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本文 七十七章 .
天之道, 其猶張弓與, 高者抑之, 下者擧之,
천지도, 기유장궁여, 고자억지, 하자거지,
有餘者損之, 不足者補之, 天之道損有餘而補不足,
유여자손지, 부족자보지, 천지도손유여이보부족,
人之道則不然, 損不足以奉有餘, 孰能有餘以奉天下, 唯有道者,
인지도칙불연, 손부족이봉유여, 숙능유여이봉천하, 유유도자,
是以聖人爲而不恃, 功成而不處, 其不欲見賢.
시이성인위이불시, 공성이불처, 기불욕견현.
하늘 길이라 하는 것이 그 활 쏨의 도리를 펼치는 것과 같다는 말인가 높은 것은 억제하고 낮은 곳은 들어 올리는 모양이라 남아도는 것은 덜어 버리리고 모자르는 것은 도우려 함인 것이다 하늘의 道(도)도 역시 남아도는 것을 덜고 부족한 것을 도우려한다 그러나 人間(인간)의 道(도)는 그렇치 못하여선 부족한 것을 덜어선 有餘(유여)한 것을 받들려든다 누가 잘 有餘(유여)하게 함으로서 天下(천하)를 받들 것인가 오직 道(도)를 가진 자가 그러하다 할 것이라 이래서 聖人(성인)은 하시어 놓고도 그것을 미덥게 생각 아니하시고 성공하여 놓고 거기 安住(안주)하시려 들지 않으시는데 이는 곧 그 顯明(현명)함을 드러내 자신을 자랑코자 아니하시고자 하시기 때문이다
矢威(시위)를 당기게되면 그렇게 활이 양가에가 가운데로 오무라드는[우글어 드는] 것을 볼 것 같으면 그 윗 부분은 내려오는 것 같고 아랫부분은 들어올려지는 것 같이 보인다는 것이다 이것을 多益謙(부다익겸)이나 輔弱抑强(보약억강)의 원리에 맞추어 보았다는 것인데 所以(소이) 上(상)을 남아도는 것으로 보고, 下(하)를 不足(부족)한 것으로 譬喩(비유)하였는데 그 矢威(시위)를 당김으로서 上下(상하)를 均衡(균형)점에 가깝게 操縱(조종)하려 하여 본다는 것이리라 이것은 水平(수평) 論據(논거)를 말하는 것인데 所以(소이) 요새 그 이미 실험에 失敗(실패)한 것이나 마찬 가지인 그 共産主義(공산주의)理論(이론)과 같은 원리를 지금 老聃(노담)이 力說(역설)하고 있다봐야 할 것이다
垂直(수직)을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水平的(수평적) 대등한 관계를 중시한다는 것으로서 上下(상하) 身分(신분)의 격차를 줄인다 段階(단계)를 줄인다 그래선 서로간 가깝게 한다 그러므로서 違和感(위화감)을 덜 심하게 만든다 이런 원리인데 지금 와서 본다면 共産(공산)理論(이론)이 資本主義(자본주의)에 한테 敗北(패배)한 이론인 것인지라 人民(인민)에게 그 솔깃 하게 하는 欺瞞(기만)이론이요 어느 野心家(야심가)가 세상을 爭覇(쟁패)하겠다는 데서 비롯된 그런 百姓(백성)을 속이기 위한 하나의 수단 방편이 되었다는 것으로서 그 理想(이상)은 그럴듯하나 현실적 應用(응용)에 있어선 乖離(괴리)감을 가져와선 성공을 보지 못하였다는 것이리라
野心家(야심가)의 욕구를 채워주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불과한 것이지 수평을 중시하는 이론은 결국은 전체적인 발전의 沮害(저해)를 가져와선 그 사회는 도태 몰락하고 만다는 것인지라 그 樹直連係(수직연계)에 의해 달려가는 논리에 패배하게 되어 있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드러난 세상의 돌아가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蕩平策(탕평책)이라 하는 것은 힘 가진 자가 그 힘을 誇示(과시)하는데서 비롯되는 것이지 所以(소이) 支配者(지배자) 治者(치자)가 그 그럴사하게 백성을 구워 삼는데 동원되는 하나의 術策(술책)에 불과한 것이지 그것이 진정 무슨 바른 원리는 되지 못한다는 것이고 영원불멸의 眞理(진리)는 아니라는 것이리라
垂直(수직)의 폐단은 上下(상하)의 隔差(격차)가 너무 벌어져선 그 階層(계층)간의 葛藤(갈등)이 심화된다는데 단점이 있다 이것만 잘 극복한다면 그 수평적이 정체의 이론보다 훨씬 낫다는 것인데 역시 그 계층을 논한다는 것은 아랫 된 무리들로 하여금 抵抗(저항)을 갖게하고 거부반응 挑戰(도전)을 일으키게 하고 不屈(불굴)心(심) 이런 것을 부추기게 하며 自尊心(자존심)을 훼손하는 行態(행태)를 띤 모습을 指向(지향)하는 것이 된다 할 것임에 역시 크게 환영할 바가 못된다 할 것인지라 그 수직 수평의 중간을 採擇(채택) 한다는 것이 바로 斜視的(사시적)인 휘어 감김의 논리 소이 螺旋形(나선형)을 主唱(주창)하게 되는 것인데 이것 역시 奸邪(간사)한 면모를 드러내는 것을 不正(부정)할 순 없을 것이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어떠한 사상이나 制度(제도)라도 모두가 長短點(장단점)이 다 있는 것으로 그 주장을 내어 놓기가 매우 조심스럽지 않을 수가 없다할 것이다
個人(개인)의 能力(능력) 差(차)를 중시하다보니 共産(공산)理論(이론)은 자연 붕괴되는 것이고 개인의 능력을 중대하게 값어치 쳐 주다보니 그 사회의 갈등은 점점 더 심화되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이런 것을 조화롭게 균형 있게 만든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작업이 아닌 것이다 어떻게 하면 누구나 대등한 신분 계급 없는 사회 이런 것을 만들 것인가 너나 일색 동무를 만든다면 그 격차로 인한 怨聲(원성)은 없을 것이라는 것이리라 그런데 사람의 심상이 하나같이 못해서 그 무슨 象(상)에 대하여선 권태 염증 내기를 즐긴다 차라리 신분이 낮을 지언정 그 즐거움과 일대 변혁 大活躍(대활약)을 하는 力動的(역동적)인 것을 채택 하려드는 수가 허다 하다는 것이라 신분은 낮지만 어사또 앞에 역패랭이가 되어선 권선징악 판이 벌어지는데 동원되어선 변삿또 두둘겨 패주는 신나는 역을 맡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그런 욕구를 채워주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세상의 돌아가는 이치라는 것이다
그래서 상하 차등 신분이 생기고 그 配役(배역)을 달리하여선 인생무대 세상무대를 설치하고선 공연을 하게 된다는 것인데 배역을 잘 맡은 자는 그 무대에서 재미나는 역을 무난하게 잘 소화해 낼 것이지만 껄그러운 배역을 맡은 자는 그 해내기가 매우 거북하다할 것이다 바로 이런 것을 말하여 주는 것이 이 세상의 연극무대인 것이다
수직연계를 좋아하는 것은 따지고 보면 鬼神(귀신)崇尙(숭상)主義(주의)인데 이 것 역시 하나도 반가워 할 것이 없는 것이 자기 줏대를 심어 논 것이 인간이라 할 것인데 그 자신을 버리고 힘 가진 세에 阿附(아부)하여선 그 雨傘(우산)의 힘을 입고 그 힘 가진 귀신을 숭상하자는 것인데 어찌 또한 뜻 있는 자로 하여금 嚬蹙(빈축) 거부감을 가져오지 않게 하겠는가 이다
그러므로 수직연계는 맹목적 쫓을 것을 강요하는 것인지라 그 하나도 좋은 방식이 아니라할 것이고 인간의 두뇌에다간 대고 그 宿住(숙주) 거프집을 삼겠다고 주술적 碎腦(쇄뇌)工作(공작)을 펼치려드는 것인지라 그 좋게 보일리 만무라는 것이리라
아무리 발전이 좋지만 역시 냉혹한 현실을 만들려하는 것으로서 그 따라오다 지친 무리들은 줄이 끊기듯 역시 淘汰(도태)되라는 논리 그래선 먹이 감이 되어 주라는 그런 논리인 것인지라 그 무슨 추앙 할 건덕지가 하나도 없는 싸가지 하나도 없는 이론이라 할 것이다 그 무슨 좋은 방향으로 접어들게 하는 새움 싹이 될만한 것이라야만 순종을 할 수 있는 것인데 그 비윗장을 긁어 놓으려 하는 이론 하테 어찌 순응하고 고개 수그리고 들어간다 할 것인가 이다 所以(소이) 尊心(존심)이 있는 자로 하여금, 속에 들은 것 없지만 '내 배째' 하는 식으로 배를 내 밀게 하는 그런 논리가 바로 垂直(수직)을 崇尙(숭상)하는 무리들의 주장이라 할 것이다
또는 드러운 꼴 보기 싫어선 더러는 거러 넘기려 하는 무리들도 생겨날 것인지라 그 거짓 항복하는 모양새를 띠어선 파고들어선 고만 씨름선수 이승삼이 처럼 등배지기 한판의 화려한 생쇼를 보여 주려 하는 자도 더러 있을 것이라는 것이리라 그 세상 밖 귀신 관객한테는 흥미진진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 될 것이지만 그 거기 동원되는 등장인물 配役(배역)한테는 忍苦(인고)의 시간이 되지 않는가 하여보고, 그렇게 그런 쇼를 助長(조장)하려는 무리들이 바로 樹直連係(수직연계)를 좋아하는 귀신의 무리들이라 할 것이다
세상이나 인간을 자기들 즐기는데 동원데는 하나의 소품 정도로 여기는 것이 바로 수직 귀신 숭상 논리 인 것이다 그 무슨 개뼉다귀 같은 神人(신인)合德(합덕)이요 合發(합발)이요 하는 酬酌(수작)들인가 ? 이는 모두가 심심무료 해서인지는 몰라도 온전한 심신을 갖고 온전치 못한 연극무대 탈춤이나 그 바보 분장을 스스로들 하여 보겠다는 것인데 온전한 것이 권태 싫증 소이 염증이 생겨선 발광하는 자들인지라 마땅히 그렇게 미쳐 돌다간 그 뒈진다 하더라도 하나도 그 동정이 갈 행태 들은 아니라 할 것이다
소이 수직 좋아하는 귀신 무리들은 이 세상에서 고만 꺼져주는 것이 오히려 세상 인간들의 尊心(존심)을 살려선 자주 독립 시키는데 좋다할 것이다 귀신의 무리들이 理由(이유)없이 人間事(인간사)에 관여하여선 꼽싸리 참여하려 든다 할 것인가 이다 다 그 무언가 노리는 꼼수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인데 인간의 두뇌영역이 아니면 자기들의 존재를 확인하여 볼 수 없는 것으로 宇宙(우주)가 구성되어 있는 모습인지라 그래서 우에든 인간의 대갈 바리에 파고들어선 그 자신들의 宿住(숙주)를 만들어선 그 사람의 생활을 조종하려 든다는 것인지라 아주 극악하고 사악 무도한 것이 바로 귀신세계의 일거수일투족이라 할 것인데
이런 귀신 무리들을 인간세상으로부터 떼어놔서 야만이 진정코 인간들이 바로 서기를 잘한다할 것인지라 일체 의존적 의타성을 버리게 함으로서 세상은 좋은 방향으로 크게 번창 발전을 볼수 있는 것인 것이다 그러므로 사악한 수직연계를 주장하는 귀신의 무리들을 모두 淘汰(도태) 시킬 필요가 있다할 것임에 일체 무슨 이념사상에 의한 가르침을 주장하는 대갈바리들을 모두 쇠꼬쟁이나 죽창을 찔러선 아작을 낼 필요가 있다할 것이다
일체 종교적 귀신에 오염된 무리들을 모두 李斯(이사)의 주장처럼 焚書坑儒(분서갱유) 하여 치울 적에 思想(사상)은 統制(통제)되고 귀신은 인간으로부터 隔離(격리)되어선 發狂(발광)들을 못할 것인지라 그렇게됨 세상은 무한한 번영을 구가하게 된다 할 것인데 여지 것 그렇게 귀신의 무리들이 태클을 걸어옴으로부터 발전의 장애가 생겨선 갖은 不美(불미)스러운 것이 인간의 두뇌에서 창출하게 된 것인데 따지고 보면 그 創出(창출) 되었다 하는 것이 귀신이 인간의 두뇌를 手足(수족)화하여 부린 것이 그렇게 드러났다는 것인지라 그러므로 역사적인 잘못된 것은 모두 귀신 넘들이 해악을 펼친 결과에서 생긴 것이라 할 것임에 일체 사상은 우리인간의 원수인 것인지라 일체의 이념이나 사상을 추종해서는 안된다는 것인지라
소이 이럴가 저럴가 사마귀 머리 굴리듯 머리를 굴리는 것 자체가 바로 귀신의 從者(종자)역할 하는 것인지라 마땅히 망치로 대갈 바리들을 한 대 얻어들 맞아선 식물 인간이 되다시피 해서야만이 저들의 꼬봉 역할을 하지 않는다 할 것임에 소이 제갈량이 처럼 머리 굴리는 자들 부텀 잡아 족쳐야 한다는 것인지라 그게 바로 귀신의 괴뢰역할을 한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소이 돌 망치로 한대씩 주어 까는 속에 바로 정신 깨임을 하여선 제 모양을 찾는다 할 것인데 이것이 바로 별안간 깨닷게 하는 방법이 된다 할 것이다 소이 확철대오가 바로 이런 방법인지라 그 돌맹이로 한대 까 받아선 머리가 확 트이길 바라는 바라 그렇게 된다면 수직 귀신에 그 종자는 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대갈바리에서 더러운 혼신이 빠져 나갈 적에 魄[백=넋]만 남아선 세상은 참다운 면모를 보여준다 할 것이다
道(도)라하는 것을 갖고선 좌지우지하여 갖고는 그렇게 균형을 잡는다고 老聃(노담)이 큰소리 치지만 그렇게 제 맘대로 되는 것이 세상이치 아닌 것이다 항상 不測(불측)할 變數(변수)가 쫙 깔려 있음인지라 자기 주장대로 순순하게 응하여 주는 것만 있는 것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으라는 것이리라 그러니 전쟁이 있는 것이지 왜 懲討(징토)征服(정복)하려는 전쟁이 있겠는가 이다 순순히 항복 순응 못하겠다는 데서 전쟁을 하게되는 것이고 대갈바릴 까부시는 드잡이 질이 생기는 것인지라 그 누가 힘을 배양하여선 그 뿔치기를 잘 하느야 따라서 천하를 쟁패하는 關鍵(관건)이 달렸다 할 것임에 우선 힘을 잘 기르고 볼것인지라 修身齊家治國平天下(수신제가치국평천하)인지라 근접으로부터 차례대로 때려 누여나갈 적에 천하는 평정된다 할 것임에 주먹가보 잡아서 우선 가까운 동료부텀 두둘겨 패줘선꼼작 못하게 하고 차례대로 면장 군수 시장 도지사 이렇게 제압하여 나아가선 임금자리 대통령 자리 오른다 할 것임에 그 참피언 벨트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닌 것이다 그저 공격은 최대의 방어라고 쌍칼을 들고 접전을 해 들어 갈적만이 그렇게 파죽지세로 제압을 하여선 絶頂(절정)에 다다른다 할 것이다 그저 조폭 두목이 되다시피하여선 마구 두둘겨 패 나가야만 한다할 것인데 그런데 무슨 회장처럼 그러다간 창피만 당한다 할 것이라 그런 것도 다 요량 것 해야만 한다할 것이다
* 本文 第 七十七章 = 하늘 길이란 게 그 활을 당김 같은가?
높은 쪽은 억눌림되고 낮은 쪽은 들어올린다
여유가 있는 곳은 덜리고 부족한 곳은 도운다
하늘의 길 남음이 있음을 덜어서 부족함을 도우는데 사람의 길은 그렇지 못하다 부족한데를 덜어서 여유가 있는 곳을 받든다
누가 잘 여유 있음으로써 천하를 받들 것인가? 오직 길의 이치를 깨달은 자이다(*길을 가진 자이다)
이래서 성인은 위하여도 거기 의지하려 들지 않고 성공하여도 거기 안주하려 들지 않음이시라 그 욕망 없는 어짊을 보임이신가? (*그 어짊을 드러내고자 아니하심이시다)
* 하늘의길 그 활시위를 당김 같음인가? 윗 부분 치켜세운 것을 끌어내려 억제시키고 밑에 쳐진 쪽을 들어올린다 [ * 활이 반달형인데 그 줄에 화살을 메겨 시위를 당기면 그 윗부분은 자연 줄 당기는 바람에 내려오고 아랫 부분은 자연 올라가게 된다 ] 마치 남아도는 것은 덜어 재키고, 부족한 것은 도와 재키는 것과 같음인지라 소위 원만함을 추구한다면 아래위를 가운데로 모아선 양옆으로 그 줄과 활휨을 둥그렇게 하고자 함과 같은 게 그러한 모습이라 이래 여유 있는 걸 덜어 보이고 부족한 것을 채워 보이는 형태라 할 것이다
하늘의길 여유 있음을 덜고 부족한 것을 도우려드는데 오직 사람의 길만은 그렇치 못하여 부족함을 덜어선 여유 있는 곳에 받들면서 아부하려든다
누가 잘 여유 있음으로서 천하를 받드려 들 것인가? 오직 길을 가진 자만이 그러하다할 것이다 이래서 성인은 위하여도 미덥다않고 [ 持(지)의 誤字(오자)로 본다면 = * 이래서 성인은 위하고도 지니었다 하지 않고] , 성공 시켰으면서도 거기 머물지 않아선 그 어짊을 드러내고자 아니한다
*요는 남의 공과를 가로채려는 것이 소위 길을 주장하는 부류들이 아닌가한다 저가 거기 머물지 않고 제가 한 것을 확증적으로 드러내지 못한 다면야 어찌 저가 하였다고 우길 것인가 이다,
순전히 남이 이뤄 논 공과를 가로채려는 얄팍한 수작으로 비춰 보일 뿐이지 이런 것은 길이 아니고 감언 혹세로 사람을 현혹 시키는 것의 말장난에 불과하다 할 것이다 그래선 그 삶의 은저리에서 寄生(기생)하면서 좀먹는 좀 벌레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길을 주장하는 악덕에 무리들이 아닌가 한다
* 愚人(우인)이 운전면허를 따려하는데 그 정문으로 정식으로 따기는 실력이 좀 부족하고 불안한지라 이런 취약점을 잘 알고 이용하려 드려는 그 시험장 근처에서 배회하는 프락지들의 유인하여 말하길 내게 와이로를 쓰면 고만 시험 합격되는 것은 쉽다함에 그 화술에 그 넘어간다, 그래 돈을 줬더니만 시험에 붙으면 그 와이로를 써서 된 것으로 여기게 하고 그 낙방하면 그 약발이 약해서 떨어졌다 핑계를 대게 한다는 것이나,
길을 주장하는 부류들이나 그 한 바리에 실어도 짐이 지울지 않다 할 것이다
소이 그 시험관에게 가서 와이로 먹었느냐 물어 보지 못 할 줄 알고,그래하는 것이라 물어보게 되면 그 시험에 만약상 합격되었다면 제 실력으로 되었다하여도 그 면허 취 소 되는 것은 명약관화한 것이라 요런 약점을 알고 그 프락지 들이 기생하는 것이라 , 이처럼 저가 길인지 아닌지 그 된 바에게 제대로 물어봐선 확증 잡지 못 할 줄 알고선 고따위 수작의 변설을 내어 밷 는 것이라 고만 볼따귀 귀싸대기를 한데 올려 붙쳐선 얼얼하게 하는 것이 그 지극히 당연한 처사라 할 것이다
요는 축구 골을 넣은 선수가 무릅 꿇고 하나님이라 하는 있지도 우상귀신에게 기도하는 자세를 관중에게 보여선 환희에 찬 제모습 을 잘봐달라고 생쇼를 부리는 거와 같다할 것이니 이것이 지금 길을 주장하는 자들의 둘러대는 기롱 거림 이라 할 것이다
* 날더러 제대로 이해도하지 못하면서 비판만 하고 길을 헐뜯으려는 자라 할 것이 아니라 사실 그렇잖은 가 이런 내 논조다
* 사람들은 그 반감을 사는 말을 하지 않으면 자기 설정한 테에 갇혀선 그것만이 모든 것을 다 대변하는 진리인냥 벗어나질 못한다 이래 적개심이 일개 부추겨선 속상하게 해보는 것도 그 틀에 박힌 속에서 뛰쳐나오게 하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그저 남의 가슴팍을 후벼파는 속쓰림 일개하는 것도 그 사람으로 하여금 분발케 하는 한 방법이 된다 할 것이라 마구 고만 속상하게 해야만 한다 할 것이다
이래 악덕으로 몰려서는 빈축 손가락질을 받더라도 自他(자타)心(심)에 꼬소한 깨를 뽁는 다면야 어찌 간특한 꾀가 나쁘다고만 할 것인가 이래서 사람은 때로 奸(간)해야 한다 할 것이다 조조가 奸(간)함으로서 천하를 얻고 하늘이라 하는 귀신들의 떠 받듦으로 인해서 기리 역사에 빛날 업적을 낳았다할 것이다
저 잘났다 나대고 항상 진리이고 의리 편에 선냥 나대던 제갈량이 무슨 별볼일 있겠는 가이다 그 두고두고 점바치로나 기억되고 오장원이나 기산으로만 나올 줄아는 겁쟁이로만 기억될 뿐이지....
蘇註
소주
長弓上筋 弛弓上角 故以 天之抑高擧下 天無私故均 人多私故不均 有道
장궁상근 이궁상각 고이황천지억고거하 천무사고균 인다사고불균 유도
者瞻足萬物而不辭 旣以爲人已愈有 旣以與人已愈多 非有道者無以堪此
자첨족만물이불사 기이위인이유유 기이여인이유다 비유도자무이감차
爲而恃 成而處則 賢見於世 賢見於世 則是以有餘自奉也.
위이시 성이처즉 현견어세 현견어세 즉시이유여자봉야.
* 소씨주석하대,
활을 당김 사람당기는 팔 힘줄이 오르고 활을 놓으면 활 뿔다귀가 오른다 그러할진데 하물며 하늘의 높음을 억제하고 낮음을 들어올림이야 말할 나위 있을 건가?
하늘은 사사로움이 없음으로 균등하다 (*역자부언=하늘은 창공 빔이라 수량이나 질적으로 차등이 있을 수 없는 제로이다)
사람은 사사로움이 많음으로 균등하지 못하다 길을 가진자 만물을 도와주길 마다 않는다 *만물을 넉넉하게 하길 사양하지 않는다
이미 남을 위하대 몸보다 가진 것을 낫게 더 좋게 한다
이미 남에게 주길 자신한테 하는 것보다 많이 낫게 한다
길을 가지지 못한 자 이러함을 견뎌냄이 없다 위하고 난 다음엔 거기 의지하려 들고 이루고 난 다음 거기 머물려든다 곧 어짊을 세상에 보임이라 어짊을 세상에 보인다함은 곧 이렇게 하여서 남음이 있음 자신을 받들려 함인 것이다
呂註
여주
天之道無爲而已矣 無爲則無私 無私則均 猶之張弓也 高者抑之 下者擧之
천지도무위이이의 무위즉무사 무사즉균 유지장궁야 고자억지 하자거지
有餘者損之 不足者補之 適於均而已矣 夫天之道 非故以抑高而擧下也 無
유여자손지 부족자보지 적어균이이의 부천지도 비고이억고이거하야 무
爲任物之自然 則高者爲有餘 不得不抑而損 下者爲不足 不得不擧而益 滿
위임물지자연 즉고자위유여 부득불억이손 하자위부족 부득불거이익 만
招損謙受益 時乃天道是也 人之道 不能無爲 不能無爲則不能無私 不能無
초손겸수익 시내천도시야 인지도 불능무위 불능무위즉불능무사 불능무
私 則至於損不足以奉有餘 不足異也 夫唯有道者 知未始有物 而有爲之與
사 즉지어손부족이봉유여 부족리야 부유유도자 지미시유물 이유위지여
功名 皆我所餘 而天下之所不足而爭之 故損之以奉天下而不有此 故曰 孰
공명 개아소여 이천하지소부족이쟁지 고손지이봉천하이불유차 고왈 숙
能損有餘以奉天下 唯有道者 聖人則有道者也 是以爲而不恃功成不居 其
능손유여이봉천하 유유도자 성인즉유도자야 시이위이불시공성불거 기
不欲見賢者 無他 凡以法天之道而已矣.
불욕견현자 무타 범이법천지도이이의.
* 여씨 주석하대,
하늘은 함이 없을 따름이리라 함이 없으면 사사로움이 없다 사사로움이 없으면 균등하다 오히려 활을 당기는 것 같다 [*역자부언= 활이 아래위가 칭아가[차이가] 지고 사람도 가만히 있음 맥을 놓고 있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활쏠 대상이 있음 또는 대상을 강구해 활을 당기게 됨 활도 공평하게되고 사람도 힘줄 돋듯 힘을 쓰게되니 활과 사람이(*화살=사람) 서로 힘을 먹음은 모습이라 이래서 공평하게 된다]
높은 것을 억누르고 낮은 것을 들어 올린다 여유 있는 것을 덜고 부족한 것을 도운다 균등함에 맞을 따름이리라
무릇 하늘의 길 높음을 억눌르고 낮음을 들어올리는 그런 게 아니라 하염없는 만물의 맡음이 절로 그러한지라 여유가 있는 것은 부득불(아니함을 얻지 못하나= 마지못한 것이거나 그 뜻은 비슷하다) 억눌리게 되어 덜어지고 밑에 있는 것은 부족한지라 부득불 들어 올려져서 더함을 받게된다 (*소위 자연풍화작용에 의해서 산은 깍이게 되고 웅덩이는 메워지게 되니 높은 건 덜리고 낮은 덴 더해진다는 의미이다)
가득함은 덞을 부르고 겸손함은 더함을 받는다 이게 바로 하늘 길이라 하는 것이다 *또는 때로 인하여 하늘 길 바로 이러함이다 (*바르어 진 모습이다)
사람의 길은 함없음을 잘하지 못하는지라 함 없음을 잘못하면 사사로움 없음도 잘못한다 사사로움 없음을 잘못하면 부족함을 덜어선 여유 있는 댈 받들게되는데 이르는데 넉넉히 다르지 않다(*받들게 되는대 이르는데 달리 부족하지 않다)
무릇 오직 길을 가진자 비로소 사물을 가짐이라서 위 함 둠과 더불어 공명 모두 내게 여유 있는 것이라 하여서 천하의 부족한바와 다투려들지 않을 것을 앎이라
그러므로 덜어서 천하의 이처럼 가지 못한 것을 받들음인지라 그런까닭에 말하길 누가 여유 있는 걸 잘 덜어서 천하를 받들 것인가? 결론컨대 오직 길의 이치를 깨달은자 (*길을 가졌다는 것은 깨달음을 얻어 여유롭다는 것이다 그 여유로움을 천하에 편다는 뜻임) 라 함인(*함일) 것이다
성인인즉 길의 이치를 깨달아 갖고 있는 자라 이래서 위하시고도 의지하려 들지 않고 이룬 공적이 계시고도 머물르지 않아 그 어짊을 드러내고 자 아니하시는 것은 다른 게 없다 무릇 하늘 길을 법함으로써 그러할 따름이시리라
朴註
박주
不足而抑之 擧之損之補之 天道亦然常 損有餘 而補不足 奈何人之道 則
부족이억지 거지손지보지 천도역연상 손유여 이보부족 내하인지도 즉
不然損下之不足以益上之有餘 民奉君 薄於人厚於己 此殆反乎 天之道
불연손하지부족이익상지유여 여민봉군 박어인후어기 차태반호 천지도
矣 夫孰能施其有餘 以奉天下元元之所 不足者 其唯有道者 可以能之乎慈
의 부숙능시기유여 이봉천하원원지소 부족자 기유유도자 가이능지호자
儉 我之所有餘而用之不窮 旣以爲人而已 愈有此有道之所 以奉天下者也
검 아지소유여이용지불궁 기이위인이이 유유차유도지소 이봉천하자야
不欲見賢 言旣以有餘 而奉天下人 不時其能不居디功 爲其不欲見賢故也
불욕견현 언기이유여 이봉천하인 불시기능불거디공 위기불욕견현고야
見賢則 有誇矜 自大之心 而失其所以賢矣
견현즉 유과긍 자대지심 이실기소이현의
* 박씨 주석하대,
부족해서 (*여유 있는 걸) 억눌르고 (*낮은걸)들어올리고 (*높은걸)덜고 (*낮은걸)도우고 함은 하늘 길 역시 그러하나 늘상 여유 있음을 덜고 부족함을 도움은 무엇을 뜻함인 것인가? (*역자부언 상황따라 때에 따라선 그반대 의미가 넉넉치 못한 것을 보완한는 것이라 그래서 박씨 주석은 不足而 抑之 擧之損之補之天道 亦然 = 부족이 억지 거지 손지 보지 역연 천도 이라 했다)
사람의 길인즉 그렇치 못해 밑에 부족한걸 덜어서 위의 여유있는델 더함인지라 검은머리 염려 많은 백성들이 임금을 받들음에 백성들의 삶을 야박하게 하고 자신에게만 두터웁게 만 하니 이는 자못 하늘의 길과 반대 됨 이리라 (*반드시 그렇다는 게 아니라 이런걸 삼가 경계하라는 옛 철인의 노파심의 말씀이리라)
무릇 누가 그 여유있는 것을 잘펴서 천하에 크고 크게 부족한 바를 받들을 것인가? 그 오직 길의 이치를 깨달은 자 바르게써 자애와 검소함에 의해서 잘 할 것이라 내가 가진바 여유 있어서 씀에 궁색치 않음이라 이미 사람들을 위하여 자신보다 가진 것을 낫게 함인지라 이러한 길을 가지고서 소이 천하를 받드려는 자 어짊을 드러내고자 않는다 이미 여유 있어서 천하를 받드는 사람은 그 능력에 의지하려 들지 않고 그 공적에 머물를려 않음인지라 그는 어짊을 드러내고자 않기 때문이다 어짊은 드러내면 자랑과 긍지로써 스스로 크다하는 마음을 가짐이 라서 그 소이 어짊을 잃어버리게 되리라 (*소이 공자 제자가 공자 항상 어짊을 말함으로 선생님은 어질으 십니까 물음에 공자 편치 않해 답하길 '누가 어질단 말인가?' 하는 거와 같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