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미디어다음 블로거뉴스로 게재되었습니다 MY블로거뉴스▶
순서 |
날 짜 |
종주 구간 |
산행 시간 |
실제 산행시간 |
경 비 |
1 |
07.12.09 |
광덕고개→광덕산→자등현 |
2:41 |
3:57 |
27,600 |
2 |
07.12.19 |
자등현→약사령→여우고개 |
5:22 |
5:48 |
25,000 |
3 |
07.12.23 |
여우고개→낭유고개→도내지고개 |
5:05 |
5:46 |
25,000 |
4 |
08.02.06 |
도내지고개→운산리고개→고소성리 |
7:41 |
8:34 |
20,200 |
|
합계 |
광덕산→명성산삼각봉→고소성리 |
20:49 |
24:05 |
97,800 |
3. 구간별 소요시간
※구간별 소요시간은 휴식시간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제1구간: 광덕고개-(1:07)-광덕산-(0:43)-박달봉갈림봉-(0:51)-자등현
※휴식 없이 2시간 41분 소요. 실제는 3시간 57분 산행함.
▲광덕산에서 공터까지 갔다 오는 시간: 왕복 15분 소요됨.
광덕산[분기점]-(0:03)→소형안테나봉우리-(0:03)→기상레이다관측소앞-(0:01)→공터봉우리
▲박달봉 갈림봉에서 박달봉까지 갔다 오는 시간: 왕복 28분 소요됨.
갈 때: 13분, 올 때: 15분.
★제2구간: 자등현→각흘봉→약사령→삼각봉→여우봉→여우고개
자등현-(0:51)-각흘봉-(0:48)-약사령-(0:54)-명성산갈림길-(1:25)-경고판있는삼거리-(0:58)-여우봉-(0:26)-여우고개
▲자등현-(1:39)-약사령
▲약사령-(3:43)-여우고개
★휴식없이 5시간 22분. 실제는 5시간 48분 걸렸다.
★제3구간: 여우고개→사향산→낭유고개→관음산→도내지고개
▲여우고개-(0:49)-군부대철문-([우회구간]0:30)-군부대철문-(0:03)-사향산-(0:40)-낭유고개: 휴식 없이 2시간 2분
▲낭유고개-(1:04)-관음산-(0:17)-1-3지점-(0:19)-능선상철조망-(0:29)-임도안부-(0:28)-약445m봉-(0:05)-철탑-(0:06)-315.8m봉-(0:15)-도내지고개: 휴식 없이 3시간 3분
※ 여우고개→낭유고개→도내지고개: 실제 5시간 46분 산행함(08:47~14:33)
★제4구간: 도내지고개→방골고개→운산리고개→보장산→고소성리
문암리버스정류장-(0:04)-도내지고개-(1:28)-불무산-(0:02)-안부-(0:17)-분기점-(1:07)-방골고개-(0:09)-안부-(0:23)-사거리안부-(0:09)-271.5m봉-(0:29)-운산리고개-(0:15)-258m봉-(0:20)-군작전도로-(0:53)-보장산-(1:12)-353m봉-(0:18)-마지막봉우리-(0:35)-고소성리버스정류장
▲문암리버스정류장-(0:04)-도내지고개-(2:54)-방골고개
▲방골고개-(1:10)-운산리고개
▲운산리고개-(3:33)-고소성리
※ 휴식 없이 7시간 41분, 휴식포함 8시간 34분 걸렸다.
4. 한북 명성지맥의 산
순번 |
산 이름 (높이:m) |
소재지 |
정 상 |
특기사항 |
1 |
광덕산(廣德山 1046.3) |
화천(사내) 철원(서) 포천(이동) |
삼각점. 공터 |
명성지맥 분기점 |
※ |
박달봉(朴達峰 약825m) |
포천(이동) |
공터. 119표지판 |
지맥에서 벗어남 |
2 |
각흘봉(角屹峰 838.2) |
철원(갈말) 포천(이동) |
정상스텐판, 암봉 |
조망 최고 |
3 |
삼각봉(906m) |
철원(갈말) 포천(이동) |
정상석, 조망최고 |
|
4 |
여우봉(730m) |
포천(영북, 이동) |
정상목, 공터 |
|
5 |
사향산(麝香山 664.5m) |
포천(영북, 이동) |
군부대 우회 |
664.5m봉 |
6 |
관음산(觀音山 732.6m) |
포천(영북, 이동, 일동) |
공터, 정상목 |
조망 좋음 |
7 |
불무산(佛舞山 662.7m) |
포천(영북) |
공터, 원형벙커 |
조망 좋음 |
8 |
보장산(寶藏山 555m) |
포천(창수) |
무 표시, 조망 좋음 |
|
5. 한북 명성지맥의 주요 고개
순번 |
고개 이름 |
행정 소재지 |
도로 현황 |
※ |
광덕고개(664m) |
포천(이동) 화천(사내) |
372지방도, 2차로, 어프로치구간 곰상, 휴게소(상가) 등 |
1 |
자등현(自等峴 약435m) |
철원(서) 포천(이동) |
47국도, 2차로, 곰상 등 |
2 |
약사령(藥寺嶺 약545m) |
철원(갈말) 포천(이동) |
비포장, 커다란 돌맹이 등 |
※ |
안덕재 |
포천(영북, 이동) |
안부, 통제지역 |
3 |
바깥덕재 |
포천(영북, 이동) |
안부, 통제지역(출입가능) |
4 |
여우고개(520m) |
포천(영북, 이동) |
78국지도, 2차로, 상가 등 |
5 |
낭유고개(360m) |
포천(영북, 이동) |
387번도로. 2차로. 방호벽. |
6 |
도내지고개(약 155m) |
포천(영북) |
4차로(중앙분리대) 43국도, 고개가 언덕 수준 |
7 |
방골고개 |
포천(영북) |
2차로, 대전차방호벽 |
8 |
운산리고개 |
연천(청산) |
2차로, 87국도, 대전차방호벽 |
9 |
37번 구도로 |
포천(창수) |
2차로 |
6. 한북 명성지맥 도엽명
▶1:25,000 지형도: 총 3매
-도평(都坪), 영북(永北), 영평(永平).
7. 한북 명성지맥 후기
명성지맥 1 (광덕고개→광덕산[명성지맥 분기점]→자등현) 후기[07.12.09]
명성지맥 2 (자등현→약사령→삼각봉→여우봉→여우고개) 07.12.19
명성지맥 3 (여우고개→사향산→낭유고개→관음산→도내지고개) 07.12.23
※영평팔경(永平八景)
금수정(金水亭), 낙귀정지(樂歸亭址), 백로주(白鷺州), 선유담(仙遊潭),
와룡담(臥龍潭), 창옥병(蒼玉屛), 청학동(靑鶴洞), 화적연(禾積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