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손궁 목 두문 3 |
9이궁 화 경문 4 |
2곤궁 토 사문 5 |
3진궁 목 상문 2 |
5중궁 |
7태궁 금 경문 6 |
8간궁 토 생문 1 |
1감궁 수 휴문 8 |
6건궁 금 개문 7 |
간궁은 생문生門이고 토이며, 진궁은 상문傷門이고 목이며, 손궁은 두문杜門 목, 이궁은 경문景門 화, 곤궁은 사문死門 토, 태궁은 경문驚門 금, 건궁은 개문開門 금, 감궁은 휴문休門이고 수이다.(연기煙奇 시가8문時家八門이다. 역자 주.)
동지 이후 갑자일 생문(양둔)
3손궁 목 두문 3 |
4이궁 화 경문 4 |
8곤궁 토 휴문 8 |
7진궁 목 개문 7 |
|
2태궁 금 상문 2 |
1간궁 토 생문 1 |
5감궁 수 사문 5 |
6건궁 금 경문 6 |
가령 동지 이후 갑자일은 생문을 1간궁에서 일으키고, 순행하여 포국하면 2태궁에 상문, 3손궁에 두문. 4이궁에 경문景門, 5감궁에 사문, 6건궁에 경문驚門, 7진궁에 개문, 8곤궁에 휴문이다.(화기8문花奇八門이다. 8문 가운데 경문이 2개인데 번거로워 한문의 표기를 생략한다. 생문에서 차례로 4번째가 경문景門이고 6번째가 경문驚門이다. 화기8문은 갑자 무자 임자는 간궁에서 시작하고 병자 경자는 감궁에서 시작한다. 간궁에서 시작할 경우 숫자의 순서에 따라 항상 태궁 손궁 이궁 감궁 건궁 진궁 곤궁의 차서로 나아간다. 역자 주.)
하지 이후 갑자일 생문(음둔)
3손궁 목 개문 7 |
4이궁 화 경문 6 |
8곤궁 토 상문 2 |
7진궁 목 두문 3 |
|
2태궁 금 휴문 8 |
1간궁 토 생문 1 |
5감궁 수 사문 5 |
6건궁 금 경문 4 |
또한 하지 이후이면 갑자일은 생문을 1간궁에서 일으키고, 역행하여 포국하면 8곤궁은 상문이고, 7진궁은 두문이며, 6건궁은 경문이고, 5감궁은 사문이며, 4이궁은 경문이고, 3손궁은 개문이며, 2태궁은 휴문이다. 나머지도 모두 이를 본받는다. 일진을 위주하여 처음 생문을 일으키고, 동지는 순행하여 포국하며, 하지는 역행하여 포국한다.(화기8문이다. 역자 주.)
[역자 주] 위 도표는 역자가 삽입한 것이다. 8문에 세 종류가 있다. 첫째 시가8문時家八門이고, 둘째 일가8문日家八門 곧 화기8문花奇八門이며, 셋째 8괘8문八卦八門이다. 아래 홍범구구변해에 나오는 8문이 바로 8괘8문이다. 이를 8괘문八卦門이라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8괘와 8괘문은 그 포국 방법이 동일하다.
4. 8괘八卦
[원문] (홍연진결 2쪽, 1상생기一上生氣이고, 2중천의二中天宜이며, 3하절체三下切體, 4중유혼四中遊魂, 5상화해五上禍害, 6중복덕六中福德, 7하절명七下絶命, 8중귀혼八中歸魂이다.)
연국年局은 ‘간궁艮宮 위의 수’(간상수艮上數, 이하 간상수라 한다. 역자 주.)를 중궁에 넣는다. 가령 10수를 중궁에 넣는다면, 또한 손하절괘巽下絶卦를 만든다. 내가 이르되, “10수는 가수加數를 사용하므로 5수가 중궁이 되며, 이 때문에 손괘를 쓴다.”라고 한다.
대개 중궁의 지수를 위주하여 8괘를 일으킨다. 가령 연월일시를 합계하여 9로 나누고 나머지가 1이면, 1수를 중궁에 넣고 감중련괘坎中連卦를 만들며, 먼저 ‘1상생기一上生氣’를 부르면 생기는 손궁에 있고, 다음 ‘2중천의二中天宜’를 부르면 천의는 간궁에 있으며, 차례로 불러 나가면 귀혼은 감궁에 있다. 나머지는 이를 본받는다. 또한 가령 2수를 중궁에 넣으면 곤3절괘坤三絶卦를 만들고, 3수를 중궁에 넣으면 진하련괘震下連卦를 만들며, 4수와 5수를 중궁에 넣으면 모두 손하절괘를 만들고, 9수를 중궁에 넣으면 이허중괘離虛中卦를 만든다. 이 모두가 먼저 생기를 부르고, 차례로 불러서 귀혼에 이른다.(6수를 중궁에 넣으면 건삼련괘乾三連卦를 만들고, 7수를 중궁에 넣으면 태상절괘兌上絶卦를 만들며, 8수를 중궁에 넣으면 간상련괘艮上連卦를 만든다.)
[역자 주.] 9궁을 이해하려면 먼저 9궁도를 알아야 할 것이다. 9성 9궁의 정위도定位圖는 아래와 같다.
9성9궁정위도九星九宮定位圖
1백중궁도一白中宮圖 |
2흑중궁도二黑中宮圖 |
3벽중궁도三碧中宮圖 | ||||||
9 |
5 |
7 |
1 |
6 |
8 |
2 |
7 |
9 |
8 |
1 |
3 |
9 |
2 |
4 |
1 |
3 |
5 |
4 |
6 |
2 |
5 |
7 |
3 |
6 |
8 |
4 |
4록중궁도四綠中宮圖 |
5황중궁도五黃中宮圖 |
6백중궁도六白中宮圖 | ||||||
3 |
8 |
1 |
4 |
9 |
2 |
5 |
1 |
3 |
2 |
4 |
6 |
3 |
5 |
7 |
4 |
6 |
8 |
7 |
9 |
5 |
8 |
1 |
6 |
9 |
2 |
7 |
7적중궁도七赤中宮圖 |
8백중궁도八白中宮圖 |
9자중궁도九紫中宮圖 | ||||||
6 |
2 |
4 |
7 |
3 |
5 |
8 |
4 |
6 |
5 |
7 |
9 |
6 |
8 |
1 |
7 |
9 |
2 |
1 |
3 |
8 |
2 |
4 |
9 |
3 |
5 |
1 |
먼저 위 구성 구궁의 정위도를 보면 구성학九星學은 낙서를 근본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성학의 구궁이 홍국수와 다른 점은 10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재중수가 없으며, 또 구국九局이 모두 중궁에서 감궁으로 나가지 않고 건궁으로 나가는 점이 다르다. 9궁의 8괘도를 도표로 만들면 아래와 같다.
9궁8괘도九宮八卦圖
4 손궁 손괘 ☴ 손하절 |
9 이궁 이괘 ☲ 이허중 |
2 곤궁 곤괘 ☷ 곤삼절 |
3 진궁 진괘 ☳ 진하련 |
5 중궁 |
7 태궁 태괘 ☱ 태상절 |
8 간궁 간괘 ☶ 간상련 |
1 감궁 감괘 ☵ 감중련 |
6 건궁 건괘 ☰ 건삼련 |
먼저 왼손을 들고 손가락으로 8괘를 만들어 본다. 무명지를 초효初爻로 간주하고 장지를 2효二爻로 검지를上爻로 간주하면 세 손가락이 각각 초효와 2효 상효가 되어 하나의 괘상을 형성한다. 엄지와 손가락이 떨어져 있는 모양을 음효陰爻로 보고 맞붙은 모양을 양효陽爻로 본다. 엄지가 세 손가락과 떨어져 있으면 곤삼절 ☷ 곤괘가 되고, 세 손가락과 맞붙어 있으면 건삼련 ☰ 건괘가 된다. 엄지가 초효 무명지와 붙어 있으면 진하련 ☳ 진괘가 되고, 2효 장지와 붙어 있으면 감중련 ☵ 감괘가 되며, 상효 검지와 붙어 있으면 간상련 ☶ 간괘가 된다. 엄지가 초효 무명지와 떨어져 있으면 손하절 ☴ 손괘가 되고, 2효 장지와 떨어져 있으면 이허중 ☲ 이괘가 되며, 상효 검지와 떨어져 있으면 태상절 ☱ 태괘가 된다.
대개 중궁의 지수를 위주하여 8괘를 일으킨다. 가령 연월일시를 합계하여 9로 나누고 나머지가 1이면, 1수를 중궁에 넣고 엄지를 장지와 맞붙여서 ☵ 감중련괘坎中連卦를 만든다. 그러고 나서 먼저 ‘1상생기一上生氣’를 부르면서 상효 검지를 엄지에 맞붙이면 ☴ 손괘의 모양이 생기므로 손궁에 생기를 표기한다. 다음 ‘2중천의二中天宜’를 부르면서 맞붙은 장지를 떼면 ☶ 간괘의 모양이 생기므로 간궁에 천의를 표기한다. 세 번째 ‘3하절체三下切體’를 부르면서 떨어져 있는 초효 무명지를 붙이면 ☲ 이괘의 모양이 되므로 이궁에 절체를 표기한다. 네 번째 ‘4중유혼四中遊魂’을 부르면서 떨어져 있는 중지를 맞붙이면 ☰ 건괘의 모양이 되므로 건궁에 유혼을 표기한다. 다섯 번째 ‘5상화해五上禍害’를 부르면서 맞붙어 있는 검지를 떼면 ☱ 태괘의 모양이 되므로 태궁에 화해를 표기한다. 여섯 번째 ‘6중복덕六中福德’을 부르면서 맞붙어 있는 중지를 떼면 ☳ 진괘의 모양이 되므로 진궁에 복덕을 표기한다. 일곱 번째 ‘7하절명七下絶命’을 부르면서 맞붙어 있는 무명지를 떼면 ☷ 곤괘 모양이 되므로 곤궁에 절명을 표기한다. 마지막 여덟 번째 ‘8중귀혼八中歸魂’을 부르면서 떨어져 있는 중지를 맞붙이면 ☵ 감괘가 되므로 감궁에 귀혼을 표기한다. 언제나 마지막은 귀혼이 된다.
어떤 괘를 막론하고 손가락으로 괘상을 만든 다음 1상一上 2중二中 3하三下 4중四中 5상五上 6중六中 7하七下 8중八中을 부르며 맨 먼저 상효 엄지와 검지가 붙어 있으면 떼고 떨어져 있으면 붙여가며 생기는 괘상의 모양을 따라 그 궁에 8괘를 붙이는 것이다. 다른 8괘도 이와 동일하다. 중궁의 지반수 4수와 5수는 모두 손괘로 한다.
중궁의 지반수가 2수일 경우 먼저 손가락으로 곤괘를 만들고 나서 ‘1상생기’를 부르면서 상효 검지를 엄지에 맞붙이면 ☶ 간괘의 모양이 생기므로 간궁에 생기를 표기한다. 중궁의 지반수가 8일 경우 먼저 손가락으로 간괘를 만들고 나서 ‘1상생기’를 부르면서 상효 검지를 엄지에서 떼면 ☷ 곤괘의 모양이 생기므로 곤궁에 생기를 표기한다.
1상생기一上生氣 2중천의二中天宜 3하절체三下切體 4중유혼四中遊魂 5상화해五上禍害 6중복덕六中福德 7하절명七下絶命 8중귀혼八中歸魂은 반드시 외워야 한다. 9변국의 8괘 정위도를 표기하면 아래와 같다.
9변국8괘정위도九變局八卦定位圖
1변국 |
2변국 |
3변국 | ||||||
5 생기 |
0 절체 |
3 절명 |
6 천의 |
1 유혼 |
4 귀혼 |
7 절체 |
2 생기 |
5 화해 |
4 복덕 |
1 |
8 화해 |
5 화해 |
2 |
9 복덕 |
6 귀혼 |
3 |
0 절명 |
9 천의 |
2 귀혼 |
7 유혼 |
0 생기 |
3 절명 |
8 절체 |
1 유혼 |
4 복덕 |
9 천의 |
4변국 |
5본국=4변국 동일 |
6변국 | ||||||
8 귀혼 |
3 복덕 |
6 천의 |
4 귀혼 |
9 복덕 |
2 천의 |
0 화해 |
5 절명 |
8 절체 |
7 절체 |
4 |
1 유혼 |
3 절체 |
5 |
7 유혼 |
9 천의 |
6 |
3 생기 |
2 절명 |
5 생기 |
0 화해 |
8 절명 |
1 생기 |
6 화해 |
4 복덕 |
7 유혼 |
2 귀혼 |
7변국 |
8변국 |
9변국 | ||||||
1 유혼 |
6 천의 |
9 복덕 |
2 절명 |
7 화해 |
0 생기 |
3 복덕 |
8 귀혼 |
1 유혼 |
0 절명 |
7 |
4 귀혼 |
1 유혼 |
8 |
5 절체 |
2 생기 |
9 |
6 천의 |
5 절체 |
8 화해 |
3 생기 |
6 귀혼 |
9 천의 |
4 복덕 |
7 화해 |
0 절체 |
5 절명 |
5. 6의六儀
[원문] (홍연진결 2쪽, 갑자무甲子戊 갑술기甲戌己 갑신경甲申庚 갑오신甲午辛 갑진임甲辰壬 갑인계甲寅癸이다.)
이것이 부두符頭이며, 일진을 시부두時符頭로 사용한다. 가령 6갑일六甲日 계유시癸酉時이면 갑자무 직부直符를 사용하고, 계해시癸亥時이면 갑인계 직부를 사용하며, 직부는 항상 보내어 시간 위에 놓는다. 나머지도 이 직부두直符頭를 본받는다.
둔갑遁甲의 둔遁이란 숨는다는 뜻이고, 은거한다는 말이다. 갑자가 의儀이니, 6갑과 6의를 이른 것이며, 서로 직부가 된다. 하늘의 ‘존귀한 신장神將’(귀신貴神)이 항상 6의의 아래에 숨는다. 대개 용병用兵의 대세大勢를 취하고 신명神明의 덕을 통달하며, 이 때문에 둔遁을 이름으로 삼는다.
[역자 주.] 적천수滴天髓는 통신론通神論과 육친론六親論으로 대별大別된다. 이 통신通神에 대하여 역학자들 사이에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그러나 이 신神을 귀신貴神 곧 존귀한 신장神將으로 해석하면 통신을 60갑자의 존귀한 신장과 회통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홍연진결의 문장도 적천수를 원용하여 60갑자의 존귀한 신장의 덕을 통달한다고(통신명지덕通神明之德) 해석하면 더욱 좋다. 자세한 해석은 ‘17. 연국6의포국법烟局六儀布局法’에서 하겠다.
60갑자조견표六十甲子早見表
01 甲子 |
02 乙丑 |
03 丙寅 |
04 丁卯 |
05 戊辰 |
06 己巳 |
07 庚午 |
08 辛未 |
09 壬申 |
10 癸酉 |
11 甲戌 |
12 乙亥 |
13 丙子 |
14 丁丑 |
15 戊寅 |
16 己卯 |
17 庚辰 |
18 辛巳 |
19 壬午 |
20 癸未 |
21 甲申 |
22 乙酉 |
23 丙戌 |
24 丁亥 |
25 戊子 |
26 己丑 |
27 庚寅 |
28 辛卯 |
29 壬辰 |
30 癸巳 |
31 甲午 |
32 乙未 |
33 丙申 |
34 丁酉 |
35 戊戌 |
36 己亥 |
37 庚子 |
38 辛丑 |
39 壬寅 |
40 癸卯 |
41 甲辰 |
42 乙巳 |
43 丙午 |
44 丁未 |
45 戊申 |
46 己酉 |
47 庚戌 |
48 辛亥 |
49 壬子 |
50 癸丑 |
51 甲寅 |
52 乙卯 |
53 丙辰 |
54 丁巳 |
55 戊午 |
56 己未 |
57 庚申 |
58 辛酉 |
59 壬戌 |
60 癸亥 |
6. 3기을병정三奇乙丙丁
[원문] (홍연진결 2쪽, 동지 이후의 양둔陽遁은 6의를 순행하여 포국하고 3기 을병정을 역행하여 포국하며, 하지 이후의 음둔陰遁은 6의를 역행하여 포국하고 3기 을병정을 순행하여 포국한다.)
[역자 주.] 동지 이후의 양둔1국은 무 기 경 신 임 계 정 병 을로 포국하고, 하지 이후의 음둔1국은 무 을 병 정 계 임 신 경 기로 포국한다. 6의와 3기에 대해서는 아래 ‘17. 연국6의포국법烟局六儀布局法’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7. 9성九星 (홍연진결 3쪽)
[원문]
손궁 목 천보 |
이궁 화 천영 |
곤궁 토 천예 |
진궁 목 천충 |
중궁 토 천금 |
태궁 금 천주 |
간궁 토 천임 |
감궁 수 천봉 |
건궁 금 천심 |
천봉天蓬 수성水星은 감궁이고, 천임天任 토성土星은 간궁이며, 천충天沖 목성木星 진궁이고, 천보天輔 목성은 손궁이며, 천영天英 화성火星은 이궁이고, 천예天芮 토성은 곤궁이며, 천주天柱 금성金星은 태궁이고, 천심天心 금성은 건궁이며, 천금天禽 토성은 중궁에 넣고 곤궁으로 나간다.
[역자 주] 천봉9성에 대하여는 제5장 제방편諸方篇 ‘10. 9성의 소주九星所主(홍연진결 98쪽)’ 편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