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 베트남어를 처음 접하는 보통의 한국인이라면 베트남어에 대해 얄궂고 혼란스럽다는 인상을 받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한국사회에서 외국어의 대명사격인 영어의 억양과는 딴판으로 '팅 통 탱 퉁' 하는 외마디 소리를 튀겨대는 호리호리한 여인네들은 마치 난타의 실로폰 연주를 연상시킨다. 성품 느긋한 시골남자를 만난다면 나귀 되새김질 소리마냥 구스렁대는 느낌이 될 수도 있겠다. 엄지손가락을 들어보이며 한꾸억' 하는 장사꾼이 제법이다 싶었는데, 코리아' 라고 알려주면 어린 아이들도 한꾸억' 하고 받아내니 희안한 일이다.
말은 그렇다치고 베트남 문자는 또 왜 이리 야리꾸리한가! 우리는 한글, 중국은 한자, 일본은 가나문자를 쓰는 것을 너무도 당연하게 여겨온 터인데, 코가 뾰족하지도 않은 사람들이 꼬부랑 글씨를 자기네 나랏글이라고 둘러대니 엉뚱해 보인다. 영문 알파벳 위에 왠 점이며 작대기를 복잡하게 얹어놓아 글꼴 모양만으로도 어질어질하게 하는지? 벽에 걸려 있는 세계지도를 보면 중동의 사막을 Sa Mạc 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6 종류의 성조가 있는 고립어 구조인데다 어순마저 한문과 비슷해서 언뜻 중국어에 유사하게 느껴지지만 베트남어는 크메르어 등과 함께 남아시아 어족으로 분류된다. 베트남어를 모국어로 구사하는 지구상의 인구는 약 7800 만명으로 사용자 수에 있어 한국어와 엇비슷한 규모이다. 베트남어의 모어는 현재의 베트남 북부 내지는 중국 남부지역에서 형성되어, 이 언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이 홍강 유역에 정착한 후 점차 남진하는 과정을 거쳐 현재와 같은 언어분포를 이루게 되었다는게 정설이다. 이런 관계로 베트남어는 북부와 남부 지방에서 어휘 및 발음의 차이를 보이는데, 북부 베트남어가 표현이 정확하며 발음이 날카로운데 반하여 남부 베트남어는 표현이 간결하며 발음이 부드럽다. 후한(後漢)의 명장 마원(馬援)에 의해 정복된 이후 1000 년에 걸친 중국 지배기간을 통하여 베트남에 한문이 표기수단으로 보급되고 한자어휘가 다량으로 베트남어에 유입된 관계로 한국어와도 유사한 발음을 가진 말들이 많다.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베트남어 Hàn Quốc 은 韓國 에서 사막을 뜻하는 베트남어 Sa Mạc 은 沙漠 에서 온 것임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1>
영문자에 바탕한 현재의 베트남어 표기체계 도입은 17세기 무렵 베트남에 머물던 포트투칼 등 유럽 선교사 집단에 의해서이며, 20세기 중반까지 이어진 프랑스 식민통치 기간 중에 표기체계가 정립되고 전국적인 보급이 이루어졌다. 베트남어 문자는 Arial 등 주요 영문폰트에 유니코드 형태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대부분의 베트남어 웹문서는 한글 윈도우 환경에서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읽을 수 있다. MS워드 등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VISCII, VIQR, CP1258 등 다른 방식이 사용되기도 하므로 해당 폰트의 지원이 있어야 변형없이 읽을 수 있다.
베트남을 일생일대 도전의 무대로 삼겠노라고 호언하는 사업가며 직장인들이 많다. 당신이 이런 사람들 중의 하나이거나, 또는 일상의 식탁을 베트남 사람과 나누며 작은 행복을 꿈꾸고자 한다면 제일 먼저 베트남어를 배우는 용기를 필요로 할 것이다. 인류역사를 피로 물들여온 너와 우리 편가름의 발단이 바벨탑 아래의 말가름' 이었다고 설명하는 성경구절에 약간의 의미라도 부여한다면 이 어찌 그냥 넘길 일이겠는가
베트남어 tiếng Việt tiếng Việt Nam, Việt ngữ 는 성조어로서 베트남의 국어이며 공용어이다.
베트남민족 정확게 표현하자면 베트남 낀족 người kinh 의 모어이며, 베트남 인구의 87% 와 미국 프랑스 등에 거주하는 약 2 백만명의 베트남인 공동체 및 캄보디아 등 인접국 접경지역에서 상용되는 언어이다. 베트남내 소수민족 인구의 대부분도 베트남어에 대하여 이해력을 가지고 있다.
총 사용자수는 약 7800 만명으로 지구상의 언어 중 14 번째로 사용자가 많다.
베트남어 어휘의 많은 부분이 중국어에 기원을 두며 전통사회에서 오랜 기간 한자를 사용해온 관계로 베트남어는 중국어에 유사해 보이지만, 언어학상 베트남어는 크메르어 등과 함께 남아어족에 속한다. 현대 베트남어 표기는 영문자와 같은 라틴 알파벳에 성조부호를 더한 형태의 표음문자 체계로 이루어진다. |
베트남어의 원형은 현재의 베트남 북부지역인 홍강유역에서 형성된 후, 북부인들이 베트남 중부지역에 위치했던 인도문명의 참파왕국을 격파한 후 16세기 후반에 당시 크메르계 민족이 지배하던 남부 메콩델타 지역까지 남진하는 과정을 통하여 오늘날과 같은 지리적 분포를 이루게 되었다.
고대에서 중세에 이르는 약 10 세기에 걸친 중국 통치기간 동안 중국어는 베트남 지배층의 언어가 되었으며 행정에 한문이 사용된 관계로 모든 영역에 걸처 한자계 어휘 Hán Việt 가 대량으로 베트남어에 유입되었다. 11세기 무렵에는 한자를 사용하여 베트남어의 음을 적는 쯔놈문자 chữ nôm 가 만들어져 베트남의 지식층 사이에 통용되기도 하였으나, 한자를 먼저 알아야하는 딜레마와 문자기능의 불완전함 등의 한계로 인하여 일반대중의 문자체계로 자리잡지 못하고 18세기 이후 쇠퇴하였다.
꾸옥응으 quốc ngữ 라 불리는 현재와 같은 베트남어 표기계통이 만들어진 것은 17세기로 당시 선교 통상의 목적으로 베트남에 머물던 포르트갈 등 유럽인들이 자신들의 문자체계를 이용하여 베트남어 발음을 표기하는 과정에서이다. 그럼에도 꾸옥응으는 오랜 동안 베트남에서 제한적으로만 보급되다가 약 3 세기의 세월이 지난 이후에야 베트남에서 국민적 문자체계로 채택된다.
1858년 다낭에 상륙한 프랑스 해군은 베트남을 점령하고 프랑스 식민통치를 시작하는데, 20세기 중반까지 이어진 프랑스 지배는 베트남의 언어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등장함에 따라 과거제도가 폐지되는 등 한자의 영향력이 퇴조하는 대신, 베트남 엘리트층이 프랑스어를 구사 하게되고 불어어휘 및 프랑스식 표현이 베트남어로 자리잡게 되었다. 프랑스 통치기간 중 베트남은 전통적 봉건사회에서 근대적 사회로 넘어가는 문물 제도의 변혁을 겪게되며, 새로운 사회환경은 일반대중이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문자체계를 절실하게 필요로 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꾸옥응으가 대안으로 제시되어 사회전반의 지지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신분제 철폐로 대중교육이 가능해진 사회여건은 새로운 문자체계의 신속한 보급을 가능하게 하였다.
꾸옥응으는 20세기 초반에 이미 베트남의 모든 계층에 폭 넓은 보급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종주국의 통치언어인 프랑스어가 행정 교육의 공식언어로 강제됨에 따라 보조적인 문자 체계로밖에 인정받지 못하다가, 프랑스가 베트남에서 통치력을 상실하는 1950년대 후반 이후에야 꾸옥응으는 베트남을 대표하는 문자로 자리메김한다. 베트남 전역에 걸친 꾸옥응으 문자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교통 통신 수단이 빈약했던 당시의 여건은 베트남 남북 지역의 베트남어 사이에 발음 및 어휘에 있어 큰 차이를 유지하고 있었고 이후 20년간 계속된 남북 베트남의 분단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언어적 차이는 줄어들지 않았다. 1975년 공산화통일에 따른 베트남 통합 이후 행정 교육을 통하여 북부 베트남어를 근간으로한 표준어 보급이 시도되었으며, 전국적 네트웍을 가진 신문 방송매체의 등장은 베트남어의 지역간 언어통합에 크게 공헌하였다.
베트남어의 지역에 따른 발음 및 어휘 (북부:통킨어, 중부:안남어, 남부:코친차이나어) 의 차이는 현재에도 존재하고 있으나 상호 의사소통에는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베트남인의 높은 교육열 및 베트남어 표음체계의 합리성으로 인하여 베트남은 동남아에서 문자해득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의 하나이며,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므로 영어권 주도의 현대 정보통신 기술의 적용이 용이한 등의 잇점을 누리고 있기도하다.<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