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장고 모델의 가조적 완성 사진 입니다.
뒤쪽에 에너지 잡아먹는 전기식 히터와의 대비가 묘합니다.
열장고의 크기는 500x 600x 1500mm의 아담한 구조입니다.

가조적을 모두 마치고
순서를 잊어 버릴까 조적 순서 대로
벽돌마다 번호를 써서 바닥에 정렬을 합니다.


열장고 내부의 열기 체널 구조

연소실에서 열기 체널로 올라가는 불목 구조

불목에서 올라온 강한 열기가 사방으로 분수 처럼 넘어가는 열기 구조의 최 상단부

몰탈의 두께라던가
수평과 수직의 압박
벽돌의 정확한 위치 배치 등등....
만만치 않을 작업이라는걸
여실하게 깨닫게 하는 실제 시공 장면 입니다.


까치발을 딛고 올라서서 거의 상부 구조까지 완성을 합니다.
완성된 벽난로의 전면을 박스 처리 합니다.
박스의 두께만큼 유격을 유지 하고
외벽을 세우게 됩니다.
외벽과의 유격을 두는 이유는
코어와 외벽과의 열팽창 계수가 다른 이유로
유격이 없으면 밀어 내는 열압력에 의해서
금이가고 심하면 부서지는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박스 처리된 벽난로의 외부에
메탈라스 처리를 했습니다.
이번 외벽 처리를 페로기법의 강화된 흙으로 미장을 하기 때문에
구조적 지지물의 역활을 하는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손이 많다 보니
잠시 방심한 사이에
흙 미장을 모두 해 버렸습니다.
완성된 열장고의 모습입니다.

교육생 분중에 그림을 그리는 선생님의
인도의 꽃그림입니다.


이렇게 일차 미장이 끝이 났습니다....
2차 미장과 불붙이는 과정은 다음편에...
삭제된 댓글 입니다.
CB센터에 강력하게 교육요청 하시면 다음번에 또 뵐수 있겠지요^^
대단 하십니다
후편 기다립니다. 기대기대~~
굴뚝이 없나요?
굴뚝은 벽난로의 중간 뒷부분에 있습니다
DIY셋트로 공동구매하면 좋겟네요
다음이기대됨니다
아..좀더 자세히 배우고 싶어요..거리가 멀어 교육참석은 힘들지만..혹시 도면같은 것 있으면 올려 주실수는 없으신지요...
겨울이 넘 추워요...ㅠㅠ
1편에 동영상을 스톱 모션으로 보시면
각 단마다 찍어서 이어 놓은 것이니까..
도면 보다 훨씬 알아 보기 쉬울겁니다..
깜짝이야 굴뚝 없어도 가능한 완전연소 벽난로 인가 뒤쪽에 굴뚝이
나도 만들고 싶어요 빨리 만들고 싶어요
굴뚝은 뒤쪽에 중간정도에 위치 합니다..
지금은 굴뚝을 끼우기 전이라 안보이는 거구요..
다음편도 기대가 됩니다. 넉넉하게 벽돌 몇장이 들어가나요?
벽돌이 넓은것 같은데 규격이 있나요?
음....내화 벽돌은 150장 정도 들어 갔습니다...
벽돌의 규격은 일반 벽돌과 다르게 조금 크고 무겁습니다.
230x 11.5x6.5 정도 일겁니다...
무게는 하나에 3kg정도 하구요...
몇일후 부터 용평에 있을건데..ㅋㅋ
대단하십니다.....후기도얼능보고십네요....수고세요....
두세가지 더 여쭙습니다.
사진을 보니 SK-36강도의 내화벽돌은 일반벽돌집에서는 취급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내화벽돌 1장당 가격과 구입처를 알 수 있을까하고요. 또 벽돌450kg 황토몰탈 50kg정도 예상하고
로울러가 달린 물건을 이동하는 사각판위에 설치하면 냉장고처럼 이동하여
하절기에는 창고등에 보관했다가 동절기에 꺼내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sk 34정도면 위에 모델을 만드는데 별 이상이 없습니다.
내화 온도의 차이에 따라서 가격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인터넷에서 검색 하시면 내화 벽돌 구매를 하실수 있을 겁니다.
단지 운송비 문제 때문에 주변에서 구하시는게 유리 하실수 있으세요.
황토 몰탈을 사용 하는것이 아닙니다.
교육상 황토 몰탈을 사용 했구요..실제 시공엔 내화 몰탈이나 내화 본드를 사용 합니다.
이동도 가능 하게 할 수 있습니다. 철제 캐비넷을 만들어서
이동 하는 경우도 외국에서 봤습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외관을 처리 하는 기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돌이나 타일 등등 개인의 취향대로 외관을 만들수 있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한가지 여쭐께요.외벽처리.폐로기법의 강화된흙이라고 하셨는데.일반흙은 건조가되면 갈라지는데 저흙은 갈라짐이 없는지요?
일반흙도 오랜 시간을 두고 건조 하는 경우에는 갈라지는 현상이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적정기술의 견지에서 자신의 것을 어느정도 수리 하면서 사용 하실 각오 시라면
흙으로 해도 문제 될것은 없습니다.
페로 기법은 열팽창이 많지 않은 석고를 적정량 넣는 기법입니다.
대신 석고는 단열제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갈라짐과 축열에 어느것 하나는 손해를 봐야 한다는 애기죠..
외국에 흙공법 자료들을 찿아내서 실험적으로 사용해 본 것입니다.
갈라짐의 현상은 상당히 적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겠네요.
아주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참 멋진 작품입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실제로 한번보고싶군요
다음설치장소를 쪽지로 받아볼수있나요?
쪼꼬벨은 장흥에 설치된곳이 있구요..
위에 열장고 모델은 완주에 설치 되었어요.ㅍ
페치카 모델은 일산에 있구요..
이동형 열장고는 강화도에 있습니다.
컨트라 풀루우 중형 모델은 장흥에서 볼수 있습니다...
연통설치는 없읍니까?
다음편이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