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 명 : 웅석봉(1099.3)
■ 위 치 : 경남 산청
■ 일 자 : 2012. 6. 23(토)
■ 도상거리 : 10.5㎞(2.5㎞임도포함)
■ 산행시간 : 6시간40분(휴식포함 널널하게)
■ 운행시간
밤머리재(10:20) - 대장마을 갈림길(10:53) - x856(11:02) - 헬기장(11:09) - 휴식[x888봉 150m전방지점](11:37~11:51) - x888봉(11:55) - 왕재(12:09) - x1032봉(12:36) - x1079봉[중식](12:55~13:30) - 헬기장2(12:34) - 웅석봉(13:45~13:50) - 내리/어천삼거리(14:28~14:34) - 임릉(14:40) - x732봉(15:00) - 임도전방(15:46~16:00) - 임도(16:05) - 지곡사 하산길(16:09) - 선녀탕(16:26~16:45) - 지곡사(17:00)
● 날 씨 : 구름조금(연무)
● 참여인원 : 19명



봄을 넘기면서 시작된 가뭄은 유월 계절을 무색케 만든다.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로 한여름이 시작된지 오래고, 산행과 친해질수 없는 비소식은 없지만, 비가 와도 축복으로 생각하고 산행을 떠난다.
7시를 넘기면서 출발한 버스는 남안성IC를 들어서 고속도로를 달렸다. 중부, 경부, 대전~통영간 고속도로를 달리면서 금산휴게소에서 30분의 휴식을 취하고, 다시 버스에 올라, 달려온 만큼 지나니 산청IC를 빠져 나오고.. 10여키로에 위치한 해발 570m의 밤머리재에 도착한 시각은 오전 10시 10분, 오늘 기상청 예보로는 내륙기온이 32도가 넘는 고온의 기온에 불구하고 고개 정상은 선선하기만 하다.
산청에서 대원사 계곡으로 너머가는 고개인 밤머리재 주차장에서 10여분간의 산행채비를 마치고, 함께한 동료들과 기념촬영도 찍고, 1099미터의 웅석산을 오르면서 6월 넷째주 산행을 시작한다.

▲ 해발 570m의 밤머리재 주차장

▲ 오늘 함께한 회원들과 기념촬영을 마치고,

▲ 주차장 맞은편의 들머리를 시작으로 산행을 시작한다

▲ 처음부터 가파른 오르막길을 걸어 대장마을 갈림길에 도착하고 - 1㎞거리, 220m의 표고차 -

▲ 특징없는 x856봉을 거쳐 300m 거리에 위치한 헬기장을 지난다

▲ 뒤돌아 보니 왕등재 방향의 무명봉이 우뚝 서있고, 무명봉 아랫 지점의 밤머리재가 보인다

▲ 가야할 웅석봉도 희미하게 보인다

▲ - 당겨 본 웅석봉 -

▲ 우측으로 우회하는 사면길을 지나고

▲ 사면길에서 조금 급하게 올라, 5분간 걸어 특징없는 x888봉을 지난다

▲ 왕재 120m를 남겨둔 지점의 전망바위에 도착하고

▲ - 전망바위에서 보는 산청군 홍계리 일원 - 대원사 가는길

▲ 지곡사에서 올라오는 삼거리에 도착했다 - 왕재 -

▲ 왕재에서 x1032봉까지 180m의 고도를 높이는 가운데 뒤돌아 보니 지나온 능선이 웅장하고

▲ 깊은 골을 이룬 지곡사 계곡을 담았다

▲ x1032봉에 도착할 무렵, 산책로 같은 등산로로 바뀌고

▲ x1032봉을 지나 10분후, 좌틀하여 내려서는 삼거리에서 중식시간을 가졌다 - x1079봉 삼거리 -

▲ 35분간 식사를 마치고, 5분정도 내려서면 웅석봉으로 향하는 헬기장이 있고 - 웅석봉 300m 전방 -

▲ 50m 정도 고도를 높이면 정상으로 향하는 길목에 이정표가 서있다 - 내리(지곡사)/어천 삼거리 -

▲ 정상부근에는 군시설물과 산불감시초소 있으며

▲ 휴식포함, 널널하게 걸어 웅석봉 정상에 도착했다 - 밤머리재에서 3시간 25분 -

▲ 해발 1099m의 정상에서 홍과장님의 명예로운 퇴임을 축하하고... 그동안 수고하셨습니다. 시청산악회와의 산길은 계속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 정상에서 본 지나온 능선은 운무가 넘친다


▲ 지곡사로 내려서는 초입에는 전망데크가 있으며 - 운무로 인해 조망 없음 -

▲ 로프 구간을 거쳐가며 200m의 표고차를 급하게 내려선다


▲ 능선이 완만해지는 등로에 쉬어가기 좋은 노송을 만나고

▲ 무명봉을 앞둔 내리(지곡사)/어천 삼거리에서 좌측 사면길을 걷는다

▲ 무명봉을 우회하여 내려서면 전망좋은 암릉길이 이어지고

▲ - 조망을 즐기는 회원들 -

▲ - 능선 우측의 대전~통영간 고속도로와 경호강 -

▲ - 지나온 능선 -

▲ 암릉길이 끝나고 내려선 지점에 잡목이 들어선 헬기장이 있다

▲ 해발 320m로 고도를 낮춘 지점을 지나고
l

▲ 웅석봉 정상에서 850m 고도를 낮춰 임도길에 닿았다 - 해발 250m -

▲ "선녀탕 2㎞" 표기돼 있으나 실제로는 1.5㎞ 밖에 안되며

▲ 좌측 임도를 따라 300m정도 걸으면 지곡사로 하산하는 지름길이 있다 - 선녀탕으로 이어진 임도길로 진행 -

▲ 임도를 20여분 걸어 선녀탕이 있는 계곡이 있으며

▲ 수량이 부족한 선녀탕에는 나뭇꾼만이 발을 담궜다


▲ 650m를 내려와 심적사 입구에 도착하고 - 내려온 임도길 -

▲ 건천으로 변한 계곡풍경을 돌아보며 이곳도 한해를 심각하고 겪고 있는 사실을 느겼으며

▲ 지곡사 경내를 돌아보며 산행을 마감한다

▲ - 뒤돌아 본 웅석봉 능선 -

▲ - 지곡사 앞뜰의 하천 -

▲ - 지곡사 주차장 -

▲ - 나무 아래의 시원한 쉼터 -
1000m 능선에서의 산행은 한여름 더위가 멀어진듯 가을을 느껴가며 걸었다. 정상 400미터를 남기고 x1079봉에서의 점심시간은 추위를 느낄만큼 기온이 선선했다
정상에서 고도를 떨어뜨려 지곡사로 내려 갈수록 더위가 찾아들고 있었고, 임도로 하산하여 느끼는 기온은 웅석봉 정상이 신선이 사는듯이 멀어져 있었다.
계곡에 넘쳐나던 물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바위를 쓰다듬던 손길은 볼수 없었고, 둥글게 닳은 바위는 물을 기다리듯 몸을 하얕게 드러냈다. 임도길을 1.5㎞ 걸어 찾은 선녀탕은 선녀는 커넝 그곳을 찾은 나그네만이 간단히 몸을 식힐수 있었다.
1킬로 정도를 내려온 지곡사 주차장은 큰 나무만이 가뭄에 불구하고 시원한 그늘을 제공해 주었으며, 그곳에서 운좋게 준비한 토종 도토리 무침을 안주 삼아 즐거운 뒷풀이를 가졌다.
오후 5시에 출발한 버스는 아침에 왔던 길을 뒤집어 달렸고, 남안성IC를 빠져나와, 우리고장 맛집인 장터국밥에서 저녘식사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니 9시를 넘기고 있었다.
새롭게 출발하는 홍사은 과장님의 앞날에 행운이 함께 하길 기원드리며, 다음달 더 좋은 산행으로 만나 뵙겠습니다.
첫댓글 처음에는 무더위속에 비지땀으로 범벅된 산행 이었지만 중반이후 간간히 불어주는 꿀맛같은 산바람이 느려지는 발걸음을 한발한발 밀어주었습니다. 모두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