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干 방패 간
갈퀴, 갈다, 갉다, 걸다
干의 갑골문
干의 금문 干의 전문
干의 기존의 자원(字源)은 끝이 쌍 갈래진 무기나 방패의 상형으로, 방패나 무기를 들고 돌진하는 것에서 범하다, 간하다 등의 뜻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무기’나, ‘방패’가 전쟁의 중요한 도구이기는 하지만, 법이나 규율을 어기기 위한 방편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습니다.
干(방패 간)의 갑골문 자형 중에서 (1)[표시요망]번 자형은 盾(방패 순)의 갑골문 자형 윗부분에 北(북녘 북)자 모양[①]이 덧붙여져 있으며, (3)[표시요망]번 자형은 盾과 동일합니다. (2)[표시요망]번 자형은 狩(사냥할 수)[獸(짐승 수)와 갑골문에서 통용]에도 나타납니다. (1)과 (3)번 자형은 통용자이며, 干의 실제 갑골문 자형은 (2)번 자형입니다. 이는‘갈고지, 갈퀴’종류의 짐승을 잡는 도구를 나타낸 것입니다.
갈고지 ; [같은 말] 갈고쟁이(가장귀가 진 나무의 옹이와 우듬지를 잘라 버리고 만든 갈고랑이).
갈퀴 ; 검불이나 곡식 따위를 긁어모으는 데 쓰는 기구. 한쪽 끝이 우그러진 대쪽이나 철사를 부챗살 모양으로 엮어 만든다.
干(방패 간)의 (2)번 자형은 ‘갈고지/갈구지’의 모양을 본뜬 것입니다. 그리고 이 갈고지를 휘두르는 것을 ‘갉다’정도로 나타내지 않았을까 하고 추정(推定)합니다.
갉다
(1) 날카롭고 뾰족한 끝으로 바닥이나 거죽을 박박 문지르다.
(2) 갈퀴 따위로 빗질하듯이 좀스럽게 끌어 들이다.
(3) 남을 좀스럽게 헐뜯다.
(4) 남의 재물을 좀스럽고 비열한 방법으로 빼앗아 들이다.
현대국어에서‘갉다’는 조금은 다르게 사용되고 있지만, ‘옭다’가 어떤 물건이나 상황에 대하여‘단단하게 감다’나 비유적인 표현으로서‘함정에 빠트리다’로 사용됩니다. 고대 배달말에서‘갉다’는 상대적인 어감(語感)으로 대항하고 있는 상태의 적에 대하여 공세적인 태도를 취하는 상태를 말하지 않았을까 하는 것입니다. 함정에 빠트린 짐승을 포획(捕獲)할 때‘갈고지’와 같은 도구로 옴짝달싹 못하게 짓누르는 것을‘갉다’고 했을 것 같습니다.
현대국어에서‘비열하게 뒤에서 사람을 갉지 마라’라고 한다면, ‘갉다’는‘갉아먹다/갉아내다’의 어기(語氣)이지만, 예로‘적에 대항하여 갈구다’라고 표현한다면, 이‘갈구다’는 속된 표현으로서‘사람을 교묘하게 괴롭히거나 못살게 굴다’의 뜻입니다. 갈구지로 갈구는 것, 즉‘갉다’가 아니었을까 하는 것입니다.
또한 방패로 적의 공격을 막거나 혹은 직접 밀어붙이는 행위도‘갉다(/갈구다)’로 하지 않았을까 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盾이 干과 통용된 것입니다.
旱 戈의 갑골문 자형들
戈의 갑골문
旱戈(방패 한)의 갑골문 자형은 囗[圍(에울 위)의 원자]과 戈의 합자입니다. 여기서 圍란 방패의 직접적인 모양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에우기 위한 무기[戈(창 과)]’로‘방패’의 관념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干의 갑골문 자형 중 방패의 모양과는 전혀 무관한 (2)번 자형이 사용된 것은 干은‘방패’라는 전쟁도구를 나타낸 것이 아니라, ‘막다, 못하게 하다, 옴짝달싹 제압하다’등의 관념을 나타낸 것이며, ‘갉다/갈퀴다/갈구다’와 같은 순우리말의 소릿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干與(간여 ; 관계하여 참견함), 干涉(간섭 ; 직접 관계가 없는 남의 일에 부당하게 참견함) 등의 한자어(漢字語)에서 干(방패 간)의 실제 뜻은 ‘갈구다’입니다.
干伐(간벌 ; 나무들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잘 자라도록 불필요한 나무를 솎아 베어 냄)에서 干(방패 간)의 뜻은 ‘걸러내다(/갈퀴질 하듯이 솎아내다)’입니다.
祈의 갑골문
干求(간구 ; 바라고 구함)에서 干은‘걸다(/앞으로의 일에 대한 희망 따위를 품거나 기대하다)’의 뜻입니다. 이 경우는 祈의 갑골문은 單[①]과 斤[②]의 합자인데, 單이 干과 같은 뜻이며, 斤은‘찍다(/정확히 모르는 사실을 대충 짐작하거나 무작위로 답하다)’의 뜻입니다.
扞 막을 한
깍지, 갉다
扞의 갑골문 扞의 전문
扞의 갑골문 및 전문은 手와 干의 합자입니다. 전문에서 手는 자형의 좌측, 즉 변[扌]으로 쓰여 특별한 기능이나 동작 행위를 나타냅니다. 技(재주 기), 授(줄 수), 拒(막을 거) 등이 그러한 예입니다. 又(또 우)는 자형의 우측에 사용되어 일상적이거나 반복적인 행위나 행동의 뜻을 나타냅니다. 叙(펼 서/차례 서), 取(가질 취), 反(돌이킬 반) 등이 그러한 예입니다.
干의‘갈다/갉다/갈구다’에서‘갈구는 동작 행위’로‘막다(/못하게 하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또 깍지는‘갈고랑이, 갈퀴’등의 함경도와 경북 방언이기도 한데, 干의‘갈퀴와 갈고랑이’에 구분자 手로‘깍지(/[북한어]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껍데기)’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扞禦(한어 ; 상대편의 공격을 막음)에서 扞이‘막다’의 뜻입니다. 扞止堤(한지제)에서 扞은‘갉다/걹다(/[함경방언]거르다 ; 찌꺼기나 건더기가 있는 액체를 체나 거름종이 따위에 밭쳐서 액체만 받아 내다)’의 뜻입니다.
肌膚不足以扞寒暑. 『呂氏春秋』
살갗으로는 추위와 더위를 막기에 부족할 것이다.
상기 문장의 扞이‘막다’의 뜻입니다.
被鎧扞 持刀兵. 『漢書』
갑옷과 팔깍지를 차고, 칼과 병기를 지니다.
상기 문장의‘鎧扞’는‘갑옷과 팔깍지(/팔목에 끼는, 금ㆍ은ㆍ옥ㆍ백금ㆍ구리 따위로 만든 고리 모양의 장식품)’로 여기서의 팔깍지란 군인들이 팔뚝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던 팔찌를 말합니다.
釬 활팔찌 한/급할 간
화살촉 깍지 ; 활팔찌
釬의 전문
釬은 재질을 뜻하는 金과 干의 합자이며, 干이‘깍지’로 쓰여, ‘쇠로된 깍지’에서‘활팔찌(/활을 쏠 때에 왼팔 소매를 걷어 매는 띠)’의 뜻을 나타냅니다.
또 [급할 간]으로 훈독(訓讀)될 때, 干은‘갈구다, 갉다’의 소릿값을 나타내며, 金은 銳(날카로울 예)의 축약입니다. 날카롭게 갈구는 것에서‘다그치다[赶와 동일]’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肝 간 간
걸러내는 장기(臟器) ; 간
肝의 전문
肝의 전문 자형에 보이는 ⺼[肉의 변형] 자는 臟器(장기 ; 신체 기관)의 뜻입니다. 여기서의 干은‘갉다/걹다(/[함경방언]거르다 ; 찌꺼기나 건더기가 있는 액체를 체나 거름종이 따위에 밭쳐서 액체만 받아 내다)’의 뜻을 나타내어, ‘걹는[/거르는] 장기’라는 것에서‘간(肝)’의 기능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간(肝)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해독(解毒) 작용에 있다는 것을 이 때 이미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肝腸(간장 ; 간과 창자), 肝膽(간담 ; 간과 쓸개), 肝腦塗地(간뇌도지 ;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과 뇌수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등에서 肝이‘간’의 뜻입니다.
刊 새길 간
칼로 갉다 ; 새기다
刊의 전문
刊은 干과 刀의 합자이며, 干이‘갉다(/날카롭고 뾰족한 끝으로 바닥이나 거죽을 박박 문지르다)’로 刀와 더하여, ‘새기다(/글씨나 형상을 파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刊行(간행 ; 책 따위를 인쇄하여 발행함), 發刊(발간 ; 책, 신문, 잡지 따위를 만들어 냄), 出刊(출간 ; 서적이나 회화 따위를 인쇄하여 세상에 내놓음) 등에서 刊이‘새기다’의 뜻입니다.
刊削(간삭 ; 판목이나 나무의 표면을 깎음/글의 일부나 전부를 없애거나 붓으로 지움), 刊剝(간박 ; 깎아서 벗김) 등에서 刊은‘갉다’의 뜻입니다.
奸 간사할 간
갉는[/갈구는] 자세 ; 갈구다, 간살
奸의 전문
奸의 女자는 姿(모양 자)의 축약으로 자세나 태도를 나타냅니다. 干이‘갉다(/남을 좀스럽게 헐뜯다/남의 재물을 좀스럽고 비열한 방법으로 빼앗아 들이다)’의 소릿값을 나타내어, ‘갉는 자세’로‘간살(/간사스럽게 아양을 떠는 태도)’의 뜻을 나타냅니다.
奸惡(간악 ; 간사하고 악독함), 弄奸(농간 ; 남을 속이거나 남의 일을 그르치게 하려는 간사한 꾀), 奸邪(간사 ;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나쁜 꾀를 부리는 등 마음이 바르지 않다/ 원칙을 따르지 아니하고 자기의 이익에 따라 변하는 성질이 있다), 奸詐(간사 ; 나쁜 꾀가 있어 거짓으로 남의 비위를 맞추는 태도가 있음/지나치게 붙임성이 있고 아양을 떠는 면이 있음) 등에서 奸이‘간살’의 뜻입니다.
忓 방해할 간
갉는 마음 ; 갈구다
忓의 금문 忓의 전문
忓의 금문은 干의 아래에 心이 놓여 있으며, 전문은 心의 우측에 干이 놓여 있는 모양입니다. 干이‘갉다’의 소릿값을 나타내어, ‘갉는 마음’에서‘갈구다(/사람을 교묘하게 괴롭히거나 못살게 굴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皯 기미낄 간
긁은/갉은 피부 ; 기미
皯의 전문
皯에서 皮는 皮膚(피부)의 뜻이며, 干이‘갉다’로, ‘갉은 피부’에서‘기미(/얼굴에 끼는 거뭇한 얼룩점)’의 뜻을 나타냅니다.
盰부릅뜰 간
갈구는 눈 ; 갈퀴눈
盰의 전문
盰에서 干은‘갈퀴’의 뜻을 나타냅니다. 目과 더하여, ‘갈퀴눈(/화가 나서 눈시울이 갈퀴 모양으로 모가 난 험상스러운 눈)’의 뜻을 나타냅니다. 또 干을‘갉다, 갈구다’로 보아도 같은 뜻이 도출됩니다.
赶 쫓을 간
갈구며 달리다 ; 쫓다
赶의 갑골문 赶의 전문
赶의 갑골문은 止와 干의 합자이며, 전문에서는 止가 走로 바뀌었습니다. 止[그치다]는 사람의 발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갑골문에서 之[걷다]와 통용되었는데, 전문에서 중의성(重義性)을 제거하기 위하여 走[달리다/닫다]로 변경한 것입니다.
干은‘갈다/갉다/갈구다’의 소릿값을 나타내어, ‘갈구듯이 달리다’에서‘쫓다(/어떤 대상을 잡거나 만나기 위하여 뒤를 급히 따르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迀 구할 간
갈구어서 도달하다 ; 다그치다
迀의 전문
迀은 達(이를 달)의 축약인 辵과, 干의 합자이며, 干의‘갈구다, 갉다’에서 ‘갈구어서 도달(到達)하다’로‘다그치다(/일이나 행동 따위를 빨리 끝내려고 몰아치다/일이나 행동 따위를 요구하며 몰아붙이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秆 볏짚 간
갈라/걸려놓은 벼 ; 볏단, 볏짚
秆의 전문
秆에서 干은‘갈다(/깎다), 갉다, 긁다’등의 소릿값을 나타냅니다. 갈구지로 갉아[/솎아] 놓듯이‘갈라놓은 벼’라는 것에서‘볏단(/벼를 베어 묶은 단), 볏짚(/벼의 낟알을 떨어낸 줄기)’의 뜻을 나타냅니다.
竿 낚싯대 간
대나무로 만든 갈구지 ; 간짓대
竿의 전문
竿의 전문 자형은 竹과 干의 합자입니다. 干이 ‘갈구지’를 나타내어, 대나무로 만든 갈구지로‘간짓대(/대나무로 된 긴 장대)’의 뜻을 나타냅니다.
竿頭(간두 ; 장대나 대막대기 따위의 끝), 竿竹(간죽 ; 담배통과 물부리 사이에 끼워 맞추는 가느다란 대) 등에서 竿이‘간짓대’의 뜻입니다.
旰 해질 간
해가 걸리다, 해가 갈리다
旰의 전문
旰(해질 간) 자는 ‘해가 지다’의 뜻과 ‘빛이 성한 모양’의 서로 반대되는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순우리말의 관용표현에서 ‘해가 걸리다(/어딘가에 떠 있다)’에서 햇빛이 성하다의 뜻과 ‘해가 갈리다(/갈마들다)’에서 해가 기울다, 지다의 뜻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입니다.
汗 땀 한
걸진 물기
汗의 전문
汗의 전문 자형은 水와 干의 합자입니다. 干(방패 간)이‘갈다/갉다’에서‘걸다(/액체 따위가 내용물이 많고 진하다)’로 쓰여, ‘걸진 물’에서‘땀’의 뜻을 나타냅니다.
發汗(발한 ; 병을 다스리려고 몸에 땀을 내는 일), 汗蒸幕(한증막 ; 한증을 하기 위하여 갖춘 시설), 血汗(혈한 ; 피땀) 등에서 汗이‘땀’의 뜻입니다.
衎 즐길 간
걸걸하다, 간간하다
衎의 전문
衎의 전문 자형은 行과 干의 합자입니다. 行은 네거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다니다, 행하다’ 등의 뜻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衍(퍼질 연), 衒(자랑할 현), 衡(저울대 형) 등의 글자들에서는 반복되는 동작의 뜻을 나타냅니다. 즉 干의 ‘갈다, 걸다, 갉다’와 유관한 의성의태어(擬聲擬態語)를 나타낸 것으로‘걸걸하다, 간간하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걸걸하다
(1) 목소리가 좀 쉰 듯하면서 우렁차고 힘이 있다.
(2) 성질이나 행동이 조심스럽지 못하고 거칠다.
(3) 성질이 쾌활하고 외모가 훤칠하다
간간하다
(1) 간질간질하고 재미있다.
(2) 아슬아슬하고 위태롭다.
衎衎(간간 ; 마음이 기쁘고 즐거움/강하고 재빠름), 衎衎大笑(간간대소 ; 얼굴에 기쁜 표정을 지으며 크게 소리 내어 웃음) 등에서 衎이‘걸걸하다, 간간하다’의 뜻입니다.
鼾 코고는소리 한
콜콜, 쿨쿨
鼾의 전문
鼾에서 干이 ‘갈다/갉다’에서 유사한 소릿값인‘콜콜, 쿨쿨’등의 의성어(擬聲語)로 사용된 글자입니다. [한]에서 [ㅎ]음은 순우리말에서 [ㅋ]음의 변이이기도 합니다. ※ 한밭 〓 큰 밭 ≒ 대전(大田)
鼾睡(한수 ; 코를 골며 잠)에서 鼾이‘콜콜, 쿨쿨’의 뜻입니다.
岸 언덕 안
갈라진[갉은/갈퀴진] 비탈 ; 기슭
岸의 전문
岸의 전문 자형은 山과 厂, 그리고 干의 합자입니다. 干이‘갈다, 갉다’에서‘갈라지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산 아래에 벼랑이 갈퀴질 해 놓은 듯 갈라진 곳으로‘기슭(/산이나 처마 따위에서 비탈진 곳의 아랫부분/바다나 강 따위의 물과 닿아 있는 땅)’의 뜻을 나타냅니다.
海岸(해안 ; 바다와 육지가 맞닿은 부분), 沿岸(연안 ; 강이나 호수, 바다를 따라 잇닿아 있는 육지), 彼岸(피안 ; 사바세계 저쪽에 있는 깨달음의 세계) 등에서 岸이‘기슭’의 뜻입니다.
訐 들추어낼 알/거리낌 없이 말할 계
일러바치다, 갈구다, 갉다
訐의 전문
言이‘사람의 말’의 뜻으로 쓰여, 干의‘갉다, 갈구다’와 더하여, ‘갉는/갈구는 듯한 말’이라는 것에서‘일러바치다(/남의 잘못 따위를 윗사람에게 알리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또 言이 자형의 요소로 쓰여, ‘말’의 뜻을 가지지 않을 경우에는‘드러내다, 나타내다’의 뜻이며, 干의‘갈구다(/사람을 교묘하게 괴롭히거나 못살게 굴다), 갉다(/남을 좀스럽게 헐뜯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非訐(비알 ; 남의 잘못을 헐뜯고 들추어냄), 訐訴(알소 ; 남을 헐뜯기 위하여 사실을 날조하여 윗사람에게 고자질함), 骾訐(경알 ; 남의 잘못을 직언(直言)하여 들추어냄), 告謁(고알 ; 피해자가 아닌 사람이 남의 잘못을 관(官)에 알림) 등에서 訐이‘미주알고주알’의 뜻입니다.
齒干 이드러난모양 안
갈퀴진 이 ; 뻐드렁니
齒干의 전문
齒干의 전문 자형은 齒와 干의 합자이며, 干의‘갈퀴’에서‘갈퀴진 이’로‘뻐드렁니(/밖으로 벋은 앞니)’의 뜻을 나타냅니다.
骭 정강이뼈 한/간
간짓대 같은 뼈 ; 정강이뼈
骭의 전문
骭는 骨과 干의 합자이며, 干이 竿의 축약으로, ‘간짓대 같은 뼈’에서‘정강이뼈(/종아리 안쪽에 있는 뼈)’의 뜻을 나타냅니다.
또 骭이‘갈비(/등뼈와 복장뼈에 붙어 가슴의 골격을 이루는 활 모양의 긴 뼈대)’의 뜻도 나타내는데, 이는 干의‘갈고지’에서‘갈’음을 가차한 것입니다.
靬 가죽 간
갉은 가죽 ;
靬의 전문
靬은 革과 干의 합자이며, 干의‘갉다’에서‘갉은 가죽’으로 표현을 우둘투둘하게 가공한 가죽의 뜻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衦 옷의주름펼 간
갈구지에 걸어 말린 옷
衦의 전문
衦은 衣와 干의 합자이며, 干의‘갈구지’에서‘갈구지에 걸어 말린 옷’으로‘주름을 펴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설문(說文)에는‘摩展衣也[만져서 옷을 편 것이다]’라고 설명하는데, 이 때의 손동작을‘갉다’로 볼 수도 있습니다.
閈 이문 한
마을의 간짓대 ; 솟대
閈의 전문
閈은 閭(마을 여)의 축약인 門과, 竿의 축약인 干의 합자로, ‘마을의 간짓대’에서‘솟대(/마을 수호신 및 경계의 상징으로 마을 입구에 세운 장대)’의 뜻을 나타냅니다.
同閈(동한 ; 같은 마을)에서 閈이‘솟대’로써 마을의 비유어로 사용되었으며, 廛閈(전한 ; 가게. 작은 규모로 물건을 파는 집)에서 閈이‘솟대’로써 가게 문 앞에 세워두던 업종의 표시를 의미합니다.
軒 집 헌
수레 위의 간짓대 ; 채
軒의 전문
軒은 車와 干의 합자이며, 干이 竿의 축약으로‘간짓대’의 뜻이며, ‘수레 위의 간짓대, 간짓대가 있는 수레’로‘채’의 뜻을 나타냅니다.
채1
(1) 발구, 달구지, 수레 따위의 앞쪽 양옆에 댄 긴 나무.
(2) 가마, 들것, 목도 따위의 앞뒤로 양옆에 대서 메거나 들게 되어 있는 긴 나무 막대기.
(3) [북한어] 자전거의 앞바퀴와 이어져 방향을 잡게 되어 있는 손잡이.
채2
(1) 집을 세는 단위.
(2) 큰 기구, 기물, 가구 따위를 세는 단위.
(3) 이불을 세는 단위.
(4) 가공하지 아니한 인삼을 묶어 세는 단위.
東軒(동헌 ; 지방의 고을 원이나 감사ㆍ병사ㆍ수사 그밖에 수령들의 공사를 처리하는 대청이나 집), 書軒(서헌 ; 공부하기 위하여 따로 마련한 방) 등에서 軒은‘채2의 (1),(2)’의 뜻입니다.
軺軒(초헌 ; 조선 시대에, 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가 타던 수레. 긴 줏대에 외바퀴가 밑으로 달리고, 앉는 데는 의자 비슷하게 되어 있으며, 두 개의 긴 채가 달려 있다), 戎軒(융헌 ; 전쟁할 때에 쓰는 수레) 등에서 軒은‘채1의 (1),(2)’가 있는‘수레’를 의미합니다.
軒架(헌가 ; 시렁과 같이 높은 곳에 걺. 또는 그곳), 軒燈(헌등 ; 처마에 다는 등)에서 軒은‘채1의 (1), (2)’, 즉‘긴 막대기’로서의‘채’의 뜻입니다.
‘차전(車戰)놀이’는‘동채싸움’이라고도 하는데, ‘동채’는‘(새끼 따위로)동여맨 채’의 뜻이며, 여기서‘채’란 간 구조물을 덧댄 모양을 말합니다. 이를 干 , 즉 竿[간짓대]으로 본 것입니다.
軒軒(헌헌 ; 풍채가 당당하고 빼어나다), 軒然(헌연 ; 의기가 높고 당당하다)에서 軒은‘비교적 높다란 구조물’이며, 이에‘채’의 어기가 들어 있는 것입니다. ‘헌걸차다(/매우 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한 듯하다), 헌거롭다(/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한 데가 있다)’에서‘헌’도 거의 유사한 의기를 가집니다. 따라서 軒은 [채 헌]이 가장 적절한 훈독(訓讀)입니다.
罕 드물 한
드물다, 뜨다, 뜸
罕의 전문
罕의 전문 자형은 网과 干의 합자입니다. 앞의 글자들에서 논증이 되었듯이 干은 실제로는 ‘갈고지’와 같은 짐승을 결박하기 위한 사냥용 도구입니다. 그물과 갈고지라는 두 가지 도구의 형상을 결합한 글자가‘드물다’의 뜻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网과 干의 실제 명칭이나 작업을 지칭하는 말, 혹은 관념(觀念)에 대한 비유어의 소릿값을 나타냈기 때문입니다.
離에서 离는 그물을 이용한 덫이나 올무의 상형이며, 이렇게 살아 있는 짐승을 잡아내는 것을‘뜨다/떠다’라고 했으며, 罕이 바로 그 작업상태를 상형화한 것입니다. 干은 갈고지와 같은 도구나 그와 같은 모양의 덫이며, 网으로 사로잡음을 의미하여, 바로‘떠다/뜨다’의 소릿값을 나타낸 것이며, 명사형(名詞形) ‘뜸’을 표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離의 자형과 비교해보면, 离의 갑골문 자형은 짐승을 잡는 덫입니다. 罕의 干도 짐승을 잡는 도구입니다. 離의 隹는‘모양새’의 뜻입니다. 罕에서 网은 ‘드문드문/뜨문뜨문’의 소릿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이‘떠다/뜨다’와 ‘드문드문/뜨문뜨문’의 두 소릿값의 합으로서‘드물다[/뜸하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罕例(한례 ; 드문 예), 罕有(한유 ; 드물게 있음), 罕古(한고 ; 예로부터 드묾), 罕見(한견 ; 드물게 보임) 등에서 罕이‘드물다’의 뜻이며, 罕罔(한망 ; 노끈이나 실, 쇠줄 따위로 여러 코의 구멍이 나게 얽은 물건)에서 罕은‘뜨다(/실 따위로 코를 얽어서 무엇을 만들다), 뜸’의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