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단 지도 방안 |
1. 다는 형
다는 형은 앞 뒤 장단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장단형을 말한다.
2. 맺는 형
맺는 형은 세(勢)를 주어 맺음으로써 소리의 절정을 나타내는 기능을 지닌 장단형을 말한다.
3. 내는 형
내는 형은 소리의 처음에 내는 가락인 내드름에서 나타나는 장단형으로 소리가 시작되는 시기와 관련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4. 푸는 형
푸는 기능을 갖는 장단형에 대한 것은 분명하지 않지만, 진양에서 나온 것이라 하고 주로 맺는 형 다음에 제시된다고 한다. 진양 24박 장단의 제일 마지막 23박과 24박에서 북의 뒷궁자리를 세게 굴려 쳐서 맺었던 것을 풀어준다.
보통 한 장단에서는 앞 반 장단과 뒤 반 장단에 내는 형, 다는 형, 맺는 형, 푸는 형이 다양하게 짜여져 두 가지의 형이 제시되지만 결국에는 뒤에 나오는 반장단의 역할이 커서 뒤의 반 장단이 전체 한 장단의 기능을 좌우한다. 특이하게도 3소박 6박 네 장단(4각)으로 이루어진 진양 24박의 장단형은 매 장단(매 각)마다 내고 달고 맺고 푸는 기능을 지니고 있고, 중모리 장단으로 구성되는 음악의 경우는 한 장단 안에서 내고 달고 맺고 푸는 장단형을 지니기도 한다.
⊙ 중중모리
<기본박>
덩 |
|
|
쿵 |
|
|
쿵 |
|
|
쿵 |
|
|
⊝ |
|
|
○ |
|
|
○ |
|
|
○ |
|
|
<다는형 : 이어주는 장단형>
>>
덩 |
|
덕 |
쿵 |
|
덕 |
쿵 |
|
덕 |
쿵 |
|
덕 |
⊝ |
|
| |
○ |
|
| |
○ |
|
| |
○ |
|
| |
<맺는형 : 맺어주는 장단형>
>> >>
덩 |
|
덕 |
쿵 |
덕 |
덕 |
쿵 |
쿵 |
덕 |
쿵 |
|
쿵 |
⊝ |
|
| |
○ |
| |
| |
○ |
○ |
| |
○ |
|
○ |
⊙ 자진모리
<기본박>
덩 |
|
|
쿵 |
|
|
쿵 |
|
|
쿵 |
|
|
⊝ |
|
|
○ |
|
|
○ |
|
|
○ |
|
|
<다는형>
>>
덩 |
|
덕 |
쿵 |
덕 |
|
쿵 |
|
덕 |
쿵 |
덕 |
|
⊝ |
|
∣ |
○ |
∣ |
|
○ |
|
∣ |
○ |
∣ |
|
<맺는형>
>> >>
덩 |
|
|
쿵 |
|
|
쿵 |
|
덕 |
쿵 |
|
|
⊝ |
|
|
○ |
|
|
○ |
|
| |
○ |
|
|
⊙ 세마치
<기본박>
덩 |
|
|
쿵 |
|
|
쿵 |
|
|
⊝ |
|
|
○ |
|
|
○ |
|
|
<기본형>
>> > >
덩 |
|
|
덩 |
|
덕 |
쿵 |
덕 |
|
⊝ |
|
|
⊝ |
|
∣ |
○ |
∣ |
|
<맺는형>
>> >>
덩 |
|
|
덩 |
|
덕 |
|
|
|
⊝ |
|
|
⊝ |
|
∣ |
|
|
|
⊙ 굿거리
<기본박>
덩 |
|
|
쿵 |
|
|
쿵 |
|
|
쿵 |
|
|
⊝ |
|
|
○ |
|
|
○ |
|
|
○ |
|
|
<다는형>
>>
덩 |
|
기덕 |
쿵 |
더러 |
러러 |
쿵 |
|
기덕 |
쿵 |
더러 |
러러 |
⊝ |
|
İ |
○ |
┊ |
|
○ |
|
İ |
○ |
┊ |
|
덩 |
|
덕 |
쿵 |
덕 |
덕 |
쿵 |
|
덕 |
쿵 |
덕 |
덕 |
⊝ |
|
| |
○ |
| |
| |
○ |
|
| |
○ |
| |
| |
<맺는형>
>> >>
덩 |
|
덕 |
쿵 |
덕 |
덕 |
쿵 |
|
덕 |
쿵 |
덕 |
|
⊝ |
|
| |
○ |
| |
| |
○ |
|
| |
○ |
| |
|
⊙ 중모리
<기본박>
덩 |
쿵 |
덕 |
쿵 |
덕 |
덕 |
쿵 |
쿵 |
덕 |
쿵 |
쿵 |
쿵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는형>
>>
덩 |
(쿵) |
덕 |
쿵 |
덕 더 |
덕덕 |
쿵 |
쿵 |
덕 |
쿵 |
덕 더 |
덕덕 |
⊝ |
(○) |
| |
○ |
Ị |
¦ |
○ |
○ |
| |
○ |
Ị |
¦ |
<맺는형>
>> >>
덩 |
쿵 |
덕 |
쿵 |
덕 |
덕 |
쿵 |
쿵 |
덕 |
쿵 |
쿵 |
쿵 |
⊝ |
○ |
| |
○ |
| |
| |
○ |
○ |
| |
○ |
○ |
○ |
>> >>
덩 |
(쿵) |
덕 |
쿵 |
덕 더 |
덕덕 |
쿵 |
쿵 |
덕 |
쿵 |
|
쿵 |
⊝ |
(○) |
| |
○ |
Ị |
¦ |
○ |
○ |
| |
○ |
|
○ |
⊙ 진양조
>>
덩 |
국 |
국 |
국 |
덕 |
덕 |
⊝ |
⊗ |
⊗ |
⊗ |
| |
| |
쿵 |
국 |
국 |
국 |
기덕덕 |
덕 더 |
○ |
⊗ |
⊗ |
⊗ |
İ| |
| ㆍ |
>>
쿵 |
국 |
국 |
국 |
덕 |
|
○ |
⊗ |
⊗ |
⊗ |
| |
|
쿵 |
국 |
국 |
국 |
궁궁 |
궁 궁 |
○ |
⊗ |
⊗ |
⊗ |
○○ |
○ ○ |
⊙ 타 령
>> >
덩 |
|
|
기덕 |
|
덕 |
쿵 |
|
기덕 |
|
|
덕 |
⊝ |
|
|
İ |
|
| |
○ |
|
İ |
|
|
∣ |
덩 |
|
|
덕 |
|
|
덩 |
|
덕 |
|
|
덕 |
⊝ |
|
|
| |
|
|
⊝ |
|
∣ |
|
|
∣ |
⊙ 취 타
>> > > >> >> >>
덩 |
|
덩 |
|
덩 |
|
쿵 |
쿵 |
덩 |
|
기덕 |
|
⊝ |
|
⊝ |
|
⊝ |
|
○ |
○ |
⊝ |
|
İ |
|
한국전통음악에서의 장단이란 일정한 시간동안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운동의 질서와 박자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
이러한 장단은 서양 음악의 리듬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같은 동아시아에 있는 중국이나 일본의 음악과도 성격을 달리한다. 서양음악의 리듬은 비교적 단순한 규칙성을 갖고 있는데 비해, 우리음악의 장단은 박자, 빠르기, 강약, 형태 같은 여러가지 요소들을 지니며, 운율이 복잡하고 힘찬 움직임이 느껴진다.
예를 들면 양악의 음악은 4박자의 경우 강, 약, 중강, 약, 3박자의 경우 강, 약, 약과 같이 소리의 크기를 중심으로 형태가 단순하게 이루어지지만, 우리음악의 장단은 음악의 흐름에 따라 장단 가락이 흩어지고 조여지는 변화가 나타나며 아주 불규칙하여 일정한 장단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기는 것부터 매우 복잡한 장단에 이르기까지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또, 음악의 특징에 따라 그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기도 하고 생략되거나 첨가되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음악의 장단은 서양음악에 비해 한층 더 많은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단이야말로 우리음악을 한층 더 멋스럽게 해주는 바탕이 된다. 그래서 우리음악을 '장단중심의 음악'이라고 할 만큼 장단은 우리나라 음악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다.
우리나라 장단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빠른 음악이든 느린 음악이든 모두 1박자를 3등분한 '3박자 계통의 음악'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반면 서양음악은 2박자 계통의 리듬이 대부분이다. 또 한가지는 강박으로 시작하여 여린 박으로 끝난다는 점이다. 서양음악은 이와 반대라는 것을 아마 알고 있을 것이다.
또 한가지의 특징으로 보는 것이 꺽는 음, 꾸밈음이 많다는 것인데 꾸밈음도 한두음 높은음으로 제음을 빠르게 꾸며주는 음이 많다. 이와 대비하여 일본 음악은 한두음 낮은음으로 꾸며주는 음이 많다고 한다. 메나리조로 꺽는 음은 곡을 풍부하게 하고 슬프게 하기도 한다.
[장구 장단으로 배우기]
부호 |
명 칭 |
구 음 |
연주 요령 |
서양 음표 |
|
합장단, 쌍(雙) |
덩(합) |
채편과 북편을 동시에 침 |
|
|
북편, 고(鼓) |
쿵 |
왼 손 바닥으로 북편을 침 |
|
|
채편, (鞭) |
덕(딱) |
채로 채편을 침 |
|
|
채 굴림, (搖) |
더러러러 |
채로 채편을 굴림 |
|
|
겹채 |
기덕 |
채로 채편을 겹쳐침 |
|
|
채 찍음 |
더 |
채로 채편을 찍음 |
|
1. 판소리 및 산조
* 중모리 장단
* 중모리 장단
* 중중모리 장단
* 자진모리 장단
* 자진모리 장단(2)
* 자진모리 장단(3)
* 휘모리(단모리) 장단
* 휘모리 장단(2)
* 세마치 장단
* 세마치 장단(2)
* 굿거리 장단
2. 취타, 영산회상
* 관악 영산회상 중의 상령산과 여민락 1장 장단
* 영산회상 중의 상령산 중령산, 여민락 2 3장, 보허사 1 2 3 4장, 보허자 장단
* 영산회상 중의 세령산 가락덜이, 여민락 4 5 6 7장, 보허사 5 6 7장 장단
* 영산회상 중의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장단
* 밑도드리 웃도드리 장단
* 영산회상 중의 염불도드리 장단
* 영산회상 중의 타령 군악 계면가락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장단
* 영산회상 중의 양청 도드리 장단
3. 가사, 시조
* 가곡 장단 (16박)
* 가곡 장단 (10박)
* 가사 장단 (6박)
* 가사 장단 (5박)
* 시조 장단 (8박)
* 시조 장단 (8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