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사 방법 |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 |
대상 | 회복적 대화모임 진행 경험 교사 및 회복적 대화모임 참여 학생 |
참여 인원 | 교사 129명, 학생 70명(피해:29명, 가해 41명) |
조사 기간 | 2016년 6월22~6월28일 (7일) |
조사 기관 | (사)좋은교사, 회복적생활교육센터 |
1, 조사목적 : 회복적 대화모임의 효과와 만족도 검사
2. 조사 내용
학교급, 회복적 대화모임 이후의 심리적 안정 상태, 자기 성찰 및 관계 개선 정도, 회복적 대화 모임의 다시 선택 여부, 효과성과 부작용, 어려운 점.
3. 응답자의 특성
| 교사 | 학생 | 사례 수(명) | |
전체 | 129 | 70 | 199 | |
학교급 | 초등학교 | 79 | 37 | 116 |
중학교 | 56 | 32 | 88 | |
고등학교 | 14 | 1 | 15 |
4. 결과
가. 학생답변
(1)회복적대화모임 이후 심리적 안정 상태
-‘오해가 풀리고 친밀감향상’ 51.4%, ‘친해지지는 않았지만 마음이 편해졌다’ 45.7%로 총 97%로 심리적으로 안정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더 불안해졌다’는 2.86%로 낮게 나타났다.
9월호 50 회복적대화모임 효과성 설문조사 결과.hwp
(2)회복적 대화모임 이후에 자기성찰 및 관계 개선 정도
[피해 입장]
상대방과의 관계가 동등할 뿐 아니라 더욱 친해졌다.’는 의견이 48.28%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상대와의 관계가 동등해졌고 대화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다’는 의견이 24.14%로 긍정적 관계성 향상이 72.42%로 나타났다. 반면 ‘불안하다’는 의견은 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해 입장]
가해학생의 경우에, 회복적대화모임이 자기성찰과 잘못의 재발방지, 친밀감형성에 87.8% 답변으로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회복적 대화모임을 다시 선택하겠는가?
피해의 경우, 96.55%로, 가해의 경우 95.12%로 회복적 대화모임을 다시 선택하겠다고 답변했다. 회복적대화모임을 다시 선택하겠다는 것은 대화모임에 대한 효과와 신뢰에 대한 체감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대화모임에 대한 만족 체감도가 95.71%로 높게 나타났다.
나. 교사 답변
(1)회복적 대화모임 이후의 학생들의 심리적 안전 상태와 자기성찰 정도
피해학생의 경우, ‘가해학생과 관계가 동등할 뿐 아니라 더욱 친밀해졌다’는 의견이 72.09%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가해학생의 눈치를 보거나 무서워한다’는 의견은 0%로 낮게 나타났다. 교사가 관찰하기에 피해학생의 심리적 안전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92.25%로 높게 나타났다.
가해학생의 경우, ‘진정성있는 사과와 재발방지를 위한 실천’(47.29%), ‘동등하고 편안한 관계유지’(25.58%), ‘피해학생과 친밀감 향상과 행동의 개선’(13.95%)로 가해학생의 선도효과에 대해 86.82%의 긍정적 답변을 했다.
(2)회복적 과정에 대한 효과와 부작용
효과로는 ‘관계개선’(42.26%), ‘당사자간의 이해와 공감 형성’(26.79%)로 68%가 긍정적 효과에 대해 답을 했으며, ‘숨겨진 갈등이 드러난다’(25.28%), ‘가해자에게 면죄부를 주게 된다’(4.15%)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관계개선에 도움을 주지만, 갈등을 은폐하거나 면죄부를 주지 않게 된다는 답변이다.
결론
학교폭력을 유발·유지시키는 것은 불균형한 관계구조에 있기 때문에, 동등한 관계구조로의 변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회복적대화모임 이후의 관계개선이 72.42%이며, 그중에 오히려 ‘친밀해졌다’는 관계의 발전이 48.28%로 높게 나타난다(피해학생의 입장). 가해입장의 학생 경우도 친밀감 형성과 자기성찰이 87.8%로 높은 선도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대화모임에 대한 만족 체감도가 95.71%로 현헹 학폭법에 의한 만족도가 36%에 불과한 것과 비교해 보아도 현격히 높은 수치다. 짧은 지면이라 실지 못했지만, 학교에 적용할 수 있기 위해 정책적 과제들이 여전히 산재해 있다.
* 설문조사 그래프 복사가 되지 않아. 파일을 올려놨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파일을 참고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