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칠전 틈을 내여서 태안사를 다녀왔습니다.
통일신라시대에 창건한 태안사는 저에게는 마음의 고향입니다. 2십여 년 7월의 따가운 햇볕을 피해 개울 따라 하늘이 안 보이는 3K의 긴 숲의 터널 걸어 올라가 세속의 거친 망상이 다 정리하고 삭발염의(削髮染衣)한 출가본사입니다.
1. 마을에서 태안사로 올라가는 길은 아직도 비포장이고 개울은 아직도 여여하고 반가웠습니다. 이 돌무더기도 변함없이 자리를 지켜주고 있네요.
2. 연못에서 바라본 태안사 정경 연못도 아직 여여하고 다만 수많은 잉어는 간 곳이 없고 멀리 재가 불자님들이 안거를 보내던 정중선원은 보이질 않네요. 아마 정중선원이 벽돌 2층집이라 전통사찰에 어울리지 않아 철거한 모양입니다.
3. 일주문. 동리산태안사 글씨가 문외한이지만 명필임을 알 수가 있지요.
4. 부도군 작으면서도 정감이가지요. 태안사가 옛 부터 큰 절이었는데, 고려시대 때 송광사가 커지면서 송광사에 눌렸다고 합니다. 늘 부도탑을 보면서 느끼는 감정은 옛 어른스님들의 그리움입니다.
* 고려초 태안사를 중창한 광자대사(廣慈大師) 부도탑(광종원년950년)
5. 대웅전 법당 6.25때 태안사는 다 불타고 큰스님시절 불사한 법당입니다 제가 행자 시작하는 날부터 이 법당불사를 시작했습니다.
6. 멀리서 본 후원 큰방 이 곳이 행자의 주 무대니 감회가 깊습니다.
7. 보제루 목어 예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아마 사물은 다 불타고 목어 하나만 건진 것 같습니다.
8. 보제루 이곳에서 큰스님께서 법문하시던 곳인데 마당을 가득 채우던 사람들은 모두 간 곳이 없고 아 잠시 예전의 큰스님의 사자후를 생각합니다.
9. 마당의 수각.
10. 큰방 공식이름 해회당.
11. 태안사시절 구 선방 선방이라 불렸습니다. 큰스님께서 이곳에서 3년 결사를 하시였다고 합니다. 들리는 말에는 일제 강점기 선원에 아주 훌륭한 조실스님이 계시였다고 합니다.
12. 적인선사조륜청정탑(寂忍禪師照輪淸淨塔) 신라 구산선문의 하나인 태안사를 창건한 적인선사 해철스님의 사리를 모셔 논 부도 탑입니다. 조성한 이의 지극한 정성이 깃들었기에 천년이 지난 지금도 여여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13. 예전 큰스님 토굴입구 석간수
큰스님의 태안사시절 동안거를 혼자 토굴에서 지내시는데, 백일 동안 총 드신 음식물이 보리미수가루 차 수저로 몇 수저 동짓날 동지 팥죽 한 그릇 이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침에 꼭 이 석간수를 마시려 나오시었는데 사부대중들은 멀리서 큰스님을 뵙고 안심했다고 합니다. 아 깊은 삼매가 아니면 흉내도 못내는 것입니다.
14. 예전 큰스님 토굴 올라가는 길
15. 아 이곳에서 늘 선정에 드시면서 중생을 제도하시던 토굴
16. 세월이 흘러 태안사도 중창불사를 하여 건물들이 많이 들어섰고 선원은 아직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태안사 참 좋은 절입니다.
* 태안사(泰安寺)는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호로 신라 경덕왕 원년(724)에 동리산파를 일으켜 세웠던 혜철스님이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처음에는 대안사로 불렸으며 한국 불교의 구산선문 중 하나인 동리산파의 본산지이다. 선암사·송광사·화엄사·쌍계사 등을 거느려 꽤 오랫동안 영화를 누렸던 사찰로 혜철선사와 도선국사가 득도한 정양 수도의 도량이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광자선사가 32칸으로 넓혀지었으나 고려 중기에 송광사가 조계종의 본산지로 지위를 굳혀 따로 분리되었고, 조선시대에는 효령대군이 머물며 왕가의 온당으로 삼았다.
첫댓글 사진 설명을 잘 해주셔서 영상으로 감상했습니다. 고맙습니다. 나무아미탸불_()_
스님, 감사합니다. 스님 설명 하나하나 따라 발걸음을 같이 했습니다.
그 둥근 연못은 반주삼매를 하기에 좋은 곳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큰스님의 향훈이 배인 곳. 태안사. 전 그 당시 그 인연복이 없었어도 영원히 그리운 곳.
나무아미타불 "...미타의 일대행상으로 사유관찰할지니라."가 외워지네요.
예 태안사 한 번 방문해 보세요. 주변 암자도 몇 군데 있습니다 .
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원을세웠습니다.스님 주석하셨던 절을순례하는것이 바램입니다.옮겨갑니다.
마음이 가는대로 행하면 나을 밝게 빛추는 등불은 언제나 환희하지요. 잘보고 갑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 _()()()_
국민학교때 소풍 갔던곳인데,참 많이 변한것 같네요.약45년전쯤.
잘 보고 갑니다....나무아미타불...
지난 2월큰스님의 향기를 느끼고 싶어서 태안사를 찾았는데 큰스님의 훈적이 없어서 무척 실망했는데 오늘 스님이 올려주신 사진보고 다시한번 들려야겠다는 생각이듭니다..큰스님이 선정에 드셨던 토굴에 꼭 가보고 싶습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