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本文 七十三章 .
勇於敢則殺, 勇於不敢則活, 此兩者或利或害,
용어감즉살, 용어불감즉활, 차양자혹이혹해,
天之所惡, 孰知其故, 是以聖人猶難之,
천지소악, 숙지기고, 시이성인유난지,
天之道, 不爭而善勝, 不言而善應, 不召而自來, 然而善謀,
천지도, 불쟁이선승, 불언이선응, 불소이자래, 천연이선모,
天網恢恢, 疏而不失.
천망회회, 소이불실.
용감하면 殺生(살생)을 하게 되는 것이고 용감치 못하다면 그 活人救命(활인구명)을 하게되는 것이다 이 두 가지는 경우에 따라선 이해득실을 달리한다 하늘이 憎惡(증오)하는 것은 어느 것인 줄 잘 알 것이다 이래서 聖人(성인)은 그 상황 따라 대처함에 있어서도 그 難堪(난감)해하는 것이 있는 것이다 하늘의 도리라 하는 것은 경쟁하는 방법을 취택하지 않으면서도 승리하길 잘한다 소이 좋게 승리하며 굳이 말씀하지 않으셔도 호응을 잘 받음으며 부르지 않으셔도 저 마다들 다가오려 하여선 넉넉한 슬기로움은 좋은 방향으로 도모를 잘한다 하늘 그물 구멍이 넓고 넓어선 샐 것 같아도 一毫(일호)라도 失策(실책)하는 면이 없는 것이다
* 여기서 말하는 하늘이라 하는 것은 남 잘되는 것을 배가 아퍼선 猜忌(시기)하는 귀신의 무리들을 말하는 것으로서 天(천)이라 하는 것은 神(신)이라 하는 것을 指稱(지칭)하는 代名詞(대명사)로서 惡神(악신) 魔鬼[(마귀=마라=악마= 도대체 하늘이 어디 있단 말인가 마른하늘 날 벼락치는 것이 하늘인가 먹 장구름속에 억수 장마때 雷電(뇌전)이 하늘인가 엄포 공갈치는 것이 하늘인가 고약한 귀신 넘들 이지....)]를 말하는 것일 수도 있다
로맨스와 불륜은 동전의 앞뒷면이다 맨 그넘 이 그넘 이라는 뜻이다
윗 논리가 듣기에 참으로 감미롭고 귀청을 간질를 정도로 솔깃한 音樂(음악) 線律(선률)처럼 들린다할 것이다 所以(소이) 聖人(성인)이라 하는 슬기로운 자들은 이러한 甘言利說(감언이설)로서 사람들을 꼬득이기를 잘한다 그 달지 않으면 인민대중의 심리들이 거기 사로잡힐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懷誘(회유)戰法(전법)으로 順民(순민)의 마음을 捕虜(포로) 碎腦(쇄뇌)화 시켜선 그 부리는 從者(종자)나 자신의 理想(이상)을 播種(파종)하는 터전을 삼는 것이다 所以(소이) 支配(지배)할 百姓(백성) 이나 부릴 奴隸(노예)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민 대중들은 절대로 이러한 회유전술에 말려들으면 안된다는 것이리라
그 聖人(성인) 이라 하는 작자들이 이유 없이 그 꿀을 흘리겠는가를 한번 생각하여 보라는 것이리라 장기를 두대 먹음직 스럽게 보이는 적의 차 포는 그 아군의 君主(군주) 장군을 잡기 위한 덫인 것이다 그러므로 좋은 미끼 뒤엔 항상 음흉한 그물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하는 그런 가르침을 주는 대목 그런 것을 생각 일깨워주는 대목이라 할 것이다 심리가 그저 필자처럼 꽈베기 뒤틀리듯 해서 잘 그 잇발이가 잘 맞아야 서만이 목화씨를 발려내는 쐐기 틀이 되어선 그 목화의 씨를 발려내어선 이불솜을 제대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항상 꼬고 보는 관찰력을 기를 필요가 있다할 것이다 敵(적)의 전술이 저렇게 나오는 것은 이쪽의 그 무언가를 노리고 있다는 것을 잘 깨달으라는 것이리라
당신의 마음 그대의 마음을 잡기 위한 전술인 것이다 그러므로 거기 현혹하여선 종 잡힐 필요가 없고 고만 이의방이 무쇠 철퇴로서 그런 생각을 呪術的(주술적)으로 설파하는 대갈바리를 아작을 낼 필요가 있다할 것이다 아무 잇속 없이 聖人(성인)이라 하는 작자들이 무슨 活人(활인)功德(공덕) 쌓겠다고 좋은 음악 좋은 꿀을 흘려 보내겠느냐 이 다다 그러므로 아예 고만 초전에 아작을 내버린다면 두 번 다시 주둥이를 놀릴 기회를 얻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리라
그 迫切(박절)하지 못하는 가운데서 파고들 기회를 얻고 저들의 福(복)자리로 여기는 것인지라 고만 냅다 혀를 놀리려 드는 곳에 일침 성갈이를 내고 땅바닥에 다간 냉동댕이 패대기를 치다시피 한다면 어이 두번 다시 회롱하여 보겠다고 그 수작 걸겠는가 이다 그 무언가 빌미를 제공하지 말아야만 하는 것이다 물 샐 틈 없는 방어 철옹성 같은 마음 다짐을 하고 있어야 지만 敵(적)이 파고들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일체 마음을 움직이려드는 세상의 모든 것은 당신을 잡기 위한 적군의 창칼과 같은 것인지라 항상 거기에 대한 만반의 방어 태세를 준비하여놓고 있어야만 한다 할 것이다
그래야만 잡히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래 여하한 주술적 꼬임에 넘어가면 안 된다는 것이고 일단 넘어가면 적의 주구 하수인 노릇을 해야할 처지가 當到(당도) 한다는 것을 잊지 말기를 바라는 바라 대략 軍師(군사)들을 볼 것 같으면 청장년들이 물불을 가리지 않는데
그런 覇氣(패기) 있는 젊은이들을 선택하게 되는 것인데 이것을 思想(사상) 논쟁으로 볼 것 같으면 이제 갓 물이 들은 갓 태어난 哨兵(초병)으로 되는 것인지라 이러한 일등병을 전위대 첨병으로 내세워선 공략을 하여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所以(소이) 아군이 적에게 포로 되면 오히려 敵(적)의 전초기지 전위대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잊지 말라는 것이리라 아군의 포로는 그 적의 첨병이 된다 그러므로 그 절대로 아군이 잡히는 그런 일이 없게끔 단속을 잘하고 경비를 잘 서야만 한다는 그런 취지이다
*
일제 지배자 통치자를 美化(미화)하는 發言(발언) 所以(소이) 지배할 백성을 만들려하고 그렇게 만들어선 대상으로 삼는 무리들은 그 지배하려고 드는 늑대의 무리들인지라 順民(순민)의 입장으로서는 그 까부셔야할 대상인 것이다
도대체 누가 누글 다스리려 든단 말인가 군림하려드는 고자세는 대다수 인민의 원수인 것이다 그러므로 그런 浮類(부류)들은 모두 타도대상 장조림 해 먹어야할 대상이라 할 것이다
所以(소이) 人民(인민)大衆(대중)에게는 政府(정부)를 組織(조직)하여선 君臨(군림)하려드는 것은 그 隸屬(예속)을 시켜선 自由(자유)를 억압하고 그 노예로 부려 쳐 먹기 위한 수작인 것이라 何等(하등)에 거기 따라줄 이유가 없다할 것이고 우에든 거러 엎어선 본때를 보여줘야만 한 다 할 것이다 所以(소이) 우리 인민대중의 철천지 원수는 그 지배하려드는 聖人(성인)이라 하는 思想論爭(사상논쟁)하는 사상가들이라 할 것인지라 모두 생매장 때려죽여야만 직성이 풀린다할 것이다
일체 그 무슨 잘났다 하는 논쟁을 기치로 내거는 무리들을 모두 아작을 내 치울 적에 그 입에 발린 聖人(성인)이라 하는 무리들이 이 세상에서 소멸 될 것이라 소이 잘난 무리들을 하나같이 거저 못 봐주겠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질박한 순민 들만이 남아서 악발이로 으르렁 거리면서 인간의 참 모습으로 생활하는 지유를 얻게 될 것이리라 이런 필자의 견해이다
세상은 악발이 적개심을 갖지 않으면 항상 적에게 잡혀먹고 만다 그러므로 우에든 마음에서 분노의 끈을 놓치 말아야만 한다할 것이다 성인이라 하는 개수작 떠벌리는 무리들은 필자의 이론 논리를 그 사악한 사탄이 조종하는 괴뢰 말이라 하고 저들의 감미로운 말이 진정한 그 무슨 귀신 숭상논리 하늘인가 신령인가 하는 자의 聖人(성인) 지칭 받을만한 자의 가르침에 말이라 하고 오히려 백성을 밝게 하는 필자의 말씀을 호도하고 賣渡(매도)하려 들 것인지라 이것이야 말로 賊反荷杖(적반하장)이라 하는 것으로서 모두 그런데 넘어가선 도둑의 막대가 되지 말기를 바라는 바이라 일체 思想(사상) 聖人(성인) 이라 하는 魁首(괴수)넘 들을 아작을 내어선 쇠도리깨로 타작을 하여 버릴 적에 서만이 인민대중은 진정한 마음의 옥죄임에서 탈출하여선 그 自由(자유)를 만끽하게 된다 할 것이다
憤怒(분노)하는 마음이 이 세상을 크게 번창시켰다 이글거리는 적개심은 군사들의 사기를 드높여선 一騎(일기)當千(당천)의 覇氣(패기)를 갖게 한다
잇발이를 아긍 아긍 뽀드득- 하고 갈고 눈알을 부라리어선 뒤잡혀 혈안이 되었을 적에 만이 진정코 살아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될 것인지라 覇氣(패기)에 넘치는 匹夫(필부)의 勇猛(용맹)을 버려서는 안될 것이다 未來(미래)의 項羽(항우)가 철천지 원수 劉邦(유방)의 목을 단칼에 울대를 따버리듯이 그런 용맹을 보여주어서만 殺氣騰騰(살기등등) 이 세상에 살아 있는 모습이 될 것이다
군사폭도 깡패들이 혁명초기에 살기등등 한 것을 모르는가 말이다 그렇게 해서만이 살아 있는 진면목이 된다는 것이다 날마다 桑田碧海(상전벽해)가 일어나선 그저 이,저 가 쉴새 없이 번복 뒤잡히기를 학수 고대 하는 바이라 으르렁 물어 뜯고 호비고 할퀴고 하는 사나운 괭이가 되어선 코등 아물 날이 없기를 부추기는 바라 그것이 곧 살아 있는 모습이고 세상의 繁榮(번영을 나타내는 모습인 것이다
* 本文 第 七十三章 = 용맹을 감행하면 죽이는것이고 용맹을 감행치 않으면 살리는 것이다 이두가지는 혹은 이롭고 혹은 해롭다
하늘의 미워하는바 누가 그 이유(*연고)를 알것인가?
이래서 성인은 오히려 어려 워 여긴다
하늘의 길 다투지 않고 이김을 좋게 하고 말하지 아니해도 적응함을 좋게하고 부르지 아니해도 옴을 저절로 하게 하고 넉넉한 모습으로 하여서 일 꾸미는 꾀를 좋게 하니 하늘 그물 넓고 넓어 성길어도 잃어버리지 않는다 (*잃어버리는 게 없다 즉 만무 일실 )
* 굳이 하지 않아도 될 것에 용맹을 드날린다면 살인하는 것이 되고, 구태여 해야할 곳에 굳이 용맹을 드날리지 않는다면 그 살리는 것이 된다, 이두가지는 혹간은 이롭기도하고 혹간은 해롭기도 하다 , 하늘의 싫어하는바 그 누가 그러함을 알까 만은[ * 하늘이 미워하는 바이고 그 누가 그러 하는지를 아는지라] 이래서 성인이 오히려 어려워 여긴다 , 하늘의 길이라 하는 것은 다투지 않아도 잘 이기고 말하지 아니해도 좋게 호응하고, 부르지 않는데 저절로 온다, 천연덕스럽게 모책을 잘 내는 지라 하늘의 그믈은 넓고 커거 성긴 것 같아도 잃어버리지 않는다
蘇註
소주
勇於敢則死 勇於不敢則生 此物理之常也 然而敢者 或以得生 不敢者或以
용어감즉사 용어불감즉생 차물리지상야 연이감자 혹이득생 불감자혹이
得死 世遂僥倖其或然而忽其常理 夫天道之遠 其有一或然者 孰知其好惡
득사 세수요행기혹연이홀기상리 부천도지원 기유일혹연자 숙지기호오
之所從來哉 故雖聖人猶以常爲正 其於勇敢未嘗不難之 列子曰 迎天意
지소종래재 고수성인유이상위정 기어용감미상불난지 열자왈 영천의 췌
利害 不如其已 患天道之難知 是以歷陳之 不與物爭於一時 要於終勝之而
이해 불여기이 환천도지난지 시이력진지 불여물쟁어일시 요어종승지이
已 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未有求而不應者也 神之格思 不可度思
이 천하언재 사시행언 백물생언 미유구이불응자야 신지격사 불가탁사
可射思 夫誰召之哉 然舒緩若無所營 而其謀度非人之所及也 世以耳
신가역사 부수소지재 천연서완약무소영 이기모도비인지소급야 세이이
目觀天 見其一曲 而不都其大全 有以善而得禍 惡而得福者 未有不疑天網
목관천 견기일곡 이불도기대전 유이선이득화 오이득복자 미유불의천망
之疏而多失也 惟能要其終始 而盡其變化 然後知其恢恢廣大 雖疏而不失
지소이다실야 유능요기종시 이진기변화 연후지기회회광대 수소이불실
也.
야
* 소씨 주석하대,
용감하다면 죽음이고 용감 않 하다면 살음이다
이는 사물의 이치 늘 상 한 것이다 그러하여도 감행하는 자 혹은 살음을 얻고 감행치 않는 자 혹은 죽음을 얻음을 쓴다함은 세상 요행함을 디딤이라 그 혹은 그렇다해도 그 떳떳한 이치가 소홀해져서이니 무릇 하늘 길 의 멀음 그 한결같은 존재 혹 그러한데 누가 그 좋아하고 미워하는 쫓아오는 바를 알 것인가? 그러므로 성인이 오히려 늘 상 바름을 위하시더라도 그 용감에서는 일찍이 어려워 여기시지 아니함이 없었다
열자는 말하길 하늘 뜻을 맞아들이고 이해타산을 좌절시킴을 그 그만둠만 같지 못하다 했으니 하늘 길 알기 어려움을 근심하는 말이라
이래서 지나온 것을 펴 볼진대 사물과 더불어 일시에 다투지 않고 마침내 승리함을 종용 즉 찾을 따름이라 하늘이 무슨 말을 할 것인가?
사계절이 행하고 백가지 물사 들이 나옴은 구함 있어 대답치 아니함이 있지 않는 것이다 (*찾음 두지 못할 것이라 하여서 정응치 않는 것인야) 귀신 또는 신성함의 (*이르옴인데) 바른 생각, 바르게 생각으로 헤아리지 못할 것인데 하물며 (*바르게 생각을 쏜다 또는 생각을 내친다 에 있어서 의미의 환태는) 하물며 바르게 사려를 싫어한다 할 것인가? (*射= 이자의 音域은 (역)이다) 무릇 누구에게 호소 해갈서인가?
느긋한 자세 느러지 듯 경영하는 바가 없는 것처럼 해도 그 헤아리는 꾸미는 꾀 사람이 미칠 바가 아닌 것이다
세상의 눈과 귀로써 하늘을 관찰함은 그 한가지 굽어진 것을 보고서 그 전체를 보지 못해 착함을 두었는데도 재앙을 얻고 악해도 복을 얻는다할 것이라 하늘 그물이 성길어서 많은 잃어버림이 있다 의심 내지 아니함이 있지 아니하리라
오직 잘 그 마침과 비롯함을 종용 구하여서 그 변화를 다한 그런 뒤라야 그 넓고 넓은 모습 광대함을 알아 비록 성길 어도 잃어버리지 않는다 할 것이다
呂註
여주
用其剛强而必於物者 勇於敢者也 則死之徒是已 故曰勇於敢則殺 致其柔
용기강강이필어물자 용어감자야 즉사지도시이 고왈용어감즉살 치기유
弱而無所必者 勇於不敢者也 則生之徒是已 故曰勇於不敢則活 勇於敢者
약이무소필자 용어불감자야 즉생지도시이 고왈용어불감즉활 용어감자
人以爲利 而害或在其中矣 勇於不敢者 人以爲害 而利或在其中矣 然則天
인이위이 이해혹재기중의 용어불감자 인이위해 이이혹재기중의 연즉천
之所惡 殆非可以知知而識識也 故曰此兩者 或利或害 天之所惡孰知其故
지소오 태비가이지지이식식야 고왈차양자 혹이혹해 천지소오숙지기고
是以聖人之動也 豫若冬涉川 猶若畏四 猶難之若此者 以天之惡爲不可
시이성인지동야 예약동섭천 유약외사인 유난지약차자 이천지오위불가
知故也 夫唯不可知 則不識不知 乃所以順帝之則也 蓋天之生物 因其材而
지고야 부유불가지 즉불식불지 내소이순제지즉야 개천지생물 인기재이
篤焉 裁者培之 傾者覆之 則未嘗與物爭者也 而物莫能違之者 故曰不爭而
독언 재자배지 경자복지 즉미상여물쟁자야 이물막능위지자 고왈불쟁이
善勝 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其行其生未嘗差也 故曰不言 而善應
선승 천하언재 사시행언 백물생언 기행기생미상차야 고왈불언 이선응
莫之爲 而爲者天也 莫之致而至者命也 故曰不召而自來 易則易知 而其道
막지위 이위자천야 막지치이지자명야 고왈불소이자래 이즉이지 이기도
盈虛 與時消息 而未嘗違 故曰坦然而善謀 天聰明 自我民聰明 天明威自
영허 여시소식 이미상위 고왈탄연이선모 천총명 자아민총명 천명위자
我民明威 其聰明明 威未嘗自用 而惠吉逆凶猶影響也 故曰天網灰灰疏而
아민명위 기총명명 위미상자용 이혜길역흉유영향야 고왈천망회회소이
不失 夫唯天之道不可知爲如此 聖人所以勇於不敢 而不識不知 乃知所以
불실 부유천지도불가지위여차 성인소이용어불감 이불식불지 내지소이
.
* 여씨 주석하대,
그 굳세고 강하여서 필히 사물에 쓰는 자 용맹을 감행하는 자이라 곧 죽음의 무리 바로 그만두게됨이다 (*소위 是已(시이)란? 풀이 의미는 바로 이러함이다 하는 뜻의 어원이므로) 다시 뜻을 풀면 용맹을 감행하는 자 곧 죽음의 무리 이러함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용기를 감행하면 殺 즉 죽게된다 했다 (*殺 이란 대상을 죽임도 되지만 자신도 죽임을 뜻한다) 그 부드럽고 나약함을 이루어서 반드시 (감행)할바 (의사가) 없는 자 용맹을 구태여 아니 행하려 드는 자이라 곧 살음의 무리 바로 이러함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용맹을 감행치 않으면 살음이다 했다 (*역자부언 = 반드시 그러함도 아니라
옛말에 전쟁에서 내가 살고자 발버둥치면 죽게되고 죽음을 무릅쓰고 대항하면 활로가 있다 했는데 그래서 임전무퇴란 뜻이 있어 병사들의 사기를 진작 시키는데 이용한다 여기서 주석을 다는 문약 서생들이 비열한 행위만 사람들에게 가르치려들고 있는 것이다 다 그 형편 입장에 따라 살고 죽는 것이지 용맹을 실행하고 않하고에 달린 것은 아닌 것이다 )
용맹을 감행하는 자는 남을 이익하게 하면서도 해로움이 혹두 그가운데 있음이라
용맹을 감행치 않는 자는 남을 해롭게 하면서도 이로움이 혹두 그 가운데 있으리라
그렇다면 하늘이 미워하는 바는 자못 바르게 앎과 앎을 쓰면서도 마음속에 깊이 새기고 새김의 슬기를 쓰지 않음에 있음인지라 (*아는 체 하면서 실제에는 바른 지혜를 굴리어 쓰질 못함에 있다는 뜻이리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이상 두 가지는 혹은 이롭고 혹은 해로와 하늘의 미워하는바 누가 그 때문을 알 것인가 했다 (*어느데 그연고가 있는 것을 알 것인가?), 이래서 성인의 움직임은 예비(조심)하길 겨울게 얼은 개울을 건너는 것 같이 함이라 오히려 사방 이웃을 두려워 하는것 같이하고 오히려 이같이 어려워 여기는 것은 하늘의 미워함 바르게 알수 없기 때문이다 무릇 결론컨대 바르게 알 수 없다면 모름도 새겨 간직치 못할 것이라 이로 인함이 쓰는바 유순한 임금님의 법칙의라 할 것이다
대저 하늘의 생 한 物事(물사) 들이 그 材質(재질)로 인하여 독실함이 되는지라 그 栽培(재배)할 만한 것은 북돋아 가꾸고 기우러 질만한 것은 엎퍼지게 함은 곧 일찍이 사물과 더불어 다투려들지 않는 것이라서 사물도 잘 어김이 없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다투지 않고도 좋게 이기는지라 하늘이 무슨 말을 할까? 사계절이 돌아서 백가지 만물들이 삶은 그 행함과 그 삶이 일찍이 어긋나지 않았다 했다
그래서 말하건대 말하지 아니해도 좋게 적응하고 함이 없어도 한 게 되는 게 하늘이요 이룸이 없어도 이루게 된 게 부여하는 명령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부르지 않아도 절로 옴은 법이 쉬워 알기 쉬워서 그 길 차고 빔 때와 더불어 사라지고 나고 쉬어서 일찍이 어긋나지 않았는지라 그런 까닭에 말하건대 편안한 모습이라서 일 꾸밈의 꾀를 좋게 하여서 하늘이 눈밝고 귀밝으심은 우리 백성 눈밝고 귀 밝음 으로 부터 이시고 하늘의 밝으신 위엄 우리 백성의 밝은 위엄으로부터이시고 그 귀밝고 눈밝음과 밝으신 위엄 일찍이 스스로 쓰지 않았어도 길함을 품고 흉함을 거스림이 오히려 그림자와 음향메아리 같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하늘의 그물 넓고 넓어 잃어버리지 않음이라 무릇 오직 하늘의 길 알수 없는게 이같음 인데 성인은 소이 용맹을 감행치 않으시고 모름을 새겨 간직치 않음이시라 이로 볼진대 쓸바(*用心)를 알 것이라 했다
朴註
박주
決於敢則死 決於不敢則生 其爲決一也 而由其有敢不敢之異 而生死係焉
결어감즉사 결어불감즉생 기위결일야 이유기유감불감지리 이생사계언
敢則不度安危 不量禍福常進而不知退 所以動趨於死 不敢則察於安危 謹
감즉불탁안위 불량화복상진이불지퇴 소이동추어사 불감즉찰어안위 근
於禍福常退而不欲進 所以能保其生 兩者之一利一害 其事甚明 夫天惡盈
어화복상퇴이불욕진 소이능보기생 양자지일이일해 기사심명 부천오영
而益謙則 其所惡常在於彼不在於此 孰知其所以然之故哉 是以聖人猶難於
이익겸즉 기소오상재어피부재어차 숙지기소이연지고재 시이성인유난어
是不敢爲其敢也 天之道不爭而 尊乎萬物之上 不言而行乎四時之運 不召
시불감위기감야 천지도불쟁이 존호만물지상 불언이행호사시지운 불소
而昆蟲草木動植之類 莫不自歸易知簡能 坦然而善爲之謀 安用敢哉 網以
이곤충초목동식지류 막불자귀이지간능 탄연이선위지모 안용감재 망이
言其包括群生也 恢恢而疎不爭不言不召 坦然是也 不失善勝善應 自求善
언기포괄군생야 회회이소불쟁불언불소 탄연시야 불실선승선응 자구선
謀是也 此天之所以能長且久也
모시야 차천지소이능장차구야
* 박씨 주석하대,
용감하게 결단하면 죽고 용감하지 않게 결단하면 산다 그한결같이 결단함에 서 임이라 그 감행함과 감행치 않음의 다름으로 말미암아 생사가 메인 것이니 감행하면 편안함과 위태함을 헤아리질 않음과 화와 복을 헤아리질 않고 늘 상 나아가기만 하여서 물러날줄 모름으로 소이 움직임이 죽음에로 따르게 된다
감행치 아니하면 안위를 살핌과 화인가 복인가를 삼가 조심하게 관찰하여 늘 상 물러나기만 하고 나아가고자 않으니 소이 잘 그 삶을 보전한다 이두가지가 한가지는 이롭고 한가지는 해로우니 그 일이 그러한 게 심히 명백하다 무릇 하늘은 가득함을 미워하고 겸손함을 유익하게 하니 곧 그 미워하는 바는 늘 상 저쪽에 있고 이쪽에 있지 않으니 뉘 소이 그러한 연유를 제대로 알 것인가?
이래서 성인은 오히려 이러한 용감치 않음과 용감함 됨에서 어려워 여긴다
하늘의 길은 다투지 않아서 만물의 위에 높고 말씀치 아니해서 사계절의 운세에 행하고 부르지 않아서도 곤충과 초목 동식물의 종류 저절로 돌아와 쉬이 알고 간편하게 잘함을 아니함이 없다 평탄 한 너그런 자세로서 하여 좋게 일 꾸밈의 꾀를 위하는데 무엇을 감행한다 할 것인가? 하늘 그믈로서 그모든 무리의 삶을 감쌈을 말함이다
넓고 넓어서 성길다 (*빼곡치 않고 드믈다는 뜻) 다투지 아니함과 말씀치 아니함과 부르지 않이함 편안하고 느긋한 자세모습 바로 이러하다는 것이다 좋게 승리하고 좋게 적응하니 스스로 좋은 꾀책을 오게 한다함이 바로 이러함이라는 것이다 이러함은 하늘의 쓰는바 싣고 또 오램을 잘함이라 함인 것이다 (*이는 하늘이 소이 잘 장구하게 지탱한다는 뜻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