지 않은 어떤 것을 가리키는 데 보통 문장에 이 yo가 나오면 다음 문장에 so가 나오는데, 나오지 않으면 생략된 것이지요. 그래서 yo를 받는 생략된 문장을 살려서 옮긴 것입니다.
여기선 문장을 분석하는 것보다 낱말 하나하나가 지닌 뜻을 고민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첫 번째 치우침은 바깥 대상이 주는 즐거움을 쫓는데 계속 힘을 쏟는 것이다.
그것은 하찮고, 거칠며, 범부가 하는 짓이고,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할 바가 아니며, 이롭지 않은 것이다.
Yo cāyaṃ kāmesu kāmasukhallikānuyogo hīno gammo pothujjaniko anariyo anatthasaṃhito,
이 문장에서 먼저 알아야 할 낱말은 kāma(까마)겠죠. 본문에서 충분히 설명했으니 그냥 넘어가죠. 분명한건 여기선 욕망이라는 뜻이 아니라 '다섯 가지 바깥 대상'이라는 뜻이고 문장 속에선 처격으로 쓰고 있다는 것이죠. 사실 처격이 아니라 일곱 번째 격이죠. 단지 일곱 번째 격은 여러 뜻으로 쓸 수 있지만 보통 처격으로 쓰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들 말하고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 속에서 kāmesu는 '다섯 가지 바깥 대상에서'로 옮겨야 합니다.
이 낱말 다음에 나오는 kāmasukhallikānuyogo는 그 바깥 대상에 대한 '욕망과 즐거움을 쫓는 것을 계속 힘쓰는 것(쾌락주의)'으로 옮겨야겠죠. 앞에 나오는 kāma(까마)와 뒤에 나오는 kāma(까마)는 달리 쓰고 있죠. 쉽게 과거에 누렸던 즐거움을 다시 찾기 위해 헤매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부터 나오는 'hīno gammo pothujjaniko anariyo anatthasaṃhito'는 첫 번째 치우침인 쾌락주의가 지닌 특징을 쭉 펼쳐 설명한 것입니다.
첫 번째는 하찮은 것(hīno)입니다. 우리가 남방불교를 폄하해서 소승이라고 하는데, 바로 '작다, 하찮다'라는 뜻을 지닌 말입니다.
두 번째는 거친 것(gammo)입니다. 어원을 분석하면 '마을 사람들의 것'이라는 뜻인데 생존을 위해 살아가는 마을 사람들이 지닌 일반적인 성질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들은 대부분 바깥 대상을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행복하다고 생각하고 많이 소유하기 위해 열심히 살아가고 있지 않습니까? 그러니 욕망을 위해서 앞뒤 가리지 않으니 거칠게 행동할 밖에요.
그런 뜻을 살리기 위해 '거칠다'라고 옮긴 것입니다.
세 번째는 범부가 하는 짓(pothujjaniko)으로 옮겼는데 뒤에 나오는 낱말과 짝을 맞추기 위해서 그렇게 옮긴 것입니다.
사전을 찾아보면 '보통의, 평범한'으로 나옵니다. 어원을 분석하면 '많은 사람들의 것'이니 정확한 뜻이죠. 그러나 여기선 '붓다의 가르침을 깨달은 이'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보통 사람(범부)들이 하는 행위라는 뜻을 강조하기 위해 그렇게 옮겼습니다.
네 번째는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할 바가 아니며(anariyo)로 옮겼습니다. 이 낱말은 성인이라는 뜻을 가진 ariya의 반대말인 anariya에서 나온 말이죠. 글자 그대로로 옮기면 성인이 아닌 사람이 하는 행위라는 뜻이니 앞에 말과 크게 다르지 않죠
다섯 번째는 '이롭지 않다'라고 옮겼는데 그대로 글자 그대로 옮기면 '이로움과 관련이 없는 것, 불이익과 연관된 것'이라는 뜻입니다. 쉽게 이롭지 않은 것으로 옮겼습니다.
두 번째 치우침은 자신을 힘들게 하는데 계속 힘을 쏟는 것이다.
그것은 괴로운 것이고,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할 바가 아니며, 어떤 이로움도 주지 않는 것이다.
yo cāyaṃ attakilamathānuyogo dukkho anariyo anatthasaṃhito.
이 문장에선 보통 고행주의로 옮기는 빨리어 attakilamathānuyogo(앗따낄라마타아누요가)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합니다. 이 복합어는 자기 자신을 뜻하는 atta, 힘들다. 피곤하다는 뜻을 지닌 kilamatha, 그리고 계속 힘쓰다는 뜻을 지닌 anuyoga가 모여 이루어진 합성어입니다.
그 뜻은 자신을 힘들게 하는데 계속 힘쓰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쉽게 고행이라고 옮기는 것이겠죠. 본문에서 설명한 것처럼 attakilamathānuyogo(앗따낄라마타아누요가)를 번뇌를 극복하고 다음 세상에 천상에 태어나기 위해 육체를 힘들게 하는 수행이라는 뜻으로 널리 알려진 dukkaracariya(고행, 힘든 수행)로만 협소하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kāma(까마)를 벗어나기 위해 행했던 당시 모든 수행을 가리키는 말로 이해를 해야 합니다.
거기엔 고행도 들어가고, 다른 수행자들이 주로 닦았던 선정수행도 들어간 넓은 개념이죠.
고행림에서 6년간 열심히 고행만을 했다고 하는 데 그 숲의 이름이 고행림이라고 해서 오직 고행만을 했다고 볼 수는 없지 않을까 합니다. 당시 고따마 싯타르타는 구체적인 수행체계가 잡혀있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에 배웠던 모든 수행법을 더욱 깊이 있게 닦았던 6년, 곧 attakilamathānuyogo(앗따낄라마타아누요가)를 닦았다고 보는 것이 알맞을 것 같네요. 세상에 나와 있는 모든 위인전이 그 사람의 일생을 위대하게 보이도록 그럴싸하게 꾸며놓은 것처럼 붓다의 일대기도 그럴 가능성이 많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보아야겠죠. 붓다의 깨달음이 현실사회의 모순 속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저 헤아릴 수 없는 과거 어느 때 연등불 에게 수기를 받았던 수메다보살에게서 출발하는 것은 사람과 사람이 모여 이룬 사회의 모순과 현실의 괴로움을 일부러 눈을 감게 하고 외면하게 하는 것은 아는가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말이 많았네요.
자신을 힘들게 하는 데 힘을 쏟는 특징은 세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괴롭다(dukkho)는 것이지요. 그것도 이만저만 괴로운 것이 아닐 것입니다. 왜냐하면 검증할 수도, 경험할 수 없는 사후의 삶을 상정하고 사후의 영원한 행복이나 다시는 사람의 몸을 받지 절대적인 평화의 경지를 성취하기 위해 인간이 지닌 생존과 번식에 관한 기본적인 욕구마저도 없애려고 하는 것이니 그렇지요.
나머지는 특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습니다.
중도, 치우침을 벗어나 바르고 알맞게 삶을 살아가는 방법
Ete kho, bhikkhave, ubho ante anupagamma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비구들이여, 두 가지 치우침에 빠지지 않고서 나는 중도를 꿰뚫어 알았다.
그 중도는 눈을 뜨게 하고, 지혜를 생기게 하고,(번뇌를) 고요히 하게하고, 세 가지 지혜를 일으키고, 네 가지 진리를 바르게 알게 하고, (괴로움을) 사라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긴 한 문장을 두 문장으로 끊어서 옮겼습니다. 그대로 옮기면
비구들이여! 두 가지 치우침에 빠지지 않고서 여래에게 꿰뚫어 알려진, 눈을 만들게 하고, 지혜를 만들게 한 중도는 (번뇌를) 고요히 하게하고, 세 가지 지혜를 일으키고, 네 가지 진리를 바르게 알게 하고, (괴로움을) 사라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빠지지 않고서'로 옮긴 빨리어 anupagamma를 그대로 옮기면 가까이 '붙지 않고서, 기대지 않고서'로 해야겠지만 보통 우리말에 잘못된 길에 빠지다는 표현이 잘 어울릴 것 같아 그렇게 옮긴 것입니다.
빨리어는 동사형태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정형동사이고 다른 하나는 비정형동사입니다. 정형동사는 보통 어근 접미사 어미로 이루어져있고, 비정형동사는 어근과 접미사로 이루어져있는데 anupagamma는 비정형동사라 할 수 있죠.
중도로 옮긴 majjhimā paṭipadā(맛지마 빠띠빠다)에서 majjhimā는 '가운데' '중간'을 뜻하는 말이죠. 비록 문자가 지닌 뜻이 '가운데'이지만 여기선 치우침을 벗어난 '올바른'이라는 뜻으로 이해를 해야 하고, paṭipadā는 길로 옮기고 있지만 길보다는 실천이라는 뜻에 가깝죠. 그 실천도 한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되풀이해서 몸에 붙은 행위를 뜻합니다. 그래서 중도로 옮기는 majjhimā paṭipadā는 바른 실천을 뜻하는 것으로 바로 여덟 가지 바른 길(팔정도)입니다.
abhisambuddhā는 여기선 비정형동사로 쓰였고, 그 뜻은 꿰뚫어 알았다는 정도로 이해를 하면 좋을 것 같네요. 붓다를 가리키는 말로 보통 abhisambuddhā와 sammasambuddhā가 많이 쓰는데 빨리어가 서로 틀리니 달리 옮기지만 그 뜻은 사실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문장을 어떻게 끊어서 읽느냐에 따라 해석을 달리 할 수 도 있지만 제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눈을 뜨게 하고'부터 괴로움을 사라지게 하는 것이다는 붓다가 깨달은 중도가 지닌 여섯 가지 특징을 펼쳐놓은 것입니다.
첫 번째는 눈을 만들게 하는 것(cakkhukaraṇī)이고
두 번째는 지혜를 만들게 하는 것(ñāṇakaraṇī)
본래 원문에는 "눈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고"로 옮겨야 하지만 눈과 지혜는 같은 뜻을 다른 말로 표현한 것이죠. 눈은 보는 능력이고, 지혜는 아는 능력을 일컫는 말 아닙니까? 무엇을 보고 무엇을 알아야 하겠습니까? 바로 중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를 보는 눈과 그것을 아는 지혜를 생기게 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번뇌를 고요히 하는 것(upasamāya)입니다. 이 낱말은 (upasama)와 접미사(aya)가 맺어져 만들어진 낱말로 '고요히 하기 위하여'로 옮겨야 합니다. (upasama)는 '고요, 평온, 평화'를 뜻하는데 번뇌가 가라앉은 상태를 뜻하는 것이지요. 번뇌"는 바른 관계를 맺지 못하게 하는 행위의 바탕이 되는 마음의 때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 마음의 때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모든 부정적인 심리상태를 말합니다. 탐 진 치 질투 인색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상태는 반드시 행위로 옮겨지고 그 바르지 않는 행위는 바른 관계를 파괴합니다. 그것은 그 행위를 하는 사람을 불행하게 하고 주변의 모든 관계마저 갈등에 휩싸이게 합니다. 중도는 바른 관계를 맺도록 자신이 하는 행위를 깨끗이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중도는 그 모든 번뇌를 고요히 가라앉히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굳이 번뇌를 가라앉히는 것으로 보지 않고, 모든 갈등이 가라앉은 평화로움이나 고요함으로 바로 옮겨도 괜찮습니다. 뜻은 크게 다르지 않지만 관계를 껄끄럽게 하는 원인이 가라앉아야만 평화가 실현되기 때문에 강조하는 뜻에서 그렇게 옮긴 것일 뿐입니다.
네 번째는 지혜를 일으키는 것(abhiññāya)입니다.
원문에 나오는 빨리어 (abhiññāya) 보통 신통으로 옮기기도 하는 낱말인데 말 그대로 옮기면 특별한 지혜입니다. 신통은 다른 것이 아니라 그저 좀 특별한 지혜일 뿐 입니다. 어떤 특별한 지혜일까요? 혹시 들어보셨습니까? 숙명통이니 천안통 누진통이니 하는 말 들어보셨죠.
숙명통은 보통 자신이나 남의 전생에 대해 아는 지혜를 가리키고, 천안통은 미래에 어디로 태어날 지 아는 것을, 그리고 누진통은 모든 번뇌가 다한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입니다.
경전 곳곳에서는 신통에 대해 붓다가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고, 율장에는 정확하게 신통에 대해 금지하는 규정까지 두고 있습니다(계목확인). 또 어떤 곳(주석서)에는 외도와 신통 대결하는 장면도 등장하고, 어떤 곳에(청정도론)는 신통을 닦는 방법도 자세하게 말하고 있죠. 신통에 대해 경전과 주석서는 대체로 일치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12연기를 설명하는 곳에서 신통에 대해서도 자세히 밝히겠지만 (abhiññāya)는 말 그대로 특별한 지혜일 뿐 이죠.
어떤 것이 특별한 지혜일까요? 팔정도를 바탕으로 한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를 아는 것이 바로 특별한 지혜입니다. 다른 것은 있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삼명(숙명, 천안, 누진)도 이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바로 번뇌와 업과 과보가 끊임없이 반복하며 나타나는 윤회를 꿰뚫어 알게 되면 업을 일으키는 번뇌에 대해 알게 되고(숙명), 업의 과보로 나타나는 결과(천안)도 알게 됩니다. 번뇌 업 과보로 끊임없이 돌게 만드는 숨은 번뇌를 완전히 끊어버리면(누진통) 더 이상 윤회의 수레바퀴에서 헤매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경전과 주석서에 나오는 신통들은 요가수트라에 나오는 신통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물론 경전에 나오는 것처럼 붓다가 정말 초능력을 사용할 줄 아는데 사용하지 않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물론 위에서 말했던 삼명만 부처님이 말하신 신통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전이나 주석서에 나오는 신통력 이를테면 분신술이나 땅속으로 가고, 하늘을 날아다니고, 해와 달을 멈추고, 손으로 달을 만지거나 하는 것들은 분명 후대에 삽입된 것이라 생각을 하죠. 청정도론에 정말 자세하게 나오던데, 누군가 좀 보여주었으면 좋겠는데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것은 그렇게 성취하기 어렵고, 결코 객관적으로 확인 할 수 없는 것만을 말하니 참 이해할 수 없는 노릇입니다. 누가 좀 보여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섯 번째 빨리어 (sambodhāya)도 (sambodha)와 접미사(aya)가 결합된 말로 앞에서와 같이 '바른 깨달음을 위하여' 라고 옮겨야 합니다. 결국 바른 깨달음이라는 것도 사실 지혜(앎)와 관련된 것이죠. 마찬가지로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를 바르게 알게 한다는 것이죠. 그리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
마지막 여섯 번째는 괴로움이 완전히 사라지게 하기 위한(nibbānāya)으로 옮겼는데, 그대로 옮기면 '열반을 위하여'이죠.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접미사(aya)가 (nibbāna)와 맺어진 것이죠.열반은 하지 말아야 할 짓을 더 이상 저지르지 않게 되면 그 행위를 통해 일어나는 괴로움 또한 사라지게 되죠. 바로 그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본문을 읽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혹시나 싶어 다시 설명 드린 것입니다. 위에서 말한 다섯 가지는 중도를 바탕으로 하는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를 바르게 이해하고 이해한 그대로 닦아갈 때 생기는 결과들입니다. 결국 중도는 인간의 행복과 사회의 평화를 위해 어떻게 관계를 맺을까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춘 것이며 이것이 실제로 삶에서 어떤 이로움을 주는가를 펼치고, 그런 이로움을 주는 중도를 깨달았다는 것은 선언하는 것 일 뿐입니다.
여덟 가지 바른 길, 팔정도
비구들이여, 내가 꿰뚫어 알았고, 지혜의 눈을 생기게 하고, (번뇌를) 고요히 하고, 세 가지 지혜를 일으키고, (사성제를) 바르게 알게 하고,(괴로움을) 사라지게 하는 그 중도는 무엇인가?
‘‘Katamā ca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그것은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여덟 가지 바른 길이다.
여덟 가지 바른 길은 무엇인가?
‘바른 앎, 바른 생각, 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표정, 바른 힘씀, 바른 알아차림 , 바른 마음가짐’이다.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비구들이여, 내가 꿰뚫어 알았고, 지혜의 눈을 생기게 하고, (번뇌를) 고요히 하고, 세 가지 지혜를 일으키고, (사성제를) 바르게 알게 하고,(괴로움을) 사라지게 하는 이 중도는 여덟 가지 바른 길이다.
Ayaṃ kho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9)비구들이여, 내가 꿰뚫어 알았고, 지혜의 눈을 생기게 하고, (번뇌를) 고요히 하고, 세 가지 지혜를 일으키고, (사성제를) 바르게 알게 하고,(괴로움을) 사라지게 하는 그 중도는 무엇인가?
‘‘Katamā ca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여기서 새로 설명한 곳은 없는 것 같네요. 앞 문장을 전부 그대로 가지고와 그 중도가 정확하게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묻는 장면입니다.
10)그것은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여덟 가지 바른 길이다.
여덟 가지 바른 길은 무엇인가?
‘바른 앎, 바른 생각, 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표정, 바른 힘씀, 바른 알아차림 , 바른 마음가짐’이다.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이 문장도 좀 다음어서 옮겼는데 그대로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이 여덟 가지 길뿐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바른 앎, 바른 생각, 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표정, 바른 힘씀, 바른 알아차림 , 바른 마음가짐’이다.
정확하게 여덟 가지 길'뿐'이라고 한정을 합니다. 이 팔정도 밖에 다른 길은 없다는 것을 강조한 것입니다.
여기선 팔정도가 지닌 하나하나의 뜻은 본문에서 살펴보았으니 빨리어에 대한 설명를 하도록 하죠.
먼저 팔정도(팔성도)로 옮기고 있는 빨리어 ariya aṭṭhaṅgika magga는 여러 낱말로 이루어진 복합어입니다. 먼저 ariya는 앞에서 이미 설명했던 것처럼 성인으로 옮기고 있는 말인데, 이 책에선 지혜롭고 바른 사람으로 옮겼습니다. aṭṭhaṅgika는 여덟이라는 뜻을 지닌 aṭṭha와 부분이라는 뜻을 지닌 aṅga, 그리고 접미사 ika결합되어 만들어진 파생어로 '여덟 부분을 가진'이라는 뜻이죠. magga는 길입니다. 우리말 길(道)이 사람이 다니는 길, 살아가는 방법을 뜻하는 것처럼 빨리어 magga도 똑같죠. 그래서 한문으로 보통 팔정도, 팔성도라고 옮기는 것입니다. 여기서 ariya를 형용사로 보고 여덟 가지 거룩한 길로 옮겨도 되지만,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여덟 가지 바른 길'로 옮기면 불교가 지향하는 목적과 그 방법까지도 정확하게 드러나게 되죠. 옮긴 낱말이 좀 길더래도 이렇게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 그러면 팔정도 하나하나를 살펴볼까요?
여덟 가지 바른 길은 모두 '바른, 올바른'이라는 뜻을 지닌 빨리어 sammā가 들어있죠.
중도, 곧 팔정도는 그 핵심이 '바름'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겠죠.
정견으로 옮기는 sammādiṭṭhi는 sammā와 diṭṭhi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로 sammā는 '바른'이라는 뜻이고, diṭṭhi는 '보다'라는 어근에서 나온 말로 보통 견해로 옮기고 있죠. 본다는 것은 안다는 것을 뜻하는 말이니 바른 앎으로 옮겼습니다.
정사유로 옮기는 sammāsaṅkappa에서 saṅkappa는 생각, 사유라는 뜻을 지녔죠. 그래서 쉽게 바른 생각으로 옮겼습니다.
정어로 옮기는 sammāvācā에서 vācā는 말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니 바른 말로 옮겼습니다.
정업으로 옮기는 sammākammanta에서 kammanta는 kamma와 anta가 결합된 낱말입니다. 글자 그대로면 행위의 끝이라는 뜻인데, 어떤 한 행위가 완료된 것을 말하는 것이겠죠. 도둑질은 단순히 하나의 동작이 아니라 여러 동작이 모아져 마지막으로 훔치는 동작이 끝나야 도둑질이라고 하는 것처럼 말이죠. 여기에선 몸으로 짓는 것만을 말하기 때문에 바른 행동이라고 옮겼습니다.
정명으로 옮기는 sammāājīvo에서 ājīva는 생명이나 숨을 뜻하는 말입니다.
정정진으로 옮기는 sammāvāyāma에서 vāyāma는 노력, 정진이라는 뜻이죠. 힘씀으로 옮겼습니다.
정념으로 옮기는 sammāsati에서 sati는 기억하다는 뜻을 지닌 말입니다. 그런데 기억이라는 뜻이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기억과는 약간 다르죠. sati(기억,念)는 ‘기억하다’는 뜻을 지닌 어근 sar와 접사 ti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로 기억이 이 문자가 가진 본래 뜻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sati(기억,念)는 단순히 과거에 일어난 사건이나 상황을 기억한다는 뜻만이 아니라 과거나 현재 미래에 상관없이 현재 일어나고 사라지는 몸과 마음의 현상이 사라지지 않도록 늘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거나, 깨달음을 성취하기 위해 마땅히 해야 할 보시나 지계나 수행 등 모든 행위를 항상 상기하는 것도 sati(기억,念)이라고 하고 있죠. 물론 이런 정의는 후대에 정착된 것이지만 말이죠.
위빳사나수행이 널리 보급되면서 이 sati(기억,念)라는 말 또한 ‘알아차림, 깨어있음, 마음챙김, 마음지킴’등으로 다양하게 옮겨지고 과거에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단어인 기억(念)은 실제 수행상에서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외면을 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띠는 기억이 가장 잘 된 번역어라 할 수 있죠. 다만 빨리어 sati(기억,念)의 기억하다는 의미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단순히 이미 지나간 과거의 사건이나 상황을 기억하는 것만이 아니라 현재 일어나고 사라지는 몸과 마음의 현상이 사라지지 않도록 계속해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도 기억이라는 말로 쓰인다는 것을 sati(기억,念)고려한다면 수행상의 용어로도 기억은 가장 적합한 단어입니다.
sati(기억,念)의 번역어로 자리 잡은 마음챙김과 마음지킴, 알아차림이나 깨어있음은 수행자가 현재 주시하고 있는 관찰대상이 사라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노력할 때 수반되는 마음의 상태와 결과를 강조한 말일 뿐이다. 그러나 사띠를 어떻게 옮기는 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띠를 왜 챙겨야 하는가와 무엇을 대상으로 사띠를 챙겨야 하는 가입니다. 이것은 본문에 잘 나와 있으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그런 까닭으로 여기선 바른 알아차림으로 옮겼습니다.
정정으로 옮기는 sammāsamādhi에서 samādhi는 집중. 고요함. 정(定)이라는 뜻입니다.
그 뜻은 마음이 오로지 한 가지 대상에 잘 머무는 것으로, 그 때 마음은 흔들림 없이 고요하기 때문에 집중과 고요함은 같은 뜻으로 보아도 됩니다. 여기서도 중요한 것은 무엇을 대상으로 집중을 어떻게 하는 가입니다. 그 대상은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오취온입니다.
오취온에 대상에 대해 무상, 무아, 고라는 세 가지 특성으로 집중하는 것이지요. 오취온을 무상 무아 고로 집중할 때 마음이 고요해지는 것이지요.
오취온은 무명 때문에 하지 말아야 할 짓을 저질러 생겨난 더러운 몸과 마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 오취온을 쓸모없고(무아), 허망하고(무상), 괴로운 것(고)으로 꿰뚫어 보게 되면 그 행위를 하고자 하는 더러운 마음이 고요히 가라 않게 되고 다시는 그 행위를 하지 않으려는 마음자세가 확립되기 때문에 쉽게 마음가짐이라고 옮기고자 합니다. 선정이니 삼매니 하는 말이 일상을 떠나 너무 신비스럽게만 이해되기 때문입니다.
11)비구들이여, 내가 꿰뚫어 알았고, 지혜의 눈을 생기게 하고, (번뇌를) 고요히 하고, 세 가지 지혜를 일으키고, (사성제를) 바르게 알게 하고,(괴로움을) 사라지게 하는 이 중도는 여덟 가지 바른 길이다.
Ayaṃ kho sā, bhikkhave, majjhimā paṭipadā tathāgatena abhisambuddhā cakkhukaraṇī ñāṇakaraṇī upasamāya abhiññāya sambodhāya nibbānāya saṃvattati.
이렇게 옮겼지만 달리 옮길 수 도 있습니다. 사실 이렇게 옮기는 것이 더 문법에 알맞다고 할 수 있죠.
비구들이여! (나) 붓다가 꿰뚫어 알았고, 눈을 만들고 지혜를 만든 이 중도는 번뇌를 고요히 하고, 세 가지 지혜를 일으키고 사성제를 바르게 알게 하고 괴로움을 사라지게 하는 것이다.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ariya scca)
첫 번째 진리 괴로움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ṃ ariyasaccaṃ
태어남도 괴로움이고, 늙음도 괴로움이고, 병듦도 괴로움이고, 죽음도 괴로움이다.
좋아하지 않는 것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이고, 좋아하는 것과 만나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고,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다. 간추려 말한다면 붙잡음 때문에 생긴 다섯 가지 무더기가 괴로움이다.
jātipi dukkhā, jarāpi dukkhā, byādhipi dukkho, maraṇampi dukkhaṃ, appiyehi sampayogo dukkho, piyehi vippayogo dukkho,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9)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ṃ ariyasaccaṃ
중도가 바로 여덟 가지 바른 길(팔정도)임을 밝힌 뒤에 바로 고성제에 대한 설명이 나오고 있습니다. 고성제는 잘 알다시피 사성제가운데 첫 번째 진리이죠. 먼저 성제 또는 사성제로 옮기고 있는 빨리어를 살펴보고 고성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제로 옮기고 있는 빨리어 Ariya sacca는 Ariya(성인)와 sacca(진리)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복합어입니다. 보통 거룩한 진리로 옮기고 있죠. '성인이 깨달은 진리'로 옮겨도 되고, '성인이 되기 위한 진리'로도 옮길 수 있습니다. 여기선 불교의 지향하는 인간과 그 인간이 알아야 할 올바른 가치관을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성인이 되기 위한 진리'로 옮기고자 합니다. 또한 성인이라는 낱말이 우리 삶과 좀 멀리 느껴지기에 지혜롭고 바른 사람으로 옮겨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성제)로 옮겼습니다.
여기에 4라는 뜻을 지닌 cattaro를 붙여 쓰고 있는 cattaro ariya sacca(사성제)로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네 가지 진리로 옮겼습니다.
불교는 진리를 이해하고 그 진리대로 삶을 살아가는 사람 곧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는 것이 그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붓다가 깨달은 진리를 우리도 깨닫고 실천하기 위해 알아야 할 네 가지 진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성제로 옮기고 있는 dukkha ariyasacca는 dukkha와 ariyasacca가 결합된 목합어인데 이 두 단어의 관계는 동격입니다. 곧 이 복합어에서 서로 같은 뜻을 가리키는 복합어라는 것이죠. 그래서 괴로움이 바로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이고 그 진리가 바로 괴로움이라는 것입니다.
'괴로움이라는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로 옮겨야 그 뜻이 정확하게 드러나겠죠. 개인의 행복과 사회를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기 때문에 '괴로움'을 진리라고 한 것일 뿐입니다. 옮긴 말이 길어서 간단하게 괴로움, 또는 첫 번째 진리 괴로움으로 옮겼습니다.
10) 태어남도 괴로움이고, 늙음도 괴로움이고, 병듦도 괴로움이고, 죽음도 괴로움이다.
좋아하지 않는 것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이고, 좋아하는 것과 만나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고,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다. 간추려 말한다면 붙잡음 때문에 생긴 다섯 가지 무더기가 괴로움이다.
jātipi dukkhā, jarāpi dukkhā, byādhipi dukkho, maraṇampi dukkhaṃ, appiyehi sampayogo dukkho, piyehi vippayogo dukkho,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괴로움을 보통 사고팔고(四苦八苦)라고 하는데 그것은 붓다가 이와 같이 괴로움의 종류를 여덟 가지로 펼쳐놓았기 때문입니다. 정확하게는 일곱 가지이고 그 일곱 가지를 다시 하나로 설명한 것이니 사고팔고라는 말은 잘못 이해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생으로 옮기는 jāti(자띠)는 어떤 것이 새로 만들어지는 것을 말하죠. 그래서 사람이 새로 태어나는 것을 보통 jāti(자띠)라고 합니다. 상좌부불교는 이것을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순간부터 자궁에서 머무는 시간, 그리고 태어나는 그 때까지를 생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 충분하게 설명을 했는데 jāti(자띠)가 지닌 뜻을 간단하게 설명하죠.
태어나는(生) 것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이 세상에 생명체로 태어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이 한 행위로 태어나는 것이죠. 생명체(오온)가 어머니 뱃속에서 세상에 처음 나오는 것도 태어나는 것이고, 오온을 바탕으로 하지 말아야 할 행위를 했을 때 그 행위 때문에 새롭게 오취온이 만들어지는 것도 태어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태어남(생)은 생명체가 처음 만들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취온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을 말하죠.
십이연기를 살펴보아도 이 jāti(자띠)가 나오는데, 이것은 유(bhava)라는 조건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여기서 유는 십이연기 두 번째 행(행위)하고 같은 뜻으로 역시 행위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십이연기도 부모님이 결합해서 태어남(생)이 생겼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유(행위) 때문에 태어남(생)이 생겼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바로 오취온이 생겨나는 것을 맣합니다
붓다가 말한 늙는 것(老)이 머리가 하않게 세고, 이빨이 빠지고, 피부가 쪼그라드는 것이 늙는다는 것일까요? 누구든 하루하루, 아니 한 시간 한 시간 늙어 가는데 그것을 괴롭게 생각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는가 모르겠네요. 불교를 공부하지 않는 사람도 늙어가는 것을 아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편안하게 죽음을 받아들이는 분도 많지 않습니까?
여기서 늙는다(노)는 것은 바뀌고 변화하는 것이죠. 하지 말아야 할 짓을 했기 때문에 새로 생겨난 오취온이 점점 자라나는 것이죠. 하지 말아야 할 짓들은 보통 그 행위를 할 때 즐거움이나 좋은 느낌들이 함께 하죠. 그 느낌을 더욱 취하면 취할수록 오취온이 더욱 자라난다고 해도 크게 무리가 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3) 병드는 것도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이다.
병은 생물체에 이상이 생겨 아픔을 느끼는 것이죠. 작게는 감기몸살부터 암까지 그 종류가 많습니다. 부처님은 병이 난 비구에게 몸은 아플지라도 마음만은 아프지 않게 하라고 하셨던 적이 있습니다. 그 당시 병을 효과적으로 다스릴 약이 많지 않았으니 부처님이 병든 이를 위해 해 줄 수 있었던 유일한 법문이 아니었는가라는 생각도 듭니다. 물론 깨달음을 이룬 부처님도 병이 든 적이 한 두 번이 아니니 경에서 말하는 병이 우리가 알고 있는 병이 아니라는 것은 말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여기서 병은 하지 말아야 할 짓을 했기 때문에 오취온이 생기고 오취온이 점점 자라 더 이상 망가질 대로 망가지고 파괴된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닐까요. 그 사람의 생각과 행위가 망가지고 파괴됐다는 뜻에서 병든 것이라고 표현을 한 것이죠.
4) 죽는 것도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이다.
여기서도 죽음은 생명체가 그 수명을 다해 없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취온이 일어났다가 자라고 그 끝에 이르러 사라지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오취온이 죽었다는 것은 오취온이 자연스럽게 사라져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오취온은 하지 말아야 할 짓을 했기 때문에 생겨난 새로운 몸과 마음을 말합니다. 그러나 그 몸과 마음은 하지 말아야 할 짓할 때 즐거움과 좋은 느낌을 함께 합니다. 곧 사라지는 것은 오취온이 생길 때 함께 일어난 즐거움이나 좋은 느낌이 사라져 없어져 버린 것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 행위자는 좋은 느낌이나 즐거움을 기억하기 때문에 다시 하지 말아야 할 짓을 하게 됩니다. 그 때 다시 오취온이 생기는 것이죠.
지금까지 밝힌 것은 생노병사라고 하는 사고(四苦)는 생명체로 자연스럽게 태어나고 늙고 병들어 죽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하지 말아야 할 짓을 저질러 새롭게 만들어진 오취온의 생노병사라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밝힌 네 가지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은 오취온이 태어나고 자라고 사라지는 생성과 소멸의 입장에서 설명하는 것이었다면 다음 나오는 세 가지는 그 오취온이 작용하는 모습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고 다시 하나로 종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5) 좋아하는 것과 헤어지는 것도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이다.
6) 싫어하는 것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이다.
본문에 나오는 이 문장을 appiyehi sampayogo dukkho, piyehi vippayogo dukkho 보통
보통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도 괴로움이고(愛別離苦), 싫어하는 사람과 만나는 것(怨憎會苦)도 괴로움이라고 옮기고 있습니다.
그 뜻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빨리어 낱말을 살펴볼까요? 이 문장은 아주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문장을 보기 위해서 먼저 살펴보아야 할 낱말이 두 개 있죠. 하나는 piya이고 다른 하나는 payoga입니다. 여기서 piya는 작게는 좋아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뜻하지만 크게는 좋아하고 사랑하는 모든 대상을 가리킵니다. 그 반대말이 appiya죠. 미워하고 싫어하는 대상입니다. 문장 속에선 격변화를 일으켜 appiyehi, piyehi로 나타나고 있죠. 현대 빨리어문법책에서는 격의 명칭을 주격, 목적격, 대격 등으로 하고 있는데, 원래는 일격 이격 삼격 등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의 격이 주어나 목적어 등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이기 때문이죠. 여기서 payoga는 결합, 만남이라는 뜻이죠. 이 낱말에 접두어 sam이 붙어 sampayoga가 되고 vi가 붙어 vippayoga가 되었죠. 앞에 것은 서로 만난다는 뜻이고 뒤에 것은 만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이 문장을 좋아하는 것과 헤어지는 것도 싫어하는 것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dukkha)이라 옮긴 것입니다.
붓다가 말한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을 느낌이나 정서에 관한 것으로 쉽게 오해를 하게 되는 것도 이 부분 때문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합니다. 사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사랑 때문에 아픔이나 괴로움을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드물고, 그 때는 그것보다 더 큰 아픔이나 괴로움은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세월이 지나다 보면 또 잊혀지고 상처도 아물기 마련입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사랑을 배우고 이해하게 되고 좀 더 인간적인 성장을 하게 되는 것 아닐까요.
싫어하는 사람과 만나는 것도 마찬가지죠. 사실 싫어하는 사람을 만나지 않으면 되고, 우연히 만나더라도 피하면 그만인 것이죠.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는 서로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만나는 것이니 딱히 참을 수 없을 정도로 큰 괴로움이라고 하기엔 좀 그렇죠. 따라서 애별리고와 원증회고는 우리 삶 전체를 관통하는 괴로움이라기보다는 그저 사람이 좀 더 성숙해지는 과정일 뿐이죠.
앞에서 말했던 네 가지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은 오취온이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측면이라면 여기서는 그 오취온이 삶 속에서 겪는 다양한 측면을 먼저 크게 두 가지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좋아하는 대상과 헤어지는 것과 싫어하는 대상과 만나는 것입니다. 빨리어를 그대로 옮기면 “좋아하는 것과 만나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이고, 좋아하는 않는 대상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이다.”입니다. 특정한 사람이나 연인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바깥에 존재하는 모든 대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전체적인 틀에서 더 알맞죠.
하지 말아야 할 짓을 했기 때문에 생겨난 오취온은 어떤 감각적인 즐거움이나 좋은 상태에 집착하거나 빠져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것을 충족시키는 대상이 바로 좋아하는 대상이고, 그것을 방해하는 대상이 싫어하는 대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취온은 과거에 경험했던 욕망을 다시 충족시키기 위해 어떠한 방법으로든 그 대상을 취해야 하는데, 그 대상을 취할 수 없다면 그것처럼 힘든 일이 어디 있겠습니까? 당연히 어떤 방법으로도 그것을 취하고자 하기 때문에 그 어떤 행위도 서슴지 않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좋아하는 것과 만나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 좋아하지 않는 것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이다.”가 지닌 바른 뜻이라 할 수 있습니다.
7)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dukkha)이다로 옮긴 빨리어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그대로 옮기면 "어떤 것을 바라지만 얻지 못한다. 그것도 괴로움이다."로 옮겨야지만, 간단하게 위와 같이 옮겼습니다. yampicchaṃ은 yam pi icchaṃ을 나누어 보아야 합니다.
앞에서 말했던 좋아하는 대상과 만나지 못하는 괴로움과 싫어하는 대상을 만나는 괴로움은 결국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한다는 면에서 같은 것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 점에서 다섯 번째 괴로움과 여섯 번째 괴로움을 다시 하나로 모아 설명하는 것이 일곱 번째 괴로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런 질문을 하나 던질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대상을 만나는 것은 괴로움이 아니고, 싫어하는 대상을 만나지 않는 것은 괴로움이 아니고, 원하는 대상을 얻는 것은 괴로움이 아닌가라는 것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야 겠죠. 그러나 앞에서 생노병사를 오취온이 일어나고 만들어지는 측면에서 설명을 했고, 뒤의 세 가지는 그렇게 만들어진 오취온이 삶에서 움직이는 모습으로 본다면 원하는 대상을 얻거나 얻지 못하는 것과 관계없이 오취온으로 어떤 대상을 원하는 그 자체가 괴로움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하지 말아야 할 짓을 했기 때문에 생겨난 오취온은 어떤 감각적인 즐거움이나 좋은 상태에 집착하거나 빠져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이미 무명에 의해 지혜가 가려진 것이죠. 그 무명이 시키는 대로 어떤 대상을 원하는 것 그 자체가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으로 보는 것이 더 알맞기 때문입니다.
8) 간추려 말한다면 취착 때문에 생긴 다섯 가지 무더기가 괴로움이다 로 옮긴 빨리어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오취온은 빨리어 빤쭈빠다나칸다 (pañcupādānakhandha)를 옮긴 말입니다. 우빠다나(upādāna)는 취착이라는 뜻으로 취착은 과거에 저질렀던 업을 다시 짓고자 하는 탐욕이나 사견과 더불어 모든 번뇌를 뜻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번뇌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이 복합어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upādāna)와 (khandha)의 관계를 어떻게 보는 가입니다.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upādāna)와 (khandha)의 관계를 취착의 (대상이 되는) 다섯 가지 무더기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취착 때문에 (생긴) 다섯 가지 무더기로 보는 것입니다.
첫 번째는 빤쭈빠다나칸다(pañcupādānakhandha)를 번뇌의 대상이 되는 다섯 가지 무더기로 옮길 경우엔 ‘번뇌 업 과보’ 가운데 과보를 말합니다.
흔히 번뇌의 대상을 바깥에 있는 대상이라고 생각하기 싶습니다. 그 이유는 바깥에 있는 대상과 마주할 때 그 대상을 보고 온갖 부정정인 동기들이 일어나기 때문이죠. 그러나 부정적인 동기도 반드시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것은 있을 수 없습니다. 그 예를 들자면 마약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사람이 마약을 보고서 마약을 피우고 싶은 마음은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일 억짜리 수표를 길거리에서 보았더라도 수표가 무엇인지를 모르는 시골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수표라는 대상은 어떤 욕심도 일어나지 않게 하는 종이에 불과한 것처럼 말이죠. 따라서 번뇌의 직접적인 원인은 바깥에 있는 대상이라 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번뇌의 직접적인 대상은 무엇일까요? 바깥의 대상이 아니라 과거에 그 대상에 대해 직접적인 체험을 했거나, 아니면 그 대상에 대해 누군가로부터 얻는 지식이겠죠. 마약을 한 번 해 본 사람만이, 아니면 마약에 대해 누군가에 들어본 사람만이 마약이라는 대상을 보면 한 번 해보고 싶거나 다시 해보고 싶은 번뇌가 생기는 것이죠. 결국 번뇌의 직접적인 대상은 밖에 있는 대상이 아니라 업을 경험했던 그 사람의 안에 감추어진 숨은 욕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번뇌의 대상이 되는 다섯 가지 무더기라는 것은 바로 번뇌를 일으키는 과보를 말하는 것입니다. 비록 십이연기에서 12가지요소는 그 요소만을 꼭 집어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온의 작용가운데 가장 뚜렷한 작용을 들어서 말한 것으로 무명도 오온의 작용가운데 무명만을 들어서 말한 것이고, 행도 오온의 작용가운데 행만을 들어서 얘기한 것이죠. 그래서 번뇌의 대상이 되는 다섯 가지 무더기는 과보를 말하는 것입니다. 십이연기에서
첫 번째 바퀴에서 나오는 ‘식 명색 육입 촉 수’는 과보로 이 과보는 두 번째 바퀴에서 애와 취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바로 애와 취라고 하는 번뇌의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생과 노사는 두 번째 바퀴에서 과보로 물론 십이연기는 세 번째 바퀴는 나오지 않지만 세 번째 바퀴에서 나올 번뇌의 직적접인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빤쭈빠다나칸다(pañcupādānakhandha)를 번뇌 때문에 생긴 다섯 가지 무더기로
옮길 땐 ‘번뇌 업 과보’ 가운데 업을 말합니다.
번뇌 때문에 업이 생기고, 업을 저지르면 바로 과보가 생기죠. 과보가 다시 번뇌로 이어지고 다시 업, 과보 이렇게 끊임없이 반복되는 행위의 악순환을 붓다는 십이연기로 표현을 했습니다. 그것을 윤회라고 하기도 하고, 또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라고 하기도 합니다. 서로 다른 측면에서 이름 한 것이지 그 뜻은 모두 같습니다.
번뇌 때문에 업을 저지르게 됩니다. 번뇌 때문에 생긴 다섯 가지 무더기는 업을 가리키는 말로 12가지요소 가운데 행과 유입니다. 행과 유는 각각 무명이라는 번뇌와 애와 취라는 번뇌 때문에 생긴 것이죠. 첫 번째 바퀴에서 행은 번뇌인 무명 때문에 생긴 것이고, 두 번째바퀴에서 유는 번뇌인 애와 취 때문에 생긴 것이죠. 이 두 가지를 종합해보면 오취온은 번뇌의 대상이 되는 과보와 번뇌 때문에 생긴 업을 가리키는 말로 이해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초전법륜경에서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했는데 결국 이 빤쭈빠다나칸다(pañcupādānakhandha, 오취온)에 대한 설명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겠죠. 기억해야 할 것은 오온과 오취온이 어떻게 다른가라는 점과 “괴로움, 하지 말아야 할 짓(dukkha)”이 오온이 아니라 오취온이라는 점입니다. 앞으로 오취온을 옮길 때 더러움에 물든 몸과 마음(오취온)으로 옮겼습니다.
두 번째 진리 괴로움이 생기는 까닭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 생기는 까닭'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지나친 행위(업)를 하게하고, 좋아함과 물듦과 함께 하며, 또 다시 여러 가지 지나친 행위(업)를 강하게 바라게 하는 목마름(갈애)이 있다. 그 목마름(갈애)은 무엇인가?
까마(ka̅ma)에 대한 목마름(갈애), 바와(bhava)에 대한 목마름과, 위바와(vibhava)에 대한 목마름(갈애)이다.
– yāyaṃ taṇhā ponobbhavikā [ponobhavikā (sī. pī.)] nandi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11)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 생기는 까닭'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집성제로 옮기는 빨리어는 dukkhasamudaya ariyasacca로 고성제와 마찬가지로 같은 뜻을 지닌 복합어입니다. 괴로움이라는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로 옮기는 것처럼 괴로움의 원인이라는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진리로 옮겨야 정확한 것이죠.
여기에선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한 두 번째 진리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이나 간단하게 두 번째 진리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으로 옮겼습니다.
samudaya는 시작, 발생이라는 뜻도 있지만 원인, 이유라는 뜻도 있습니다. 쉽게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12) 다시 지나친 행위(업)를 하게하고, 좋아함과 물듦과 함께 하며, 또 다시 여러 가지 지나친 행위(업)를 강하게 바라게 하는 목마름(갈애)이 있다. 그 목마름(갈애)은 무엇인가?
까마(ka̅ma)에 대한 목마름(갈애), 바와(bhava)에 대한 목마름과, 위바와(vibhava)에 대한 목마름(갈애)이다.
yāyaṃ taṇhā ponobbhavikā nandi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이 문장은 초전법륜경에서 두 번째 진리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초전법륜경에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을 갈애라고 정확하게 밝히고 있기 때문에 두 번째 진리를 간단하게 갈애라고도 합니다.. 이 문장에서 첫 단락은 갈애가 지닌 특성을 세 가지로 펼쳐 놓았고, 다음 단락은 그런 특성을 지닌 갈애의 종류를 다시 세 가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먼저 갈애가 지닌 특성부터 살펴볼까요?
이 문장을 그대로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어떤 갈애는 다시 지나친 행위(업)를 하게하고, 좋아함과 물듦과 함께 하며, 또 다시 여러 가지 지나친 행위(업)를 강하게 바라게 한다.
그것은 무엇인가?
까마(ka̅ma)에 대한 목마름(갈애), 바와(bhava)에 대한 목마름과, 위바와(vibhava)에 대한 목마름(갈애)이다.
ponobbhavikā를 '다시 지나친 행위를 일으키고' 로 옮겼는데 이 낱말은 '다시, 거듭'이라는 뜻을 지닌 puna와 업을 가리키는 bhava, 그리고 접미사 ika가 맺어진 낱말이기 때문에 '다시 업을 짓다'라고 한 것입니다. 무엇이 다시 업을 짓게 만들까요? 바로 이 문장의 주어로 쓰이는 갈애겠죠.
nandirāgasahagatā를 '좋아함과 물듦과 함께 하며'로 옮겼습니다. 이 낱말은 즐거움 기쁨을 뜻하는 nandi와 욕심, 물듦을 뜻하는 rāga, 그리고 함께 일어나다는 뜻을 지닌 sahagatā가 맺어진 말로 기쁨과 물듦이 함께한다는 뜻이죠. 갈애는 나름 즐거움을 주고, 중독성이 있기 때문에 어떤 상황이나 조건을 만나면 어쩔 수 없이 그 행위를 다시 하게 만들기 때문에 이렇게 표현을 한 것입니다.
tatratatrābhinandinī를 '또 다시 여러 가지 지나친 행위(업)를 강하게 바라게 한다.'로 옮겼습니다. tatratatra는 '여기에'라는 뜻을 지닌 tatra를 두 번 겹쳤는데 여기 저거에 라는 뜻 정도로 옮길 수 있죠. 이 문장에선 정확하게 '이런 저런 업(바와)에 대해'로 이해를 해야 겠죠. ābhinandinī는 아주 강하게 좋아한다는 뜻이니 그렇게 옮긴 것이죠. 업을 계속 지으면 윤회할 수밖에 없는 까닭은 갈애란 놈이 업을 너무 좋아하니 그럴 밖에요.
이 세 가지가 바로 갈애가 지닌 특성입니다. 간단하게 다시 정리해볼까요?
첫 번째 갈애는 다시 업을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두 번째 갈애는 쾌락과 중독에 물들어 있는 것입니다.
세 번째 갈애는 이런 저런 업을 아주 좋아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두 번째 진리 갈애는 업을 아주 좋아하는 특성을 지녔고, 그 갈애는 업을 지을 때 경험한 즐거움에 중독이 되어 다시 그 업을 경험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 세 가지가 갈애가 지니는 기본적인 특성입니다.
갈애는 목 마른이가 물을 구하고, 굶주린 이가 먹을 것을 찾는 것처럼 어떤 행위를 아주 강하게 하고 싶은 심리상태를 뜻하는 말입니다. 갈애는 어떤 행위를 하면서 느꼈던 강력한 즐거움에 깊이 빠져버려 다시 그 행위를 하고자 하는 마음이 뇌에 깊이 각인된 것이라 할 수 있죠. 그 즐거움이 뇌에 각인된 이상 조건만 갖추어지면 다시 그 행위를 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갈애가 지닌 가장 중요한 특성입니다. 그 행위를 다시 하게끔 만드는 행위들은 감각적인 즐거움과 중독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갈애는 그 행위가 가져다주는 쾌락과 중독성 때문에 늘 그 쾌락과 중독성에 목말라하고 있습니다. 쾌락과 중독성에 목말라하는 것도 바로 갈애가 지닌 아주 중요한 특성입니다. 이렇게 그 행위를 다시 하게 만들고, 그 행위에 따르는 쾌락과 중독성에 목말라 하는 갈애는 목마름을 풀어줄 수 있는 행위면 그것이 무엇인지 가리지도 않고 끊임없이 하게 하는 것이죠. 이것 또한 갈애가 지닌 특성입니다.
세 번째 진리 괴로움의 사라짐
13)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사라짐'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
그 목마름(갈애)에 남김없이 물들지 않고, (목마름이) 사라지고, (목마름을) 버리고, 놓아버리고, (목마름에서) 벗어나고, (목마름을) 붙들지 않는 것이다.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 yo tassāyeva taṇhāya asesavirāga nirodho cāgo paṭinissaggo mutti anālayo.
멸성제로 옮기는 빨리어 dukkhanirodha ariyasacca도 마찬가지로 세 번째 진리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옮겼습니다. 여기선 nirodha가 지닌 뜻만 설명하면 되겠죠.
nirodha는 사라지거나 없어지는 것을 뜻하는 말인데요. 어떤 것을 대상으로, 무엇이 없어지는 가를 알아야 합니다. 물론 네 번째 진리가 dukkhanirodha라는 이름을 가졌으니 당연히 괴로움(둑카)가 없어지고 사라지는 것이지만 정확하게는 갈애가 사라지는 것이고, 세상이나 세간으로 옮기는 loka를 대상으로 일어나는 것이죠. loka를 오취온이나 업으로 이해하면 더 분명합니다. 나머지 단어도 결국 이 뜻에서 벗어나는 것 없습니다.
물들지 않음으로 옮긴 위라가(virāga)는 부정접두어 위(vi)와 욕심, 탐욕, 갈애, 물듦으로 쓰는 라가(rāga)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말입니다. 라가(rāga)는 보통 탐욕이나 욕심으로 쓰고 있는 말이지만 본디 뜻은 염료가 하얀 천에 스며들어 번지면 천에 물감에 물이 드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것처럼 마음이 갈애에 물들면 욕심과 탐욕이 생기기 때문에 보통 탐욕이나 욕심으로도 많이 쓰고 있는 말이죠.
부정접두어가 들어간 (virāga)위가라는 물든 천에 염료가 다시 깨끗이 빠져버린 것이기 때문에 물든 색이 다시 빠져버렸다는 뜻으로 ‘물들지 않음’이라고 옮긴 것입니다. 갈애에 물들지 않았는데 그것도 티끌하나 없이 완전히 물들지 않았기 때문에 남김없이(asesa) 물들지 않음이라고 한 것입니다. 남김없이로 옮긴 빨리어 asesa는 나머지라는 뜻을 가진 sesa에 부정접두어 a가 붙어서 만들어 진 낱말로 나머지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남김 없이로 옮긴 것입니다. 이 낱말은 virāga만 수식하는 게 아니고 나머지 nirodho cāgo paṭinissaggo mutti anālayo도 전부 수식하는 낱말입니다.
nirodha는 앞에서 설명했고요. cāga는 버리다. 놓아버리다. 포기하다는 뜻입니다. paṭinissagga도 버리다 놓아버리다는 뜻입니다. mutti는 벗어난다는 뜻이죠.
anālayo는 집착, 붙잡음, 기댈 곳, 바탕이라는 뜻을 가진 ālayo에 부정접두사가 붙어서 만들어진 낱말로 집착하지 않는다고 붙잡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정리하면 열반, 곧 둑카니로다가 지닌 특성은 괴로움(둑카)가 없어지고 사라지는 것이지만 정확하게는 세상이나 세간으로 옮기는 loka를 대상으로 일어나는 갈애가 완전하게 사라지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그것을 아래와 같이 여섯 가지로 표현한 것일 뿐입니다.
첫 번째는 갈애에 물들지 않은 것입니다.
두 번째는 갈애가 사라지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갈애를 버리는 것입니다.
네 번째는 갈애를 놓아버리는 것입니다.
다섯 번째는 갈애에서 벗어나는 것입니다.
여섯 번째는 갈애를 더 이상 집착하지 않은 것입니다.
네 번째 진리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끄는 닦음
14)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가는 실천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
그것은 무엇인가?
‘바른 앎, 바른 생각, 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표정, 바른 힘씀, 바른 알아차림, 바른 마음가짐'이다.
Idaṃ kho pana, bhikkhave,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네 번째 진리는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끄는 닦음입니다. 앞에서 공부했던 중도 곧 팔정도를 말하죠. 팔정도와 사정제의 관계는 충분히 설명했으니 여기선 빨리어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를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가는 닦음으로 옮긴 까닭을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하죠. dukkhanirodha는 앞에서 설명했다시피 괴로움의 사라짐입니다. 뒤이어 나오는 낱말이 gāminī인데 가다라는 뜻을 지닌 어근 gam에서 나온 낱말로 '가는, 가게 하는, 이끄는'과 같이 옮길 수 있는데 수행자의 능동적인 입장을 살려 '가는'으로 옮겼습니다.
paṭipadā는 앞에서 중도에서 도(道)로 옮겼던 낱말이지요. 설명했던 대로 paṭipadā는 길로 옮기고 있지만 길보다는 실천이라는 뜻에 가깝죠. 그 실천도 한 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되풀이해서 몸에 붙은 행위를 뜻합니다. 그래서 닦음이니 도닦음으로 옮기기도 합니다.
여기선 닦음으로 옮겼지만 '닦음'이나 '도닦음'이라는 낱말이 주는 고루한 이미지 때문에 실천이라고 옮기는 것이 더 좋을 듯합니다.
팔정도를 실천하는 것이 바로 불교에서 말하는 수행이라고 생각한다면 말로만 일상을 떠나 따로 수행이 없다는 말이 살 살아나지 않을까 해서입니다. 팔정도에 대해서는 앞에서 이미 설명을 마쳤죠.
삼전십이륜
괴로움에 관한 세 가지 지혜
진리로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라고 예전에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진리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Idaṃ dukkh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할 바를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을 꿰뚫어 알아야 한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진리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ṃ ariyasaccaṃ pariññeyy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을 꿰뚫어 알았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진리에 대해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ṃ ariyasaccaṃ pariññā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15)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라고 일찍이 한번 도 들어보지 못한 가르침(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Idaṃ dukkh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삼전십이륜에 관한 것은 본문에 나오는 정도면 충분하니 여기선 간단하게 빨리어에 대해 설명 하도록 하죠. 삼전십이륜은 네 가지 진리 하나하나에 대해 진리로 아는 지혜, 그 역할로 아는 지혜, 그 역할을 다해 완전하게 알았다는 지혜를 갖추는 것을 말합니다.
빨리어론 sacca ñāṇa, kicca ñāṇa, kata ñāṇa라고 하죠. 먼저 sacca ñāṇa를 진리로 아는 지혜로 옮겼습니다. 지혜롭고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해선 먼저 붓다의 가르침가운데 첫 번째 진리인 괴로움을 진리로 알아야겠죠. 진리가 아니고 거짓이라면 물론 알아야 할 필요도 배워야 할 까닭도 없으니 말입니다.
'일찍이'로 옮긴 빨리어 pubbe는 불변사로 보통 과거 어느 한 때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런데 주석서는 보통 이 낱말만 나오면 무조건 과거 전생 어느 시점으로만 해설하려고 하는데 문제가 참 많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숙명통인 숙명지도 사실 이 낱말과 슬기(ñ̃̃a̅ṇa)가 맺어진 말입니다. 보통 '숙명지'를 전생에 대한 앎으로 이해하는데 업의 원인인 번뇌에 대해 정확하게 아는 것을 말하죠. 윤회의 구조인 번뇌 업, 과보에서 번뇌를 아는 지혜가 숙명지이고 업과 과보를 아는 지혜가 천안통이라고 하지요. 그 윤회의 중독에서 완전히 벗어났다는 것을 자신이 분명하게 알았을 때 바로 그것이 누진통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cakkhu는 보는 능력을 갖춘 눈이죠. 보는 것은 아는 것이지요. 그래서 다음에 나오는 슬기
(ñ̃̃a̅ṇa)나 지혜(paññā), 그리고 앎( vijjā)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뜻입니다. 뒤에 나오는 빛( āloka)도 지혜 앎 슬기를 상징하는 것이니 역시 큰 똑같습니다. 낱말이 서로 다르다 해서 굳이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해 차이를 두는 것도 좀 억지스러울 뿐이지요. 이런 낱말은 뭐 여러 책에서 설명을 했으니 굳이 할 필요는 없겠죠. 중요한 것은 지혜로 옮기든 앎으로 옮기든 슬기로 옮기든 그 대상이 팔정도와 사성제를 떠나지 않는다는 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좀 낯선 낱말이 빛으로 옮긴 āloka(아로까)는 어근 lok에서 나온 말로 빛 말고도 '보다'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자주 나오는 동사 udapādi(우다파디)는 어떤 것이 분명하게 생긴다는 뜻입니다. 여기선 그냥 '생겼다'로 옮겼습니다.
16)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을 꿰뚫어 알아야 한다.’라고 일찍이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진리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ṃ ariyasaccaṃ pariññeyy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다음은 괴로움에 대해 주어진 역할을 아는 kicca ñāṇa에 관한 설명입니다.
여기선 할 바를 아는 지혜로 옮겼습니다. 괴로움에 대해 해야 할 바는 바로 꿰뚫어 아는 것이죠. 네 가지 진리 가운데에서 꿰뚫어 알아야 할 바는 단 하나 괴로움이라는 것입니다. 나머지 진리도 알아야 하지만 꿰뚫어 알아야 할 대상은 아니라는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네요. 나머지 진리에 주어진 역할은 또 다른 것이 있습니다.
꿰뚫어 알았다고 옮긴 pariññeyya 접두사 pari와 어근 과 접미사가 맺어져 만들어진 파생어로 '완전하게 알다. 두루 알다'는 뜻인데 '꿰뚫어 안다'로 옮겼습니다.
17)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을 꿰뚫어 알았다.’라고 일찍이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진리에 대해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ṃ ariyasaccaṃ pariññā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괴로움에 대해 알아야 할 마지막 지혜는 꿰뚫어 알아야 할 바를 다 알았다는 지혜입니다. 빨리어로 kata ñāṇa라고 하는데, 여기선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로 옮겼습니다. 물론 여기서 앎은 일반적인 앎이 아니라 분명하게 체험을 통해 완벽하게 알았다는 것이지요.
꿰뚫어 알았다라고 옮긴 pariññāta는 '완전하게 알다'라는 동사에 접미사 ta가 붙어 완료형으로 바뀌었죠. 이를테면 붓다에게 초전법륜경을 듣고 완전하게 이해했다하더라도 그 앎은 아직 미진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 가르침을 실제 삶속에서 닦아보고 그 가르침이 분명하게 '옳다'라는 것을 아직 확인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같은 앎이지만 앞의 앎은 배움으로서의 앎이고 뒤의 앎은 실천(수행)을 통해 체득한 앎이라 할 수 있습니다.
괴로움이 생기는 까닭에 관한 세 가지 지혜
진리로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할 바를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을 없애야 한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pahā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을 없앴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pahīn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진리로 아는 지혜
18)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괴로움이 생기는 까닭을 진리로 아는 지혜에 대해서 더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사성제에 대해 진리로 받아들이는 것은 쉽다고도 그렇다고 어렵다고도 할 수 없죠. 단지 아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그 앎이 삶속에서 녹아 내 행위를 바뀌고 나를 바뀌고 내 삶을 바꾸지 못한다면 아무런 가치가 없겠죠.
할 바를 아는 지혜
19)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을 없애야 한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pahā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세 가지 지혜가 다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할 바를 아는 지혜일 것입니다. 진리로 아는 지혜를 실제 삶속에서 실천해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인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도 결국 이 두 번째 진리를 정확하게 실천했을 때만이 나오는 결과일 뿐입니다.
두 번째 진리인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 곧 갈애에 주어진 역할은 이 문장 속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없애야 한다.'라고 옮긴 pahātabba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 낱말은 접미사 tabba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비정형동사로 보통 미래수동형으로 쓰이는데 당위를 나타내죠. 마땅히 '제거해야 한다. 없애야 한다.'로 옮길 수 있죠. 갈애에게 주어진 역할은 제거되거나 없어져야 하는 것이고 수행자는 이 갈애를 마땅히 없애야 하는 것입니다.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
20)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이 일어나는 까닭을 없앴다.’라고 일찍이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pahīn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괴로움이 생기는 까닭에 대해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에 관한 부분입니다.
앞에선pahātabba로 표현을 했는데 이 문장에선 pahīna로 표현을 하네요. 모두 접두사 어근 ha에서 만들어진 단어로 접미사가 다를 뿐 그 뜻은 약간 차이가 날뿐입니다.
어찌되었든 이 지혜는 갈애가 분명하게 없어졌다고 아는 것이지요.
괴로움의 사라짐에 관한 세 가지 지혜
진리로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사라짐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의 사라짐에 이르러야 한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sacchikā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의 사라짐에 이르렀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sacchika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21)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사라짐이라는 거룩한 진리이다’라고 일찍이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이 문장이 괴로움의 사라짐, 곧 열반에 대해 진리로 아는 지혜에 관한 것입니다.
22)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의 사라짐에 이르러야 한다.’라고 일찍이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sacchikā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이 문장은 열반에 대해 주어진 역할, 곧 열반에 대해 해야 할 바를 아는 지혜에 관한 것입니다. 열반이 무엇인지 알아야, 또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떤 이로움이 있는지 알아야 진리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죠. 또 이것에 주어진 역할도 알아야겠죠. 열반을 보아야 하는 것인지, 없애야 하는 것인지, 닦아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이 문장에 나오는 것처럼 이르러야 하는 것인지 말이죠. 분명히 여기선 '이르러야 한다.'라고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아비담마에선 열반을 알아야 하는 대상이라고 하고, 또 그 열반을 아는 마음을 도과의 마음이라고 말도 하지만 어찌되었든 이 문장과는 다르죠.
'이르러야 한다.'로 옮긴 빨리어 sacchikātabba는 어원을 분석하면 물론 눈앞에 물건을 보듯이 분명하게 아는 것을 뜻하지만 어떤 상태를 성취하거나 이루거나, 어떠한 상태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알아야 합니다. 물론 아비담마에서는 열반을 궁극적 요소의 하나로 보고, 그것을 아는 것이라 주장하지만 말이죠. 여기선 이르렀다고 옮겼는데 그 까닭은 본문을 읽었으면 충분히 이해했으리라 생각합니다.
23)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의 사라짐에 이르렀다.’라고 일찍이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sacchika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이 문장은 괴로움의 사라짐에 관한 마지막 지혜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에 관한 것입니다. 곧 열반을 성취했다고 분명히 아는 것이지요. 열반을 성취했다는 것을 어떻게 알까요? 무언가를 보았다고 아는 것일까요? 아니면 남들에게 제대로 설명할 수 없지만 어떤 상태를 경험한 것일까요? 그것도 아니면 도저히 언어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일까요?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으리라 생각이 드네요.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르게 하는 공부에 관한 세 가지 지혜
진리로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르게 하는 공부라는 거룩한 진리이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해야 할 바를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르게 하는 공부를 닦아야 한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진리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bhāve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르게 하는 공부를 닦았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bhāvi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진리로 아는 지혜
24)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르게 하는 공부라는 거룩한 진리이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사성제 하나하나에 세 가지 지혜가 있으니 모두 열두 가지 지혜입니다. 아홉 가지가 끝났으니 이제 세 가지 지혜만 남았습니다. 세 가지 지혜는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끄는 공부, 곧 팔정도에 관한 것입니다. 이 문장은 팔정도를 진리로 아는 지혜에 관한 것입니다.
해야 할 바를 아는 지혜
25)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르게 하는 공부를 닦아야 한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진리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bhāvetabba’nti me, bhikkhave, pubbe…pe… udapādi.
팔정도에 대해 주어진 역할은 닦는 것입니다. 이것은 팔정도를 닦아야 하는 것으로 알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네 가지 진리에 주어진 역할가운데 유일하게 닦아야 하는 것입니다.
'닦는다.'라고 옮겼지만 빨리어 bhāvetabba는 사실 마땅히 키워져야 한다는 뜻이지요. 앞에서도 말했지만 빨리어 문장은 의외로 수동형식이 많은데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모두 능동형으로 바꾸어 번역했습니다. 그런데 이 낱말은 '키우다'는 뜻을 가진 어근 bhu에 사역형으로 만드는 접미사와 위에서 설명했던 접미사 tabba가 결합된 것이지요. '키우다'라는 뜻을 가진 어근에 접미사 두 개가 붙었으니 그대로 옮기면 '키워지게 시키다.'로 해야 하나 어쩌나 모르겠습니다. 그냥 우리말로 마땅히 키우고 자라나게 한다는 뜻일 뿐입니다. 팔정도를 키운다는 뜻인데 여기선 '닦는다.'로 옮겼습니다.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사성제는 팔정도의 실천구조 팔정도를 닦음과 동시에 사성제가 구현되는 것입니다. 실제 수행 상에서 사성제가 각각 따로 떨어지지 않고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어떻게 동시에 이루어지느냐고요! 이론적으로 이 네 경을 통해서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다 이해한 뒤에 직접 팔정도를 닦아야겠죠. 닦으면 괴로움을 알게 되고, 괴로움을 알게 되면, 괴로움이 일어나는 갈애가 그 자리에서 저절로 끊어지게 됩니다. 갈애가 끊어지면 또한 그 자리에서 열반에 이르게 되는 것이지요. 이렇게 사성제가 동시에 굴러가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실제로 팔정도를 닦을 때만이 나머지 세 진리 또한 알게 되고 끊어지고 이르게 된다는 것입니다.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
비구들이여, ‘이 괴로움의 사라짐으로 이르게 하는 공부를 닦았다.’라고 예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법에 대해 나에게 눈(cakkhu)이 생겼고, 슬기(ñ̃̃a̅ṇa)가 일어났고, 지혜(pañ̃̃ñ̃̃a̅)가 생겼고, 앎(vijja̅)이 생겼고, 빛(a̅loka)이 일어났다.
Taṃ kho panid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bhāvita’nti me, bhikkhave,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마지막 팔정도에 다해 할 바를 다했다고 아는 지혜만 남았습니다. 뭐 설명할 필요도 없겠죠.
붓다의 가르침은 사성제를 떠나 다른 것이 없고, 사성제 또한 이와 같이 하나하나에 대해 세 가지 모습으로 알아야 합니다. 그 앎은 이론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도 분명 포함되어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실제 체험을 통해서도 알아야 합니다. 붓다의 가르침을 이렇게 아는 것 말고 달리 알 수는 없지 않을까 합니다.
26) 비구들이여, 나에게 이 네 가지 진리에 대해 이와 같이 세 가지씩 열두 가지 모습으로 있는 그대로 앎과 봄이 뚜렷해지기 전까지 ‘나는 천신 악마 범천의 세계와 사문 브라만 왕족과 일반 사람들 가운데에서 으뜸가는 바른 지혜를 스스로 깨달았다.'고 받아들이지 않았다.
Yāvakīvañca me, bhikkhave, imesu catūsu ariyasaccesu evaṃ tiparivaṭṭaṃ dvādasākāraṃ yathābhūtaṃ ñāṇadassanaṃ na suvisuddhaṃ ahosi, neva tāvāhaṃ, bhikkhave , sadevake loke samārake sabrahmake sassamaṇabrāhmaṇ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 paccaññāsiṃ
이 단락은 사성제에 대해 열두 가지 지혜가 뚜렷하지 않았을 때 모스스로 깨달았다는 것을 확신하지 못했다고 밝히는 곳입니다.
tiparivaṭṭaṃ dvādasākāraṃ yathābhūtaṃ ñāṇadassanaṃ를 간단하게 삼전 십이륜으로 옮겼는데 한 번 살펴볼까요? tiparivaṭṭaṃ를 ti는 셋이라는 뜻이고, parivaṭṭa 돎, 회전을 뜻하는 말이고, dvādasa는 열 둘을, ākāra는 형태, 행동, 조건을 뜻하는 낱말로 사성제 하나하나에 대해 세 가지 씩 모두 열두 가지 모습, 상태로 지혜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빨리어 tiparivaṭṭaṃ dvādasākāraṃ를 쉽게 옮기면 세 가지 씩 열두 가지 모습으로 옮길 수 있죠.
yathābhūta ñāṇadassana는 여실지견으로 옮기는 낱말이죠.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을 말합니다. yathābhūta는 사실 그대로, 있는 그대로 일어나는 그대로라는 뜻인데 보통 여실(如實)로 옮기고 있죠. 지견으로 옮기는 빨리어 ñāṇadassana는 지혜로 옮기는 ñāṇa와 봄(見)이라고 옮기는 dassana가 맺어진 복합어입니다. 알고 본다는 뜻이지요.
있는 그대로 알고 보았다는 뜻으로 쉽게 옮길 수 있습니다.
상좌부불교는 이 낱말이 지닌 뜻을 철저하게 요소로 환원시키는 것으로 받아들이지요. 이를테면 사람은 크게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사람을 해체하여 있는 그대로 요소인 색 수 상 행 식으로 보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게 보는 수행을 그들은 위빠싸나라고 하고 붓다의 수행법이라고 하는데 그냥 받아들이기엔 문제가 많죠. 그들은 위빳싸나수행은 속제를 보는 것이 아니라 진제를 보는 것이 시작이라고 말하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어디 이 초전법륜경에 진제와 속제라는 말이 나옵니까?
붓다는 진제와 속제로 진리를 구분해서 설명한 적도 없습니다. 오직 성제만을 당신의 가르침이라고 하였지요. 성제는 진제니 속제니 따지지 않고 오직 인간의 행위를 중심으로 삶속에서 어떻게 올바르게 행위를 하며 바르게 관계를 맺는가를 늘 주장하신 분입니다.
따라서 있는 그대로라는 것(yathābhūta)도 그렇게 보아야겠죠. 행위와 관계로 맺어지는 삶속에서 옮고 그름을 분명히 구분하고 그름을 버리고 옮음을 실천하는 것이지요.
여기서 있는 그대로 보고 알았다는 것도 인간을 더럽히는 것이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그릇된 행위이며, 이 그릇된 행위를 바른 행위를 실천하는 것으로 바꾸어 가는 것이 바로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평화를 구현하는 가르침인 사성제라는 것을 알았다는 것입니다.
그 사성제에 대해 분명하게 알았다는 것이지요.
nsuvisuddha는 청정하다, 깨끗하다는 뜻인데, 여기선 '뚜렷하다'로 옮겼습니다. 그 주어가 앎과 봄(지견)이기 때문에 '분명하고 뚜렷하다.'로 바꾼 것입니다.
천신으로 옮기는 deva, 악마로 옮기거나 그냥 마라로 음역하는 māra, 범천으로 옮기는 brahma에 앞에 sa와 뒤에 ka가 붙어 좀 복잡해 보이지만 '와 함께 있는' 으로 옮기면 되죠. 모두 loka를 수식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빨리문장에서 보통 같은 격이 죽 나열되어 있을 때는 수식관계로 보기 때문이죠. 그대로 옮기면 '천신과 함께 하고, 마라와 함께 하고, 브라흐마와 함께 사는 세상에서'로 옮겨야 합니다.
ssamaṇa는 보통 사문으로 음역하는데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말로 보통 수행자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brāhmaṇa는 브라만족을, devamanussā는 왕족과 평민을 가리키고
모두 pajāya를 수식하는데 pajā는 사람의 무리를 가리키는 말 입니다. '수행자, 바라문, 왕족, 평민의 무리 속에서'로 옮길 수 있죠. 여기서 천신이니 마라니 범천이니 하는 낱말이 나온다하여 우리가 사는 이 세상 말고 다른 세상이 있다고 단정을 지어서는 안 되죠. 삼십일천에 사는 중생은 다른 공간에 사는 존재가 아니라 더러움에 물든 몸과 마음, 곧 오취온에 붙은 이름으로 알아야 합니다. 사람들이 술 좋아하는 사람을 술꾼이라고 노름 좋아하는 사람을 노름꾼이라고 하듯이 업의 종류에 따라 31가지로 나누어 이름을 붙인 것이지요.
그러니 이 문장은 어떤 업을 짓는 사람이든, 또 그 출신성분이 무엇이든 그 사람들 가운데에서로 쉽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anuttara는 '위없는(無上) 최상의'라는 뜻으로 같은 격이기 때문에 sammāsambodhi를 꾸미는 것입니다. sammāsambodhi는 '바르게 스스로 앎'이라는 뜻인데 정등각(正等覺)으로 옮기고 있는 낱말입니다. 그냥 그렇게 이해하고 넘어가면 그 뜻이 분명하게 살아나지 않습니다. 앞에서 붓다는 중도를 깨달았다고 했고, 그 중도가 바로 팔정도라는 사실을 밝혔죠. 그 팔정도를 가리키는 것이 바로 sammā입니다. sam은 스스로, 홀로 라는 뜻이고, bodhi는 앎, 깨달음이라는 뜻인데 지혜를 가리키는 말이죠. 붓다는 어느 누구도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중도, 곧 팔정도를 깨달았습니다. 그 지혜가 바로 sammāsambodhi죠. 정확하게 옮기자면
'스스로 바름에 관해 깨달은 지혜'라고 해야겠죠. 여기선 간단하게 바른 지혜로 옮겼습니다.
그래서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를 '으뜸가는 바른 지혜를'이라고 한 것입니다.
paccaññāsiṃ는 patijhanati의 부정과거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받아들이지 않았다'라는 뜻입니다.
27) 비구들이여, 나에게 이 네 가지 진리에 대해 이와 같이 세 가지씩 열두 가지 모습으로 있는 그대로 앎과 봄이 뚜렷해졌을 때 ‘나는 천신 악마 범천의 세계와 사문 브라만 왕족의 세계에서 으뜸가는 바른 지혜를 스스로 깨달았다.'고 받아들였다.
Yato ca kho me, bhikkhave, imesu catūsu ariyasaccesu evaṃ tiparivaṭṭaṃ dvādasākāraṃ yathābhūtaṃ ñāṇadassanaṃ suvisuddhaṃ ahosi, athāhaṃ, bhikkhave, sadevake loke samārake sabrahmake sassamaṇabrāhmaṇ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paccaññāsiṃ.
이 문장은 열두 가지 지혜가 분명하게 뚜렷해졌을 때 비로소 스스로 깨달았다고 자신 있게 밝히는 대목입니다. 초기불교나 부파불교, 그리고 대승불교와 밀교, 심지어 선불교조차도 붓다의 가르침은 사성제를 벗어나는 것이 없다는 것을 부정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사성제가 바로 붓다의 가르침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붓다가 처음으로 설한 이 경에서 이렇게 분명하게 밝힌 열두 가지 지혜에 대해 무관심했다는 것은 사성제를 바르게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28) 나에게 앎과 봄이 생겼고. 나의 해탈은 무너지지 않는다.
이것이 나의 마지막 생이고, 다시 업(bhava)을 짓지 않는다.
붓다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다섯 비구는 이 법문을 매우 기쁘게 받아 들였다.
Ñāṇañca pana me dassanaṃ udapādi – ‘akuppā me vimutti ayamantimā jāti, natthidāni punabbhavo’’’ti. Idamavoca bhagavā. Attamanā pañcavaggiyā bhikkhū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unti.
vimutti는 보통 해탈, 자유, 해방으로 옮기는데 번뇌로부터 벗어났다는 것을 말하지요. 번뇌에서 벗어난 사람은 다시 업을 짓지 않습니다. 참 자유라 할 수 있지요.
맘대로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뜻에서 자유가 아니라 업을 짓고자 하는 마음에서 완전히 벗어났다는 뜻이니 오해는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akuppā는 흔들리지 않다. 무너지지 않다는 뜻이죠. 금강석처럼 견고하다는 뜻이지요.
ayamantimā jāti 에서 ayam과 antimā가 나누어서 보아야 하고, jāti는 앞에서 공부했지요. 생명체가 태어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취온 곧 더러움에 물든 몸이 생기는 것입니다. 여기서도 그렇게 이해를 해야겠지요.
이제 다시 (지을) 삶(유)은 없다고 옮겨야 하지만 bbhava가 업을 가리키는 낱말임을 앞에서 충분히 설명했기 때문에 쉽게 '다시 업을 짓지 않는다.'라고 옮긴 것입니다.
뒤에도 몇몇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초전법륜경은 여기서 끝나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이상 빨리어 문장을 설명할 필요도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첫댓글 고생하셨습니다.우매한 중생을 위해 노고를 끼쳐드려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정독 하였습니다.윤회란 어찌보면 다시 태어남이 아니라.더이상의 미혹에서 벗어나 참자유를 깨닫는 것이라고 생각 되어 집니다.제자신도 아직 그러한 번뇌속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부끄럽네요..
죽엇다 태어나는게 아니고 오취온으로 다시 태어나는거죠
깨닫는게 아니고 이해하여 실천에 옮기는것.이제 조금 눈이 뜨이는것 같습니다.도반형님!!^^(이렇게 하면 또 혼날까 싶어 염려..)
휴~~이러한 진리를 저혼자 알기엔 너무 안타까워 다른 곳으로 스크랩 할려도 엄두가 나질 않네요..ㅜㅜ
스크렙 해가두 엄청난 저항에 감당 안될겁니다
잘 마무리 해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아주 거칠어서 곤란할때가 많기도 하고 또한 역으로 이해를 빨리 하는분들이 계십니다
이런방법 저런 방법 다 동원해서 우매한 사람들 이깨워야죠
사람답게 살기위해서요
당연히 도반입니다
제가 말하고자 하는걸 이해하시고 행하시면 당연히 아라한이죠
부처님이 말씀 하신걸 이해하면 즉시 아라한입니다
후대에 만들어진거 말고 그 대를 생각해보세요
부처님은 오비구들에게 이해 시켰습니다 법의 내용을 그러고 나 외에 5 명의 아라한이 탄생 햇다 했습니다
그렇다면 아라한이라 합니다 후대에 예류자니 불환자니... 만들어낸 단어에 불과 합니다
제가 말하는걸 보지 마시고 법을 보면 즉시 부처님을 보는 겁니다 그때 무어라 했겠는가를 잘살펴 보세요
이쩨 곧 또한분의 아라한이 탄생 하겠죠
저 말고 법을 이해 한분이 몇분 계십니다
저를 통해서는 확인한 바로는 두분은 확실하게 이해 했구
요
다른분들은 확인 못했습니다
저를 이해 하게끔 해준분들 1 분하고 사형사제 분 2 분 또다른 친구 1 분 이렇습니다
나머진 글쎄요 아직도 초기불교란것에 갖혀 있고 아비달마에 구걸 하고 있죠
다음엔 무얼 또 올려 드릴까요?
성스런 나의 도반이여
집성제 다음은 무엇인지요ㅡ도반형님!!
오늘은 돈좀 벌어야 먹고 사니 낼 올려 드릴게요
형님.치사 빤쓰요~~내가 어찌 대충 읽어요~~난 그래도 형님이 좌충우돌 씩씩하게 전투하시는 모습도 이해하는데..열사람이 형님 몰라도..전 이해할려 하는데..좀 섭섭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