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 지 |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홍국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천반수天盤數
천 간 |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계 |
홍국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사주를 작성하고 나서 위의 도표圖表에 의거하여 사주 간지에 해당하는 수를 대입하고 천간은 천간대로 지지는 지지대로 모두 더한 다음 9로 나누고 나머지를 구하여 중궁에 넣는다. 만약 나머지가 없는 경우에는 9수를 그대로 쓰고, 9수 이하도 그대로 쓰는 것이다.
“지반이 주인이 되고 천반은 손이 되어 생극生剋과 왕쇠旺衰를 관찰하는 것이다.”라는 글이 여기서 공부하고자 하는 통변의 핵심 내용이다. 아래 항에서 이를 다루어 보겠다.
중궁 5수의 출건궁出乾宮과 출감궁出坎宮
“오로지 지국支局의 5수만은 중궁에 넣고서 건궁乾宮으로 순행하여 본궁本宮이 되므로 수가 변하지 않으며, 간국干局의 5수는 중궁에 넣고 이궁離宮으로 역행한다.”라는 문장은 홍연학계에서 시비가 많다. 여기서는 감궁坎宮으로 나가는 것을 취하지 않고 홍연진결의 원의에 따라 건궁으로 나가는 것을 취한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선천역先天易 하도 복희역伏羲易은 10수를 쓰고 후천역後天易 낙서 문왕역文王易은 10수를 쓰지 않고 오로지 9수만 쓴다. 홍연진결의 홍국수는 낙서를 근거하여 모든 이론이 성립되었는데 현재 홍연학계에서 10수를 쓰는 이유가 무엇이며, 또한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 홍연진결과 황극책수皇極策數는 어느 책이 먼저 나왔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홍연진결의 근간을 이루는 황극책수 구문변수기문九門變數奇門만 보아도 하도를 본체로 하고 낙서를 작용으로 한다고 명시하였고, 1변국一變局에서 9변국까지 모두 10수를 쓰지 않고 재중수再中數 곧 가수加數를 쓰고 있다. 또한 토정노인土亭老人이 저술했다고 하는 농아금방단시聾啞禁方單始도 그러하며, 홍연진결의 원서도 이를 충실히 준용하고 있다. 지지와 천간의 수를 모두 합하여 9로 나누고 남는 수를 중궁에 넣고 지반수와 천반수로 사용한다는 것도 낙서를 의거하여 9수를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십토론十土論만 보아도 10수를 전용하는 법은 없다. 그런데 언제 누구에 의해서 재중수 또는 가수를 쓰지 않고 10수를 쓰게 되었는가? 물론 홍연진결의 가령장假令章에 보면 대부분 10수를 쓰고 있다. 가령장이 원문과 상반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십토론十土論에 의하면, “9궁에 원래 십토十土가 없기 때문에 재중수再中數를 더하는 것이니 바로 술가術家의 묘법妙法이다. ‘앞의 반’(선반先半)은 토土를 사용하고, ‘뒤의 반’(후반後半)은 가수加數를 사용한다. 오로지 토만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고, 오로지 가수만 사용하는 것도 옳지 않으며, 이 때문에 겸용兼用하는 것이 옳다.”라는 문장과 같이, 재중수를 사용하지 않고 토10수를 전용하면 술가의 묘법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10토와 재중수를 최소한 함께 사용하는 것이 옳다.
지반수와 천반수를 9로 나누고 남는 수를 중궁에 넣기 때문에 10수가 중궁에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 우리나라 국운을 보려면 천하국天下局을 설정한 다음 간상수艮上數를 중궁에 넣고 다시 포국하는 간상수입중기의도艮上數入中奇儀圖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므로 천하국의 간상수가 10수인 경우 간상수를 중궁에 넣게 되면 10수가 중궁에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는 현재 역학계에서 재중수 대신 10수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는 전제 아래에서만 가능하다.
5토 중궁수가 건궁으로 나가지 않고 감궁으로 나간다고 하는 주장의 근거는 운호진인雲戶眞人(1881.~?)이 저술했다는 대전기大全奇와 토정노인의 저술로 알려진 농아금방단시의 홍범변국도洪範變局圖 등이다. 대전기를 살펴보면 홍연진결을 근거하여 저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5수 중궁수만 유독 건궁으로 나가면 틀리고 감궁으로 나가야 옳다고 주장하는 역학자들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만일 간상수 10수가 중궁에 들어가고 다음 감궁으로 1수가 나가고 순차를 밟으면 5수가 재중수가 되어 6수가 건궁이 되고, 또 5수가 중궁수라면 6수가 건궁으로 나갈 경우 순차를 밟으면 다시 감궁에 1수가 되며, 이 때문에 중궁의 5수와 10수가 모두 8궁의 수가 동일하게 겹쳐서 나타나므로 불합리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10수도 5수와 동일하게 중궁에서 건궁으로 나가면 겹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홍연진결 2쪽 ‘4. 8괘八卦’ 편에 이르기를, “연국年局은 ‘간궁艮宮 위의 수’를 중궁에 넣는다. 가령 10수를 중궁에 넣는다면, 또한 손하절괘巽下絶卦를 만든다.”라는 원문에 대하여, 재차 편집한 분이 이르기를, “내가 이르되, ‘10수는 가수加數를 사용하므로 5수가 중궁이 되며, 이 때문에 손괘를 쓴다.’라고 한다.”라고 주석했다. 이를 의거하면 간상수일지라도 10수는 중궁에 들어갈 경우 가수를 오래 전부터 사용해 내려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원문에 '내가 이르되‘라고 한 분은 원저자는 아닐 것이다.
이 논제에 대한 이론을 확립하려면 구성학은 1수부터 9수까지 중궁수는 모두 건궁으로 나가는데, 황극책수와 홍연진결 그리고 농아금방단시 대전기 등에서 한결같이 구성학의 이론을 배제하고 5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국變局 8국은 모두 왜 중궁에서 건궁으로 나가지 않고 감궁으로 나가는가 하는 근본 이유부터 규명되어야 옳을 것이다.
그리고 낙서를 작용으로 삼는 황극책수와 농아금방단시에서는 10수의 경우를 상정하지 않고 재중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홍연진결도 십토론에 의하면 10수를 전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홍연진결의 가령장을 추가한 역학자들이 재중수 대신 10수를 사용한 이유부터 규명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모든 학문은 그 연원을 중시한다. 중궁의 5수가 건궁으로 나가는 것은 황극책수와 홍연진결의 기본개념이고, 나머지 수가 중궁에서 감궁으로 나가는 것도 또한 두 책의 기본개념이다.
이와 비교하면 중궁의 5수가 건궁으로 나가는 것은 틀리고 감궁으로 나가는 것이 옳다는 이론은 말하자면 근본을 뒤흔드는 혁명과 같다. 혁명을 일으키려면 먼저 대의명분부터 내세우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므로 5수가(또는 10수를 포함하여) 감궁으로 나가는 것이 옳다면 옳다는 그 이유부터 찾아서 확립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급선무라는 점을 거듭 밝힌다.
부연하여 말한다면 천하국 간궁의 10수를 중궁으로 옮길 때 재중수 7수를 쓸 수도 있다고 생각하며, 출건出乾과 출감出坎의 타당성은 임상론臨床論의 적중률 여부로 판단할 사항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생각된다.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핵심이론이 수반되어야 옳을 것이다.
첫댓글 좋은 글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