쉴 만한 물가를 발견하고 모두들 자리를 잡았다.
따뜻한 커피, 과자, 그리고 곳감
마음 담아 준비한 것들을 나눠먹고
오홍근님은 또 부부들 기념 촬영에 열중이시다.
우리 일행 중 제일 연장자 이시며
광주 전남에서는 유명한 사진 작가이시다.
이 카페에서의 닉네임은 흰머리 소년 이시다.
한쪽에서 김갑섭 국장이 물수제비를 뜨고 있다.
지금 모습도 소년처럼 보이지만
마음은 어린시절 지석강가로 떠났나 보다.

모두들 커피 한 잔

물수제비를 뜨고 있는 김갑섭 소년

강은 그 가슴을 넓게하고

비안개 걷힌 영산포의 가야산

미녀 미남 최원장 부부
모두들 한참을 떠들다 다시 길을 나선다.
앞으로는 영산강이 도도하게 흐르고
강가의 나무들은 신록의 봄을 자랑한다.
영산강을 시작 할 때는 아직 겨울이었는데
벌써 봄은 이렇게 많이 와 있는 것이다.

영산강은 흐르고

강변의 봄
다시 포장도로로 올라간다.
멀리 구진포 장어집들이 보인다.
하구언이 생기기 전까지 이곳에는 바닷물이 들어 왔다고 한다.
따라서 맛있는 민물 장어가 많이 잡혔고
지금은 비록 양식이지만
아직도 장어요리로 유명하다.
옛 철로의 터널이 입을 벌리고 있다.
일제가 만들어 그토록 튼튼하다던데
세상에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이제는 열차가 다니지 않는 옛 터널 입구

구진포 장어집 입구

계속되는 구진포의 장어집들

임제 백호 유적지를 향하여
구진포에는 여자분들이 화장실을 사용 할 수 있는 곳이 있다.
도보 여행에서 가이드는 그 것을 꼭 배려해야 할 것 같았다.
아직도 날은 흐리고 강변에 바람은 드세다.
모두들 힘들어 하면서도 말없이 가 주셔서
정말 고맙다.
곧 임제 백호의 사당이다.
이제 다음 편으로 넘어간다.
첫댓글 우리는 영산강을 걸으면서 많은 것을 얻습니다.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고, 이웃을 어떻게 사귀어야 하고, 내게 좋은 이웃은 누구인가를 알게 하고 무엇보다도 생을 즐겁게 해주니, 이 것이 행복을 일구는 비결이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