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성1세 |
|
2세 |
|
3세 |
|
4세 |
|
5세 |
|
6세 |
|
|
| |
緯 |
→ |
광우 |
|
만 |
|
유겸 |
|
상지 |
|
순손 |
|
|
| |
위 |
光佑 |
|
蔓 |
|
有謙 |
|
尙之 |
|
順孫 |
|
|
| ||
|
|
|
|
|
김천 지례 |
|
성주 막동 |
|
성주 선남 |
|
다산 지동 |
|
|
|
휘(諱) 문규가 서해도 안렴사를 지냈다. 자(子) 휘(諱) 위가 공민왕조에 예부시랑을 지냈는데 뒤에 가서 수성군으로 봉해졌다. 수성군이 공의 5대조이다. 고조 휘(諱)는 광우인데 충주목사를 지냈다. 증조 휘(諱)는 만인데 서운관도정을 지냈다. 조 휘(諱)는 유겸인데 순흥부사를 지냈다. 선고(先考) 휘(諱)는 상지인데 사헌부 감찰과 용궁현감(龍宮縣監)을 지냈다. 선비(先妣)는 하빈이씨인데 판서 예(芮)의 여이다. 공은 조선 문종조에 음사(蔭仕)로 하동부사가 되어 좋은 치적을 남기셨다. 수양대군이 단종을 폐위 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오른 것을 보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忠節)을 가슴에 새기고서 은거지를 찾다가 공의 마음에 들었던 곳이 바로 이곳 지동(池洞)이었다. 공이 이곳에 집을 일으켜 “취원정(聚遠亭)”이라하고 예악시서(禮樂詩書)를 벗으로 삼고 한가로이 보내셨다.
배(配)는 숙인 성주배씨(星州裴氏)인데 좌사간(左司諫) 한(閑)의 여이다. 4남 2녀를 두었다.
아들의 차례는 수경(守經), 처경(處,經), 권경(權經), 문경(文經)인데, 수경은 성균관(成均館) 생원(生員)이 되었고, 처경은 밀양부사(密陽府使)를 지냈고, 권경은 소윤(少尹)을 지냈고, 문경은 생원(生員)이 되었다. 장녀는 종실(宗室) 덕성군(德城郡) ‘민’의 아내가 되었다.
수경이 2남 1녀를 두었는데 이동(異童), 서동(瑞童)이다. 이동은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지냈고, 서동은 밀양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를 지냈다. 여(女)는 별재(別才) 곽거(郭琚)의 아내가 되었다. 처경이 1남1녀를 두었는데 석동이다. 석동은 성균생원(成均生員)이 되었고, 여(女)는 생원 허적(許積)의 아내가 되었다. 문경이 1남을 두었는데 윤행이며, 윤행은 부호군(副護軍)이 되었다. 이동이 1남을 두었는데 경문(景文)이다. 경문이 중종 조에 영릉참봉(英陵參奉)을 제수 받았으나 상언(上言)하고 나아가지 아니했다. 지동(智洞) 남쪽 언덕에 휴휴당(休休堂)을 짓고 지평(持坪) 원정 여희림(園亭 呂希臨)과 도의교문(道義交文)하시었다. 서동이 1남을 두었는데 윤문이다. 윤문이 만호(萬戶)가 되었다. 석동이 1남을 두었는데 옥문이다. 옥문이 별재(別才)가 되었다.
윤행이 1남을 두었는데 귀필(貴弼)이다. 귀필이 현감(縣監)을 지냈다.
|
|
취원정(聚遠亭) |
하동지(河東池) |
나. 분파명(分派名)과 세거지(世居地)
수성6세(금성19) |
|
|
수성7세(금성20) |
|
|
수성8세(금성21) |
|
수성9세(금성22) |
|
|
수성10세(금성23) | |
순손 順孫 |
|
|
수경 守經 |
|
|
이동 異童 |
|
경문 景文 |
|
|
응규 應奎 |
부장공파 |
|
|
|
|
|
|
| ||||||
다산 지동 |
|
|
|
|
|
|
|
|
|
|
응기 應箕 |
참봉공파 |
통훈대부 |
|
|
|
|
|
|
|
|
| |||
(通訓大夫) |
|
|
|
|
|
|
|
|
|
|
응두 應斗 |
기암공파 |
|
|
|
|
|
|
|
|
|
|
| ||
|
|
|
|
|
|
|
|
|
|
|
응벽 應碧 |
생원공파 |
|
|
|
|
|
|
|
|
|
|
| ||
|
|
|
|
|
|
서동 瑞童 |
|
윤문 潤文 |
|
|
응삼 應參 |
만호공파 |
|
|
|
|
|
|
|
|
| ||||
|
|
|
|
|
|
|
|
|
|
|
응서 應瑞 |
첨추공파 |
|
|
|
|
|
|
|
|
|
|
| ||
|
|
|
처경 處經 |
|
|
석동 碩童 |
|
옥문 玉文 |
|
|
응연 應連 |
밀양공파 |
|
|
|
|
|
|
|
| |||||
|
|
|
권경 權經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경 文經 |
|
|
윤행 允行 |
|
귀필 貴弼 |
|
|
승종 承宗 |
봉사공파 |
|
|
|
|
|
|
|
| |||||
|
|
|
|
|
|
|
|
|
|
|
|
|
1) 부장공파(部將公派): 고령 다산(못골), 김천 개령
2) 참봉공파(參奉公派): 고령 다산(고방), 성주, 양산, 포항
3) 기암공파(奇菴公派): 고령 다산(논실,아시터,장척), 영주, 군위
4) 생원공파(生員公派): 경남 고성
5) 만호공파(萬戶公派): 합천 덕곡(율원)
6) 첨추공파(添樞公派): 고령 성산(득성,상용)
7) 밀양공파(密陽公派): 대구 달성(옥포)
8) 봉사공파(奉事公派): 충북 영동, 김천 개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