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고추모종과 야콘 모종이 나란히 있는 비닐 하우스-속덥게인 부직포가 보이네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2E4274BCCE2B037)
2.야콘 뇌두가 묻혀 있는 스티로폼 박스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912E4274BCCE2B138)
3.야콘 뇌두가 묻혀 있는 스티로폼 박스 입니다. -양이 조금 됩니다. 물론 이것보다 많을 수도 있겠지만...초보농이 이정도면 적은게 아니죠..^^
![](https://t1.daumcdn.net/cfile/cafe/2012E4274BCCE2B139)
4.위에서 한 컷..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잎이 2-4장 정도 나왔을 때가 포트로 옮기기 적당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812E4274BCCE2B13A)
5.상토에 묻혀 있는 뇌두를 모종 옮기기 위해 파내어서 한컷.
![](https://t1.daumcdn.net/cfile/cafe/2012E4274BCCE2B23B)
6.뇌두를 완전히 꺼내 본 모습.-콩나물 처럼 푸른 잎은 없고 줄기만 하얗게 올라온 것은 더 묻어 두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잎이 나 있고 뿌리가 건강하게 나온 녀석들만 골라서 잘 때어 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112E4274BCCE2B23C)
7.그렇게 때어낸 뇌두를 포트에(50구짜리)옮겨 심고 있는 모습입니다. 작업중인 분은 아버님 되시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312E4274BCCE2B33D)
8.역시 포트에 옮기고 흙대신 상토로 잘 눌러서 나무 심듯이 해 줍니다. -그렇게 모종 하나하나를 나무 심듯 포트에 옮기는 작업이 시간이 엄청 소요되고 다리가 아프고 허리도....^^
![](https://t1.daumcdn.net/cfile/cafe/1412E4274BCCE2B33E)
9.마지막 구를 모종으로 채우면 포트 전체를 다시 하우스 모판 안으로 옮겨다 놓고 물을 주고 그날은 해가림막을 설치해 주고 그렇데 다음날 부터 아침에는 3중덥게(부직포-보온덥게-비닐)을 벗겨서 해를 보게 하고 오후에는 다시 덥어 주고 상토가 마른듯 하면 물을 주고 하여서 약 1달을 길러서 본포로 나가게 될 것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512E4274BCCE2B33F)
보온덥게가 덥혀 있는 모습.
![](https://t1.daumcdn.net/cfile/cafe/1412E4274BCCE2B340)
마지감 비닐 덥게가 덥혀 있는 모습.
![](https://t1.daumcdn.net/cfile/cafe/1612E4274BCCE2B441)
이상이 야콘 모종 포트 옮기기 작업에 대한 이야기 였습니다. 물론 뇌두는 작년에 재배하고 수확한 야콘 중 실한 뇌두만 모아서 땅을 파고 그 안에 왕겨를 뇌두와 함께 석어 넣어서 과습과 동해를 방지해서 봄까지 저장해 두었던 것을 사용 합니다. 타 작물에 비해 노동력이 거의 가지 않는다는 야콘도 일정부분은 노동력이 필요 합니다. 물론 정식후는 거의 필요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