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句 글귀 구
꼽아/구부려 맞추다 ; 끼다/끼우다, 꽂다
글귀, 올가미
句의 갑골문
句의 금문
句의 전문
句의 갑골문 및 금문 자형은 서로 감싸듯이 만나고 있는 직각으로 꺾인 두 획, 즉 丩(얽힐 구) 口의 합자입니다. 口는‘맞추다, 맞다’의 소릿값을 나타내어, ‘꺾어 맞추다’로‘끼다/끼우다, 꽂다’의 소릿값을 나타냅니다. 전문 자형에서는 한 획이 己[①], 즉‘구부리다’로 변경되어, ‘구부려 맞추다’로‘끼다/끼우다, 꼬다’의 소릿값을 더욱 분명하게 합니다.
구(句) (1)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절이나 문장의 일부분을 이루는 토막.
(2) 시조나 사설(辭說)의 짧은 토막.
句의 훈(訓) ‘글귀’에서‘귀’의 상고대 소릿값이 [끼]였던 것에서 가차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구(句/勾) ; 직각 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 가운데 짧은 변.
상기 句의 개념도‘끼다’에 의하여 가차한 개념입니다. 勾(올가미 구)[전문 자형 없음]의 훈(訓) ‘올가미’도 句의‘끼우다’에 의하여 파생된 뜻입니다.
句節(구절), 警句(경구), 文句(문구), 語句(어구), 句讀(구두; 글을 쓸 때 문장 부호를 쓰는 방법) 등에서 句가‘글귀’의 뜻입니다.
管句(관구 ; 사람을 거느려 감독하고 다스림), 句稽(구계 ; 꼼꼼하게 따져서 검토하거나 참고함), 句欄(구란 ; 亞자 모양으로 꾸민 난간), 句兵(구병 ; 날 끝이 굽은 창 모양의 옛 무기) 등에서 句가‘끼다, 끼우다[꽂다]’의 뜻입니다.
鉤 갈고리 구
끼우는 쇠 ; 갈고리
鉤의 전문
鉤는 재질을 나타내는 金과 句의 합자이며, ‘끼우는 쇠’라는 것에서‘갈고리(/끝이 뾰족하고 꼬부라진 물건. 흔히 쇠로 만들어 물건을 걸고 끌어당기는 데 쓴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銀鉤(은구), 釣鉤(조구), 鉤鎌(구겸), 鐵鉤(철구) 등에서 鉤가‘갈고리’의 뜻입니다.
句刂 낫 구
꾸부정한 칼 ; 낫
句刂의 전문
句刂는 句와 刂의 합자이며, ‘꾸부정한 칼’이라는 것에서‘낫’의 뜻을 나타냅니다.
斪 괭이 구
꾸부정한 자귀 ; 괭이
斪의 전문
斪는 句와 斤의 합자이며, ‘꾸부정한 자귀’라는 것에서‘괭이(/땅을 파거나 흙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의 뜻을 나타냅니다.
胊 포 구
꾸부정한 포 ;
꽂아 말린 포 ;
胊의 전문
胊는 脯(육포 포)의 축약인 肉과 句의 합자이며, ‘꾸부정한 포’, 혹은‘꽂아서 말린 포’의 뜻을 나타냅니다.
耇 늙을 구
꾸부정한 늙은이 ; 어르신
耇의 갑골문
耇의 금문
耇의 전문
耇의 갑골문은 辛[①]과 句[②]의 합자입니다. 辛은 배달말의‘얼’소릿값을 나타내며, 이로부터‘어라하, 어른’등의 소릿값을 나타내며, 句는‘꾸부정하다’를 나타내어, ‘꾸부정한 어른’에서‘어르신’의 뜻을 나타냅니다. 금문 및 전문 자형은 老(늙은 로)와 句의 합으로‘꾸부정한 늙은이’로‘어르신’의 뜻을 나타냅니다.
耈老(구로), 黃耈(황구 ; 나이가 썩 많은 늙은이), 耆耉(기구 ; 늙은이. 耆는 예순 살을, 구耉는 아흔 살을 이른다) 등에서 耈가‘어르신’의 뜻입니다.
姁 예쁠 후/할미 후
꽂은/끼인 듯한 자세 ; 다소곳하다
꼬부랑 여자 ; 할머니
姁의 전문
姁는 姿(모양 자)의 축약인 女와 句의 합자이며, ‘꽂은/끼인 듯한 자세’라는 것에서‘다소곳하다’의 뜻을 나타내며, 또 ‘꼬부랑 여자’라는 것에서‘할머니’의 뜻도 나타냅니다.
劬 수고로울 구
힘들어 꾸부정하다 ; 수고롭다
劬의 전문
劬는 句와 力의 합자이며, ‘힘들어 꾸부정하다’로‘수고롭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劬勤(구근 ; 부지런히 일함), 劬勞(구로 ; 자식을 낳아서 기르느라고 힘을 들이고 애를 씀) 등에서 劬가‘수고롭다’의 뜻입니다.
拘 잡을 구
끼우는 손 ; 잡다, 얽다
拘의 전문
拘는 手와 句의 합자이며, ‘손으로 끼다’에서‘잡다, 얽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拘束(구속), 拘禁(구금), 拘引(구인), 拘留(구류), 拘置(구치) 등에서 拘가‘잡다’의 뜻이며, 不拘(불구 ; 얽매여 거리끼지 아니하다), 勿拘(물구 ; 얽매여 거리끼지 아니하다), 拘俗(구속 ; 세속에 얽매임), 拘禮(구례 ; 변통성이 없이 예의에 얽매임) 등에서 拘가‘얽다, 얽매이다’의 뜻입니다.
佝 곱사등이 구
끼인 사람 ; 꾸물대다
佝의 전문
佝는 人과 句의 합자입니다. 人은 자형의 요소로 쓰여‘사람 고유의 특성’을 의미하여, ‘끼인 사람’이라는 것에서‘꾸물대다, 꼽추’등의 뜻을 나타냅니다.
痀 꼽추 구
꾸부정한 병 ; 꼽추, 곱사등이
痀의 전문
痀는 疒과 句의 합자이며, ‘꾸부정한 병’이라는 것에서‘꼽추, 곱사등이’의 뜻을 나타냅니다.
痀瘻(구루 ; 늙거나 병이 들어 등이 앞으로 꼬부라짐)에서 痀가‘꼽추, 곱사등이’의 뜻입니다.
笱 통발 구
대나무를 꽂다, 끼운 대나무 ; 통발
笱의 전문
笱는 竹과 句의 합자이며, 句가‘끼다, 끼우다, 꽂다’를 나타내며 竹이 재질을 나타내어, 대나무를 끼거나 꽂는 방식으로 만든‘통발’의 뜻을 나타냅니다.
軥 멍에 구
수레에 끼우다 ; 멍에
軥의 전문
軥는 車와 句의 합자이며, ‘수레에 끼우다’로‘멍에’의 한 종류를 나타냅니다.
絇 신코장식 구
끼운/꽂은 수 ; 신코장식
絇의 전문
絇는 繡(수놓을 수)의 축약인 糸와, 句의 합자이며, ‘끼운/꽂은 수’라는 것에서‘신코장식’을 놓는 방법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狗 개 구
개새끼 ; 강아지
狗의 전문
狗는 犬과 句의 합자입니다. 여기서의 句는‘끼다, 끼우다’에서 소릿값을 가차하여, ‘새끼’의 뜻을 나타내어, ‘개새끼’에서‘강아지’의 뜻을 나타냅니다. 이로부터‘범 새끼, 곰 새끼’등의 훈(訓)도 아울러 가지게 된 것입니다.
走狗(주구), 泥田鬪狗(이전투구 ;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강인한 성격의 함경도 사람을 이르는 말/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비열하게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狗盜(구도), 堂狗(당구) 등에서 狗가‘강아지[/개새끼]’의 뜻입니다.
駒 망아지 구
말 새끼 ; 망아지
駒의 금문
駒의 전문
駒는 馬와 句의 합자이며, ‘말의 새끼’라는 것에서‘망아지’의 뜻을 나타냅니다.
龍駒(용구 ; 준마가 될 망아지라는 뜻으로, 자질이 뛰어난 아이를 이르는 말), 白駒過隙(백구과극 ; 흰 망아지가 빨리 달리는 것을 문틈으로 본다는 뜻으로, 인생이나 세월이 덧없이 짧음을 이르는 말), 駒馬(구마) 등에서 駒가‘망아지’의 뜻입니다.
鼩 생쥐 구
쥐새끼 ; 생쥐
鼩의 전문
鼩는 鼠와 句의 합자이며, ‘쥐새끼’라는 것에서‘생쥐’의 뜻을 나타냅니다.
鴝 부엉이 구
꾸부정한 새 ; 부엉이
鴝의 전문
鴝는 句와 鳥의 합자이며, ‘꾸부정한 새’라는 것에서‘부엉이’의 뜻을 나타냅니다.
句가‘새끼’의 뜻을 나타내는 狗, 駒, 鼩 등에서는 글자의 오른쪽에 위치했지만, 새의 종류로 쓰일 때에는 왼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雊 새소리 구
꾸꾸[≒끼끼]
雊의 전문
雊는 句와 隹의 합자이며, 句가‘끼다’에서 소릿값을 빌려와 의성어로 ‘꾸꾸[≒끼끼]’의 새우는 소리의 의성어를 나타냅니다.
설문(說文)에는‘雄雉鳴也[수꿩 우는 소리이다]’라고 되어 있는데, 雄雉[수꿩]란‘장끼’를 말하며, [장끼]에서의 [끼] 소릿값을 의미합니다.
䣱 주정할 후
술 먹고 꾸꾸/꼬꼬 ; 꽥꽥거리다
䣱의 전문
䣱는 酒(술 주)의 축약인 酉와 句의 합자이며, 句가 의성어로‘꾸꾸/꼬꼬[≒끼끼]’에서 소릿값을 빌려와‘꽥꽥거리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苟 진실로 구
끼다 ; 기껏, 가까스로, 겨우[≒끼우]
苟의 전문
苟는 艹와 句의 합자입니다. 여기서의 艹는 구분자이며, 句의‘끼다, 꽂다’에서 소릿값을 빌려와‘기껏, 가까스로, 겨우’등의 뜻을 나타냅니다.
苟且(구차 ; 살림이 몹시 가난함/말이나 행동이 떳떳하거나 버젓하지 못함), 苟合(구합 ; 겨우 약간 모임/구차스레 남의 비위에 맞게 행동함), 苟容(구용 ; 비굴하게 남의 비위를 맞춤), 苟安(구안 ; 한때 겨우 편안함), 苟偸(구투 ; 구차하게 눈앞의 일시적인 안일을 탐하며 되는대로 살아감), 苟命(구명 ; 구차한 목숨) 등에서 苟가‘기껏, 가까스로, 겨우’등의 뜻을 나타냅니다.
跔 곱을 구
꾸부정한 발 ; 곱다
跔의 전문
跔는 足과 句의 합자이며, ‘꾸부정한 발’이라는 것에서‘곱다(/곧지 아니하고 한쪽으로 약간 급하게 휘다)’의 소릿값을 나타냅니다.
또 足은 [발]에서‘-발(/기세나 힘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서릿발, 눈발, 빗발 등의‘발’이 그 예이며, 여기서는 구분자로‘곱다(/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얼어서 감각이 없고 놀리기가 어렵다)’의 뜻도 나타냅니다. 설문(說文)에‘天寒足跔也[날씨가 추워 발에 경련이 나는 것이다]’라고 설명되어 있으며, 현대중국어에서 跔는‘경련이 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이는 배달말‘곱다’에 대한 중국어 상의 수용(收用)입니다.
敂 두드릴 구
끼치다, 꼬치다
敂의 전문
敂는 句와 攴의 합자입니다. 攴은 배달말의‘치다’나‘~하게 하다’의 어기를 나타내어, 句의‘끼다, 꽂다’와 더하여, ‘끼치다, 꼬치다(/비밀 따위를 속속들이 들추어내어 일러바치다/까바치다)’의 뜻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설문(說文)에는‘擊也[치는 것이다]’라고 되어 있으며, 이로부터‘두드리다’의 훈(訓)을 가지게 되었지만, 攴이 직접적인 동작행위의 뜻을 나타내지는 못합니다.
凡四方之賓客敂關 則爲之告. 『周禮』
무릇 사방의 빈객이 관(關)에서 꼬치니[/까바치니] 곧 고(告)가 되는 게다.
昫 따뜻할 후
해가 끼이다 ; 따사롭다
昫의 전문
昫는 日과 句의 합자이며, ‘해가 끼이다/햇빛이 끼치다’로‘따사롭다(/따뜻한 기운이 조금 있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煦 따뜻하게할 후
따사롭게 덥다 ; 후더분하다
煦의 전문
煦는 昫와, 熱(더울 열)의 축약인 火의 합자이며, ‘따사롭게 덥다’라는 것에서‘후더분하다(/열기가 차서 조금 더운 느낌이 있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春煦(춘후 ; 봄볕이 따뜻함), 煦煦(후후 ; 온정을 베푸는 모양)에서 煦가‘후더분하다’의 뜻입니다.
欨 불 후
따사롭게 버금거리다 ; 입김, 후후거리다
欨의 전문
欨는 昫의 축약인 句와‘버금거리다’의 뜻을 나타내는 欠의 합자이며, ‘따사롭게 버금거리다’로‘입김, 후후거리다(/입을 동글게 오므려 내밀고 입김을 자꾸 많이 내뿜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煦煦[/欨欨](/아첨하여 웃는 모양/선웃음을 치는 모양)에서 欨가‘입김, 후후거리다’의 뜻입니다.
蚼 개미 구
꾸불꾸불 벌레 ; 개미
蚼의 전문
蚼는 虫[벌레]과 句의 합자이며, 句의‘꾸불꾸불’로 개미떼가 줄지어 이동하는 모양을 형용하여, ‘개미’의 뜻을 나타냅니다.
䅓 굽은가지 구
䅓의 전문
翑 날개굽을 구
翑의 전문
說文 ; 羽曲也
䵶 개구리 구
䵶의 전문
두 뿔 달린 개구리
蒟 구약나물 구
蒟의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