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本文 六十一章 .
大國者下流, 天下之交, 天下之牝, 牝常以靜勝牡, 以靜爲下,
대국자하류, 천하지교, 천하지빈, 빈상이정승모, 이정위하,
故大國以下小國, 則取小國, 小國以下大國, 則取大國,
고대국이하소국, 즉취소국, 소국이하대국, 즉취대국,
故或下以取, 或下而取, 大國不過欲兼畜人, 小國不過欲入事人,
고혹하이취, 혹하이취, 대국불과욕겸축인, 소국불과욕입사인,
夫兩者各得其所欲, 大者宜爲下.
부량자각득기소욕, 대자의위하
老聃(노담)이 지금 주제넘게 帝王(제왕)이 되어선 天下(천하)를 다스리는 논리를 전개하는 樣相(양상)인데 所以(소이) 帝王(제왕)으로 君臨(군림)하는 말을 하고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 무슨 大小(대소)國(국)을 들춰선 陰陽(음양) 암, 수, 가 接(접) 붙는 것으로 譬喩(비유)辭(사)를 달으니 그야말로 힘센 넘 이 힘 약한 넘을 마누라 삼자는 것 마누라 삼는다 그런 논조가 아닌가 하여 보는 것이다 大國(대국)이라 하는 것은 歸鑑(귀감)을 보여주어선 流行(유행)을 잘 타게 하는 근본원인을 提供(제공)하는 나라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 뭔가 본때를 보여 줌으로서 流行(유행)이 되게끔 하여선 天下(천하)에 유통되게 하면 天下(천하)가 그렇게 汚染(오염) 물이 든다 所以(소이) 좋은 말로 둔갑한다면 德化(덕화)에 감화된다 이렇게 둘러될 수가 있다할 것이다
大國(대국)이라 하는 것은 模範(모범)을 삼을 것을 천하에 흘러 내려 보낸다 그래선 천하를 사귀려든다는 것이리라 天下(천하)라 하는 것은 암 짐승과 같은 것이라서 암 짐승은 늘상 고요함으로써 숫 짐승의 행동을 받아준다는 것이라 그렇게 고요함으로써 숫 짐승 發狂(발광)하는 것을 눌러 잡는다 감당한다는 것이리라 말하자면 天下(천하)라 하는 것은 큰 그릇이나 마찬가지인자라 大國(대국)의 歸鑑(귀감)으로 보여주려 하는 행위는 거기 담기는 맛갈스런 음식과 같은 것이라는 것이리라 所以(소이) 가만히 있음으로써 天下(천하)를 위하려든다 또는 그 움직이는 것이 내려오게 한다는 것인데 가만히 있는 것만 아니라 그 빈 그릇이라 하는 허심탄회한 그 자체가 그 오게 하는 하나의 誘惑(유혹)수단 유혹하는 상황을 그린다는 것으로서 마치 蜂蝶(봉접)을 부르는 화사한 꽃과 같이 생긴 것에 譬喩(비유) 할 수 있다는 것이 所以(소이) 천하 세상이라 하는 것이리라 그 무언가 쪼아 먹을 것이 있어 야지만 猛禽(맹금)類(류)들이 내려다보곤 내려오는 것이지 아무 잇속도 없는데 무슨 덕 주겠다고 내려오겠는가 이다 이런 논거라할 것이다
이런 원인에 의해서 大國(대국)은 작은 나라에 내려옴으로써 곧 小局(소국)을 취하게 되는 것이고, 所以(소이) 암 넘을 얻게되는 것이고, 작은 나라는 큰 나라를 내려오게 함으로써 곧 大國(대국)으로 하여금 작은 나라를 거두게 끔 한다는 그런 내용이 된다 할 것이다 그 무슨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취한다 이런 것은 그 힘의 논리로 볼 진데 가당찮은 말이 아닌가 하여 보는 것이다 어찌 작은 것이 큰 것을 부리고 종 삼는다 할 것인가 이것은 어려운 것이라 할 것이다 일단은 힘이 센 것은 큰 것으로 보는 것이라 그 당차다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작으면서 제몫을 톡톡히 해내는 것을 당차다 하는 것인데 그렇게 당차게 보이는 것은 소이 큰 것이라 할만하다 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인에 의하여선 혹 내려감으로써 취하게되고 내려오게 함으로써 취하게되고 내려가서는 취하게되고 내려와서는 취하게 되는 것이라 할 것인데 大國(대국)은 아울러 남, 他(타)것, 所以(소이) 여러 小國(소국)이 모인 집단 天下(천하)를 飼育(사육)하는 것에 대 해 지나친 慾心(욕심)을 내지 않는다는 것이고 小國(소국)들은 남 섬기려 들어가는데 지나친 過慾(과욕)을 부리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大抵(대저) 양자간에 각각 그 하고자하는 바를 큰 것이라 하고 그것을 적당하게 내려주는 것 그것을 적당하게 흘러가게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다 이것 적자 생존 논리를 말하는 것이라 힘센 자가 힘 약한 자를 길들이는 방법을 열거하는 말이라 할 것이다
소이 이해타산에 따라서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할것인데 이득 없는데 무슨 행동취할 리가 없다는 것이리라 그러므로 그러한 利害打算(이해타산)을 따져선 움직에게 된다는 것으로서 그런 것을 逆利用(역이용)하는 戰法(전법)으로 나온다는 것인데 對相(대상)이 이해에 얽혀선 움직여줄 것을 앎으로 먹음직스런 미끼 먹이를 目前(목전)에 제공한다 비춰지게끔 한다는 것이리라 그렇게되면 그것이 쪼아먹을 수 있는 먹이인줄 알고선 내려오게 된다는 것이고 그렇게 오게됨으로서 아랫된 낚시미끼 노은 자는 소기의 목적달성을 이룩한다는 그런 내용도 된다 할 것인지라 서로가 먹고 먹히는 세상에 어떻게든 자신은 않 잡혀 먹히고 살아남느냐이고 상대방을 포획 하느냐 이렇게 그 으르렁거리는 싸움 장면을 보여주는 그런 대목을 말하는 것인데 감미로운 말로서 그 무슨 流行(유행)이니 본때를 보여주는 것이니 歸鑑(귀감)을 받게하는 것이거니 이렇게 둘러된다 할 것인바 모다 서로간 살아나고자 적자생존 논리에 의해서 술수 전략을 세우는 모습이 그렇다할 것이다
大國(대국)이라 하는 것은 아래로 흘러 보내서 天下(천하)를 사귀려 든다는 것이 곧 바로 그 戰術(전술)에 해당하는 對目(대목)이 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렇게되면 自然(자연) 流行(유행)을 타고선 誘導(유도)되어 온다는 것이리라
* 말이 뒤잡힌 감이 없지 않는데 생각할 탓이라 대국을 암넘이라하여도 되고 그 암넘이 門戶(문호)를 열어 논 것을 보고선 거기 誘惑(유혹)당해 올라타려고 오는 수넘의 蜂蝶(봉접)을 잡아 족친다 이렇게되면 그 숫넘을 해 이기는 것이 되고 그 숫넘은 천상간에 암넘이 요구 하는 대로 들어주게되고 자기 씨 내림을 하고선 자신은 암넘의 요구대로 그 먹이가 되어선 죽는다 마치 螳螂(당랑) 사마귀가 그렇게 사랑행위를 나누고선 숫 넘을 잡아먹는다는데 그런 것을 말하는 것이라 할 것이라 소이 꿩먹고 알먹고 라 할 것이다 一石三鳥(일석삼조)가된다 할 것이다
* 本文 第 六十 一章 = 큰 나라 라는 것은 아래로 흘러 내려 천하를 사귀는지라 천하의 암 것이 된다 암 것이 늘 상 고요함으로서 숫 것을 이기고 고요함으로써 아래를 위한다 그러므로 큰 나라의 덕화가 작은 나라로 흘러내리면 작은 나라가 취하게 되고 작은 나라가 큰 나라로 흘러들면 큰 나라 또한 그 작은 나라의 좋은 점을 본뜬다 (*좋은 점을 취한다) 그러므로 혹 흘러내림으로 인해서 취하게 되고 흘러듦으로 인해서 취하게 된다 큰 나라라 해서 지나치게 사람 길르길 겸하고자 아니하고 작은 나라 또한 지나치게 사람을 섬겨 들고자 아니한다 무릇 이 두 가지가 각각 그 하고자 하는 바를 얻음인지라 그러므로 큰 것이 마땅히 아래를 위한다 하는 것이다 * 좀 다른 해석으로= 큰 나라의 덕 화가 작은 나라로 흘러내리면 작은 나라는 취하게되고 작은 나라는 큰 나라의 덕 화가 자기나라로 흘러들게 함으로써 덕 화를 취한다 큰 나라라 해서 사람 길르길 지나치게 겸하고자 않고 작은 나라 또한 지나치게 삶을 섬기고자 않는다 이렇게 되면 각각 원하는 바를 유순하게 얻는다 그렇게되면 큰 것이 아래를 위한게 되고 아래 작은 것은 큰 것에게 순종한 게 된다는 것이다 큰 것이란 덕화를(*덕성 스럼을 널리 편다) 갖고 논함에 있을 것이다
* 큰 나라라는 것은 아래로 유행시키는 것이니 [본을 받게 한다는 것이리라] 천하의 교제는 천하의 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라 암 것이 늘 상 고요함으로써 수컷을 이긴다 고요함으로써 아래를 위하려든다 그러므로 큰 나라 라 하는 것은 작은 나라에 교분을 트려 내리게되면 작은 나라로서는 그 교분을 받아 드리게된다 작은 나라로선 큰 나라가 내려 줄 때를 바라게되면 큰 나라로서는 작은 나라를 위하여선 내려주게 된다 이것을 取(취)라 한다 그러므로 혹간은 내려오고 또 혹간은 내려 올 때를 바래어서 취하게된다 큰 나라는 지나친 욕망으로 사람 기르기를 겸하려들지 않는다 작은 나라 역시 지나친 욕망으로 사람을 섬기려들지 않는다
대저 이 두 가지가 각각 그 욕망 바라던 바를 얻게 되인 바인 지라 큰 것이 의당 아래를 위하려 드는 것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蘇註
소주
天下之歸大國 猶衆水之趨下流也 衆動之赴靜猶衆高之赴下也 大國能下
천하지귀대국 유중수지추하유야 중동지부정유중고지부하야 대국능하
則小國附之 小國能下 則大國納之 大國下以取人 小國下而取於人 .
즉소국부지 소국능하 즉대국납지 대국하이취인 소국하이취어인 .
*소씨 주석하대,
천하 큰 나라에 돌아가는 것이 흡사 모든 물이 아래로 내려 달리는 것과 같고 모든 움직이는 게 고요함으로 내닫은 것 같고 모든 높은 게 아래로 달아나는 것과 같다 할 것이다 큰 나라가 잘 내려오면 작은 나라는 의지케 되고 작은 나라가 잘 내려가면 큰 나라가 잘 들여놔서(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잘 내려오게 하면 큰 나라는 작은 나라에 잘 덕화를 들어가게 하여) 큰 나라는 내려오게 함으로써 사람을 취하고 작은 나라는 내려가서 남에게 취함을 받는다 즉 덕화를 본받는다는 뜻이리라 *역자부언= 이것은 사대주의 발상이라 자주성이 결여된 것을 가리키는 것이니 지금의 세태와 많이 다르다 할 것이니 그것은 흐름이 관점의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해야 할 것이다.
呂註
여주
知以道治其國 固不傷其人矣 而不知所以交天下者 則已雖不傷人 而有傷
지이도치기국 고불상기인의 이부지소이교천하자 즉이수불상인 이유상
其人者矣 大國者下流 天下之交 天下之交牝 牝常以靜勝牡 以靜爲下 是
기인자의 대국자하류 천하지교 천하지교빈 빈상이정승모 이정위하 시
乃所以交天下而保其人之道也 蓋天下之交牝而牡常以靜勝牡 而所以勝者
내소이교천하이보기인지도야 개천하지교빈이모상이정승모 이소이승자
由以靜爲下故也 大國誠能居下流 以致天下之交 則牝以靜爲下而勝牡之道
유이정위하고야 대국성능거하류 이치천하지교 즉빈이정위하이승모지도
也 故大國以下小國 則取小國 則所謂或下以取之也 下以取之者 言大之於
야 고대국이하소국 즉취소국 즉소위혹하이취지야 하이취지자 언대지어
小 宜若可以無下 而下之者以取之故也 小國以下大國 則取大國 則所謂
소 의약가이무하 이하지자이취지고야 소국이하대국 즉취대국 즉소위
或下而取之者也 下而取之者 言小之於大 不得不下而取之故也 蓋大國不
혹하이취지자야 하이취지자 언소지어대 부득불하이취지고야 개대국불
過欲兼畜人 而小國不過欲入事人 今大者下小 小復下大 兩者各得其所欲
과욕겸축인 이소국불과욕입사인 금대자하소 소복하대 양자각득기소욕
則其有不取之者乎 取之者言得其心而不失之謂也 然則大者小者 莫不爲宜
즉기유불취지자호 취지자언득기심이불실지위야 연즉대자소자 막불위의
下 而獨曰大者宜爲下何也 小而不能下大 非徒不能取大國 而亦災禍及之
하 이독왈대자의위하하야 소이불능하대 비도불능취대국 이역재화급지
矣 則不嫌於不宜 故曰大者宜爲下而已.
의 즉불혐어불의 고왈대자의위하이이.
* 여씨 주석하대,
길로써 나라를 다스릴 줄 알면 실로 사람을 손상치 아니 하리라. 천하를 사귈줄 모르면 자기가 비록 사람을 손상치 않는다 해도 그 사람들을 손상함을 두게 되리라. 큰 나라가 아래로 흘러내려서 천하를 사귀려 듦은 천하의 암 것 노릇하여 사귀려 듦이니 암 것은 늘 상 고요함으로써 숫것을 이김으로 써라 고요함으로써 아래를 위함인 것이니 이러함은 천하를 사귀어 그 사람을 보전하는 길인 것이다 (*사람의 길을 보전 할려 함인 것이다) 대저 천하에 암 것으로 사귀려 들려한다 함은 암 것은 늘 상 고요함으로써 숫것을 이김으로 써라 이긴다 하는 것은 고요함으로써 말미암아 아래를 위하는 연고이다(*위하기 때문이다) 큰 나라 실로 아래로 흘러 머물러서 천하 사귐을 이룬다함은 암것의 고요함으로써 아래를 위하여 숫것을 이기는 길임으로 써라 그러므로 큰 나라 작은 나라에 내림은 곧 작은 나라를 취하는 것이니 곧 이른바 혹이 내려서 취함을 쓴다 함이니 내려서 취함을 쓴다는 것은 큼이 작음에서 취함을 말하는 것이니 마땅히 이렇듯 바르게 내리는 게 없어도 내려간다 하는 것으로써 취하기 때문이다 작은 나라 큰 나라에 내린다함은 곧 큰 나라에서 취함인 것이니 곧 이른바 혹여 내려옴에서 취해 가는 것이라 내려옴에서 취하는 것은 작음이 큼에서 취한다 말함인 것이니 부득불 내려오게 함으로써 취해 가는 연고이기 때문이다 대저 대국이 지나치게 사람 길르길(*여기서 기른다는 뜻은 제품에 끌어 안고자한 탐욕에서란 뜻도 있다 즉 큰 나라 테두리 안에 작은 나라를 두어 관리 감독 간섭하겠다는 뜻임) 겸하고자 않고 작은 나라가 지나치게 사람을 섬겨들고자 않음(*아부 사대근성 보호받고자하는 자주성 결여된 정책이나 행위모습형태) 이제 큰 것이 작은 것에 내리게되고 작은 것이 거듭 큰 것에 내리게 될 것이니 이 두 가지가 각각 그 하고자 하는 바를 얻으면 그 취하여 가지 못할 것이 있을 것인가? 취해간다는 것은 그 마음을 얻어서 잃어버리지 않는 것을 이름을 말함이라 그렇다면 큰 것이나 작은 것이나 서로 내려서 마땅케 되지 아니하는 것이 없다 할 것이다 유독 말하건대 큰게 아래를 위하는 게 마땅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작은 것이 큰 것을 잘 내려오게 하질 못함이라(*작은 것 하여 큰 것에 잘 내려오지 못함이라) 무리로 아니하면 큰 나라를 잘 취하지 못하여서 역시 재앙이 미치리라 곧 마땅치 못함을 혐오치 않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그러므로 큰것이 아래를 위함이 마땅할 따름이라 할 것이다 [** 도대체 큰 나라를 잘 본받지 못하면 역시 재앙이 미치리니 곧 마땅치 못함을 혐오치 아니치 아니함으로 서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큰게 아래로 내려 오는 게 마땅하다 할 따름이다 함인 것이다) [역자부언= 非徒 不能 不嫌을 한 문장으로 묶으면 부정사가 세 개가되므로 뒷 문장 해석의 방식이 맞는다 할 것이다]
朴註
박주
大國者人之所歸 如水歸下流 故曰下流天下之交言其所會也 天下之牝言其
대국자인지소귀 여수귀하류 고왈하류천하지교언기소회야 천하지빈언기
所求也 如牡之求牝也 以靜勝牡者 牝能以靜下牡 靜以制動 故曰勝夫牝之
소구야 여모지구빈야 이정승모자 빈능이정하모 정이제동 고왈승부빈지
所以勝牡者 以其能以靜下之故也 是以以大下小則樂天而容足以畜人以小
소이승모자 이기능이정하지고야 시이이대하소즉락천이용족이축인이소
下 大則畏天以恪足以事人大而能下以取小 小而能下見取於大 凡大國之所
하 대즉외천이각족이사인대이능하이취소 소이능하견취어대 범대국지소
欲在於兼畜人而已 小國之所欲在於入事人而已 能下則大小各得其所 願欲
욕재어겸축인이이 소국지소욕재어입사인이이 능하즉대소각득기소 원욕
而爲大之道尤宜爲下 蓋小國常畏大國能下之而大國 常侮小國罕能下之者
이위대지도우의위하 개소국상외대국능하지이대국 상모소국한능하지자
如此則失小國之心而不能懷服卒無以成其大 故曰大者宜爲下
여차즉실소국지심이불능회복졸무이성기대 고왈대자의위하
* 박씨 주석하대,
큰 나라라 하는 것이 사람을 돌아오게 하는게 물이 아래로 내려 흘러 돌아감 같음이라 그러므로 아래로 흘러 천하를 사귐은 그 모여들게 함을 말함인 것이다 천하의 암 것이 그 구해 찾음을 말함은 숫것의 암것 구함 같음이라 고요함으로써 수것을 이기는 것은 암 것이 잘 고요히 하여서 숫것에 내려옴인지라 (*흘러 문화나 풍속을 본 받게 한다) 고요함으로써 움직임을 제압하는 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이긴다 함인 것이다 무릇 암 것이 소이 숫것을 이긴다는 것은 그잘 고요함으로써 내려오는 연고이기 때문이다 (*즉 요란 떨지 않고 감화를 시킨다는 뜻임) 이래서 큼으로써 작음에 내려오면 하늘 길을 즐기고 넉넉한 여유로운 용납성을 가져 사람을 길르게 되고 작음으로써 큼에 내리면 하늘을 두려워하고 여유로운 공경심을 갖고서 사람을 섬기게 된다 커도 잘 내려와서 작음을 취하고 작아도 잘 내려와서 큼에 뵈임을 취한다 무릇 큰 나라 하고자하는 것은 사람 길르길 겸하고자 함에 있을 따름이요 작은 나라가 하고자 하는 바는 사람을 섬겨듦에 있을 따름이니 내려오길 잘하면 크고 작음이 각각 원하는 하고자 하는 바를 얻어서 크게된다 길 더욱 아래를 위함이 마땅하니 대저 작은 나라 늘 상 큰 나라를 두려워하여 큰 나라의 감화를 잘 받지만(*큰 나라의 뜻을 잘 받아들이게된다) 큰 나라는 늘 상 작은 나라를 없신여김 이라 잘 내려오는 게 드믈게 된다 이 같으면 작은 나라의 마음을 잃게 되어서 잘 품어 복종시킬 수 없어서 (*잘 작은 나라가 품어(마음가짐을 잘하여) 섬기질 않음) 마침내는 그 크다할 이룸이 없게 되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큰 게 내려오길 (*아래를 위하길) 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큰 게 아래를 위하여 내려 오는 게 마땅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