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입냄새]
입안의 침은 항균 작용을 갖고 있어 입안의 세균을 제거하고 청소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분비가 줄어들면 여러 병균들이 증식을 하고 이로인해 냄새가 나는데
밤에 잠을 자는 동안에는 정상적으로 침의 분비가 줄어 들게되고
그 결과 자고 일어나면 입냄새가 생기게 됩니다.
입이 잘 마르고 건조하거나 입으로 숨을 쉬는 경우,
입마름을 동반하는 약을 복용하는 경우 같은 원리로 냄새가 납니다.
생리적인 입냄새
생리적인 입냄새는 생리현상에 의한 것으로 일시적인 것이 특징이다. 아침 기상시 구취,공복시 구취, 연령에 의한 구취, 월경시 구취, 음식물과 약물에 의한 구취 등이 이에 속한다.
a) 기상시 구취
취침시 타액선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휴지상태에 들어가 구강운동이 저하됨에 따라 음식물 잔사가 축적,부패돼 일어나는 것이다.기상시 구취는 대화를 통해 해결된다.
b) 공복시 구취
아직까지 그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음식물에 의한 타액분비가 공복시 감소되어 태액의 자정작용이 떨어지게 되며 미생물이 번식함에 따른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공복구취는 과일이나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물을 섭취하면 해결된다.
c) 연령에 의한 구취
연령이 많을수록,특히 중년기와 노년층에서 좋지 않은 냄새가 나게 되는데 연령에 다른 체취변화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d) 월경에 의한 구취
배란일 전후 이틀과 월경기간에 휘발성황화합물량이 2-4배 증가하고 중간 난포기와 중간 황체기에도 다소 증가됨에 다른 것으로 보여진다. 그밖에 음식물과 약물도 입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경우 대사물질이 폐를 통해서 배출될 때 입냄새가 유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