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상왕(烽上王) - 또는 치갈왕(雉葛王)이라고도 한다 - 의 이름은 상부(相夫) - 혹은 삽시루(歃矢婁)라고도 한다 - 이며 서천왕의 태자다. 어려서 교만하고 의심과 시기심이 많았다. 서천왕이 (고구려를 다스린 지 - 옮긴이) 23년 만에 세상을 떠나니, 태자로서 왕위에 올랐다.
원년(서기 292년) : (왕은 - 옮긴이) 봄 3월에 안국군 달고를 죽였다. 왕은 달고가 아버지의 형제 항렬에 있으면서(즉 자신의 삼촌이면서 - 옮긴이) 큰 공업(功業. 공적[功]이 뚜렷한 큰 사업[業] - 옮긴이)을 세웠기 때문에, 백성들이 우러러보자 이를 의심하여 계획적으로 죽인 것이었다. 나라사람들(고구려의 백성들 - 옮긴이)은 말했다.
“안국군이 없었더라면 백성들이 양맥(梁貊)/숙신(의 침략 - 옮긴이)이라는 난(難 : 여기서는 ‘재앙’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 옮긴이)을 면하지 못했을 것인데, 이제 그가 죽었으니 장차 누구에게 의탁하겠는가?”
(그들은 - 옮긴이) 눈물을 뿌리며 서로 상심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가을 9월에 지진이 있었다.
2년(서기 293년) : 가을 8월에 모용외(慕容廆)가 (고구려로 - 옮긴이) 침입했다. 왕은 신성으로 가서 적을 피하려고, 행차하여 곡림(鵠林)에 이르니, 모용외는 왕이 나옴을 알고 군사를 이끌고 이를 추적하여 거의 미치게 되었으므로 왕은 두려워했다.
이때 신성태수 북부 소형(小兄. 고구려의 벼슬 이름. ‘실지’라고도 한다. 고구려의 열네 관등 가운데 열한 번째로 높은 벼슬이다. 중국으로 치면 정7품正七品에 해당된다 - 옮긴이) 고노자(高奴子)가 기병 5백 명을 거느리고 왕을 맞으러 나가다가 적(선비족 군사 - 옮긴이)을 만나 그들에게 분격(奮擊. 화를 내며[奮] 부딪침[擊] - 옮긴이)하니, 모용외의 군사가 패전하여 물러갔다.
왕은 기뻐하여 고노자에게 벼슬을 더하여 대형(大兄. 고구려의 벼슬. 고구려의 열네 관등 가운데 다섯 번째로 높은 벼슬이다. 중국의 정 5품에 해당된다 - 옮긴이)으로 삼고, 겸하여 곡림을 주어 식읍으로 삼게 했다.
9월에 왕은 그 아우 돌고(咄固)에게 ‘반역할 마음이 있다.’ 하여 죽음을 내렸다. 나라 사람들은 돌고에게 죄가 없으므로 슬퍼하며 울부짖었다. 돌고의 아들 을불(乙弗)은 (그의 집을 - 옮긴이) 나가서 백성들이 사는 곳에(원문에 쓰인 ‘야野’에는 ‘민간/백성’이라는 뜻도 있다. 따라서 직역하면 ‘백성[사이]에’가 되고, 이를 의역하면 ‘백성들이 사는 곳에’ -> ‘민간에’라는 뜻이 된다 - 옮긴이) 숨었다.
3년(서기 294년) : 가을 9월에 국상 ‘상루’가 죽었으므로, 남부(南部)의 대사자 창조리(倉租利)를 국상으로 삼고 벼슬을 더하여 대주부(大主簿)로 삼았다.
5년(서기 296년) : 가을 8월에 모용외가 와서 침범하여 고국(故國) 언덕에 이르러, 서천왕의 무덤을 보고 사람을 시켜 이를 파다가, 인부들 중에 갑자기 죽는 자가 생기고, 구덩이에서 음악소리가 들리므로 귀신이 있는가 두려워하여 곧 군사를 이끌고 물러갔다.
왕이 여러 신하들에게 말했다.
“모용씨는 병마가 강성하여 여러 번 우리의 국경을 침범하니, 어찌하면 좋겠소?”
국상 창조리가 대답했다.
“북부의 대형 고노자는 어질고 또한 용맹스럽습니다. 대왕(고고학 사료인 고구려의 금석문에 따르면, 고구려 사람들은 자기나라의 군주를 ‘태왕太王’이라고 불렀다 - 옮긴이)께서 적을 막아 백성을 편안하게 하려면 고노자가 아니고서는 쓸 사람이 없습니다.”
왕이 고노자를 신성(新城) 태수(太守)로 삼으니, 그는 선정을 베풀어 위엄을 떨치므로, 모용외는 다시 와서 침범하지 못했다.
7년(서기 298년) : 가을 9월에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을 죽여 백성들이 굶주리게 되었다.
겨울 10월에 왕은 궁실을 증축하여, (새 궁실이 - 옮긴이) 극도로 사치하고 화려하니, 백성들은 굶주리고 곤궁해지므로 여러 신하들이 (이 문제를 - 옮긴이) 자주 아뢰었으나 (왕이 - 옮긴이) 듣지 않았다.
11월에 왕은 사람을 시켜 을불을 수색하여 죽이고자 했으나, 찾지 못했다.
8년(서기 299년) : 가을 9월에 귀신이 봉산(烽山)에서 울고, 객성(客星. 한때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별. ‘혜성’이나 ‘신성新星’을 이렇게 불렀다 - 옮긴이)이 달을 범했다. 겨울 12월에 우레(천둥을 일컫는 순우리말 - 옮긴이)와 지진이 있었다.
9년(서기 300년) : 봄 정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2월부터 7월까지 비가 내리지 않으므로,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서로 잡아먹었다. 8월에 왕은 나라 안에서 열다섯 살 이상인 남녀를 징발하여 궁실을 고쳐짓게 하니, 백성들은 끼니에 주리고 일에 지쳐, 이로 말미암아 달아났다.
창조리가 (왕에게 - 옮긴이) 아뢰었다.
“천재가 자주 닥쳐 곡식이 익지 않으므로, 백성들은 살 곳을 잃어, 장정들은 사방으로 흩어지고 노인과 아이들은 구렁에서 뒹굴게 되었으니, 이는 참으로 (왕께서 - 옮긴이) 하늘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근심하여, 조심하고 반성하실 때입니다.
대왕께서는 일찍이 이는 생각하지 않으시고 굶주린 사람들을 몰아 나무와 돌의 역사(役事. [아랫사람을] 부리는[役] 일[事]. -> 토목/건축 공사 : 옮긴이)로 (그들을 - 옮긴이) 괴롭게 하시니, 이는 (대왕께서 - 옮긴이) 백성들의 어버이가 되신 뜻에 매우 어긋납니다.
더구나 가까운 이웃에는 강한 적(문맥상 사마염의 서진 왕조가 아니라 선비족으로 보인다 - 옮긴이)이 있으니, 만약 우리가 피폐한 틈을 타서 쳐들어온다면, 사직과 백성을 어찌 하겠습니까? 제발 대왕께서는 깊이 생각하소서.”
왕은 노해서 말했다.
“임금이란 백성들의 우러러보는 바이니, 궁실이 장엄하고 화려하지 못하면 (백성들에게 - 옮긴이) 위엄을 보일 수 없소. 이제 국상은 나를 비방하여 백성들에게 칭찬을 받으려 하는 것이오?”
창조리가 말했다.
“임금이 백성을 사랑하지 않으시면 어진 임금이 아니오며, 신하가 임금께 (사실을 정직하게 - 옮긴이) 아뢰지 않으면 충신이 아닙니다. 신이 이미 국상이라는 자리를 채우고 있으니 감히 말씀드리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어찌 감히 백성들에게 칭찬을 구하겠습니까?”
왕은 웃으며 말했다.
“국상은 백성을 위해서 죽으려 하오? 다시는 말하지 말기 바라오.”
(왕의 말을 들은 - 옮긴이) 창조리는 왕이 허물을 고치지 않을 것을 알고, 또한 (그에게 - 옮긴이) 해가 미칠까 두려워하여, 물러나와 여러 신하들과 함께 모의하여 왕을 폐하고, 을불을 맞아 왕으로 삼았다.
왕은 화를 면하지 못할 것을 알고 스스로 목매어 죽고, 두 아들도 또한 따라 죽었다. 봉산(烽山) 언덕에 장사지내고, 시호를 봉상왕(烽上王)이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