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다양한 궁체 선보이기
과녁 옆으로 서기 궁체
1. 터키 활 카트라 기법, 활터 주류궁체인 막줌 게발깍지
2. 카트라 제2기법, 윗장밀기
3. 카트라 제3기법, 윗장밀고 줌통 90도 내전하기
4. 조영석 명궁의 정연궁체론에서 선보인 줌팔과 깍지팔의 좌우 벌리기
과녁 정면보기 궁체
5. 온깍지 궁체, 줌손 고정 깍지손 뒤로 맹렬히 채주기
6. 대한궁술원 장영민원장 궁체, 줌손 하삼지를 풀어 활장이 180도 회전하여 시위가 과녁을 향하게 하고 깍지손은 뒤로 맹렬히 채주기
7. 북관유적도첩 8폭 병풍 그림같이 쏘기, 줌손 고자채기, 깍지손 손바닥 하늘보기
8. 북관유적도첩 그림같이 쏘되 장거리를 쏘기 위해서 줌손은 고자채기 깍지손은 많이 채주기
9. 서유구 선생의 사결에서 말하는 윗고자가 신발로 향하는 맹렬한 활쏘기
첫댓글 대체로 선보이는 순서대로 막줌 턱밑살대 게발깍지 궁체가 가장 덜 맹렬한 저급한 활쏘기 궁체가 되고, 순서대로 끝으로 갈수록 맹렬함이 강한 궁체가 될 것입니다.
신체정면과녁 이마바루서기 조선의 궁술에 북관유적도첩 8폭 병풍 그림같이 맹렬한 고자채기를 하면서 풍석 서유구 선생의 사결처럼 윗고자가 신발 끝으로 향하는 궁체가 현존하는 궁체중 가장 맹렬한 궁체가 될 것입니다.
똑같은 힘을 들이고 쏜다면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고 가장 맹렬하게 쏘는 궁체로 활을 배우고 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런 의미에서 잘 쏘지는 못하지만 여러궁체를 선보였습니다.
정면보기 궁체에서 7. 8. 9번 활쏘기는 책 조선의 궁술과 청교 장언식공의 정사론을 충실히 따르는 전통 궁체에 해당 할 것이고, 5번 6번은 조선의 궁술과 정사론을 벗어난 궁체로 전통궁체라고 보기에는 문제가 많다고 생각됩니다.
행여 궁체를 따라 하고 싶으신 분은 9번 궁체를 연마하도록 하시면 후회없는 활쏘기를 배우실수 있을 것입니다.
@한산 9번이야말로 선생님의 상징과도 같은 궁체아닙니까? 이런 소중한 유산을 직접 복원하셨는데 세상에 많이 알려지지않아 아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