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미그다린(Amygdalin)이란 무엇인가?
시안배당체(cyanide-glycoside)의 일종으로 「비타민 B17」 또는 「레이어트릴(Laetrile)」이라고도 한다. 체내에 들어가면 암세포에만 다량 들어 있는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에 의해 시안화수소를 유리시켜 암세포를 죽인다.
약 1,200여종에 달하는 수 많은 식물체의 과일,씨앗,잎,줄기 등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특히 살구, 복숭아, 서양자두, 비파, 사과, 아몬드 등의 씨앗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참고> 분자량 : C20H27NO11 |
기침을 억제하는 진해제로 사용되며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 유독 물질인 시안화수소(HCN, 청산)가 생성된다.
아미그다린(비타민 B17)은 1952년 미국의 생화학자 크레브스(Dr Ernst T. Krebs, Jr.) 박사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크레브스 박사는 살구씨에서 지방을 분리한 후 40도에서 알코올 처리하여 비타민 B17 성분을 결정체로 분리해 이를 「레이어트릴(Laetril)」로 명명하였으며 레이어트릴(아미그달린, B17)은 항암효과 외에도 통증 완화·혈압조절·조혈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였으며 두 아들과 함께 아미그다린을 암의 예방 및 치료약으로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아미그다린(비타민 B17)은 Nitriloside 계열의 물질로 지난 수십년간 가장 논쟁의 대상이 되어 온 비타민이다.
미국 FDA는 암환자의 치료에 아미그다린(비타민 B17)을 사용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호주, 브라질, 벨기에, 영국, 독일, 그리스, 인도, 이스라엘, 이태리, 일본, 레바논, 멕시코, 스위스, 러시아, 필리핀, 베트남 같은 곳에서 암환자의 치료에 사용되어 오고 있고 실제 항암효과가 있음을 보고하는 세계 각국의 의사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아미그다린이 맹독성이라는 이유로 법적으로 사용을 금하고 있는 FDA의 입장과는 정 반대로 「독성은 암 세포에만 영향을 미치고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미국 FDA는 왜 아미그다린(Amygdalin)의 사용을 금하고 있는가? |
「암 없는 세상(World Without Cancer)」의 저자 에드워드 그리핀(Edward Griffin)은 그의 저서 제1장 「THE WATERGATE SYNDROME」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 FDA에 의해 약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해 미 정부에 조언하는 데 고용된 전문가의 반 이상이 그 조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제약회사들과 금전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다
※아미그다린을 암환자의 치료에 사용하도록 허가할 경우 당시 항암제를 판매하는 제약회사의 경영에 치명적이며 따라서 제약회사는 조언에 고용된 전문가의 반 이상을 금전으로 매수하여 아미그다린의 사용 허가를 방해하였다는 주장임
▷ 조언에 고용되어 아미그다린의 사용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였던 의사가 자신의 암 치료에 아미그다린을 사용하였다
※아직도 아미그다린에 대하여는 그 사용에 대하여 찬반 양론이 팽팽하게 대결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 동양의학에서의 아미그다린(Amygdalin) |
중국의 본초강목, 우리나라의 동의보감 등에는 살구씨를 행인(杏仁)이라 하여 각종 처방에 한약제로 두루 사용하여 왔던 것을 알 수 있다.
20세기 중반에 접어들어서야 그 효능을 발견하고 호들갑을 떠는 서양의학 또는 과학에 비해 동양의학이 우수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 하겠다.
아미그다린(비타민 B17, Laetril)이 에드워드 그리핀의 저서 제목과 같이 우리 인류에게 암 없는 세상을 만들어 주기를 기대해 보며 암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우와 가족들에게
한번쯤 『World Without Cancer』의 구독 또는 「Worldwithoutcancer.org.uk」이라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아미그다린에 대한 정보를 접하시기를 권하고 싶다.
다음은 아미그다린의 함유량이 높은 식물에 대해 알아보자 |
○ 아미그다린(Amygdalin)의 함유량이 높은 대표적인 식물의 순위
참조>미국의 유명한 식물학자 Dr. Duke's 의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종 |
부위 |
최저(ppm) |
최고(ppm) |
참조 |
Prunus armeniaca (살구) |
Seed |
80,000 |
80,000 |
HHB |
Prunus persica (복숭아) |
Seed |
25,500 |
60,000 |
DUKE1992A |
Prunus domestica (서양자두) |
Seed |
25,000 |
25,000 |
HHB |
Eriobotrya japonica (비파) |
Seed |
- |
14,000 |
CCO AllHerb1998 |
Malus domestica (사과) |
Seed |
6,000 |
13,800 |
DUKE1992A |
Prunus persica (복숭아) |
Leaf |
- |
10,000 |
DUKE1992A |
Prunus dulcis (아몬드) |
Seed |
2,000 |
8,500 |
HHB PH2 |
Cydonia oblonga (유럽모과/마르멜로) |
Seed |
- |
4,000 |
DUKE1992A |
Crataegus laevigata (서양산사나무) |
Leaf |
1,500 |
1,500 |
HHB |
Sorbus aucubaria (Rowanberry) |
Fruit |
343 |
617 |
DUKE1992A |
Black Cherry |
Stem Bark |
31,600 |
41,200 |
|
- HHB: List, P.H. and Horhammer, L., Hager's Handbuch der Pharmazeutischen Praxis, Vols. 2-6, Springer-Verlag, Berlin, 1969-1979.
- DUKE1992A: Duke, James A. 1992. Handbook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GRAS herbs and other economic plants. Boca Raton, FL. CRC Press.
- HHB PH2: Jim Duke's personal files
- FEL: Jim Duke's personal files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미그다린은 다양한 식물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발견되며 살구, 복숭아, 서양자두, 비파, 사과, 아몬드 등의 씨와 Black Cherry의 줄기 및 나무껍질, 복숭아 잎 등도 함유량이 풍부하다.
이 밖에 비파나무의 잎에도 아미그다린의 함유량이 풍부하다.
한편 중국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아미그다린의 함유량이 가장 많은 식물은 비파라는 주장이 있어 보다 구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미그다린에 대하여 일부 부정적인 견해도 있으나 만약 아미그다린이 인류를 암에서 구해낼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떻게 효율적으로 섭취를 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아미그다린의 함유량 서열 1~3위를 차지하는 살구,복숭아,서양자두 등의 씨앗은 수집에 어려움이 있거나 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살구나 자두의 경우 단단한 외핵으로 형성되어 채취에 어려움이 있거나 재배량이 많지 않으며 복숭아의 경우 씨앗과 과육의 비율을 감안하면 이 또한 효율적이지 못하다).
비파 씨앗보다 함량에서 다소 밀리는 사과의 경우 하루 3개정도를 씨 까지 통째로 섭취하면 되나 이 또한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비파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여기에 있다.....................................................
글쓴이 : 전원마을영농조합법인 대표 서영식 (http://www.namdofar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