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엄지와 중지의 손가락 끝으로 필관의 아래에서 1/3 점을 잡되 위에서 볼 때 동그란 모양이 되게 하고 가능한 한 손가락 끝으로 잡아 면적이 가장 크게 되게 한다.
명지의 손톱부분을 필관에 대어 후방에서 전방으로 내치는 힘을 만든다. 1.3.4의 손가락의 힘이 가장 중요하다.
식지는 중지와 같이 꺾어서 필관을 누른다. 이 때 손가락의 끝부분이 필관에 닿아야지 첫째마디나 둘째마디가 피관에 닿아서 는 안된다.
소지는 명지와 같이 필관에 대어 명지를 도와 힘을 더하게 한다. 이 때 깍 손가락들의 틈이 벌어져서는 안된다.
이렇게 붓을 쥐고 위에서 보면 엄지와 중지가 원 모양을 이루는데 이것을 호구(虎口)라고 부르며 이것이 동그란 원이 될 때 용안(龍眼)이라 하고, 꺾었던 엄지 손가락의 마디를 약간 필 때 타원 모양이 되는데 이를 봉안(鳳眼)이라 하여 붓의 힘은 빠지게 된다.
호구(虎口)가 용안(龍眼)이 되도록 다섯 손가락의 마디를 모두 꺾어서 손가락 끝에 힘을 주어 잡게 되면 손바닥은 텅비어 허장실지(虛掌實指)가 제대로 된다. 텅빈 손바닥은 천변만화(千變萬化)하게 하는 굴신자재(掘伸自在)를 자유롭게 한다.
운필의 묘는 집필에 따라 발휘된다. 손가락 끝에 힘을 주되 일정한 힘을 어느 때는 빼기도 하고 채우기도 하여 경중을 임의로 하지 않으면 손가락은 굳어지고 팔목과 어깨에 까지 통증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하여 오지 매듭의 굴절은 언제나 같지만 손가락 끝의 힘은 마음대로 가감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곧 굴신이다. 그 조종은 대지(大指)와 중지(中指)및 명지(名指)가 동시에 일치되어야만 비로소 힘의 경중을 조화있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단구법(單鉤法), 쌍구법(雙鉤法)을 보면.......
1) 단구법 2) 쌍구법
단구법은 엄지와 식지만으로 잡는다. 그리고 쌍구법은 엄지와 식지 및 중지로 잡는다. 쌍구법은 발등법과 비슷한 듯하나 관절이 꺾이지 않는데다 다섯 손가락의 역량을 모두 발휘할 수 없는 점에서 발등법과 다르다.
이 두 방법들은 모두 손가락 끝을 위주로 해서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운필은 팔을 움직여 한다는 본령(本領)에 어긋나니 탐탁한 방법이 못된다. 특히 단구법은 아주 작은 소자를 쓸 경우가 아니고는 꺼리는 방법이다.
운완(運腕)
글씨는 손가락으로 쓰는 것이 아니라 '팔과 관절의 역량'으로 쓰는 것이다. 운완(運腕:팔의 움직임)으로 글씨를 쓸 때에는 힘찬 탄력으로 시작하여 거두어 들이게 되기 때문에 비록 실처럼 가느다란 필봉(筆鋒)일지라도 거기서 이루어지는 획(劃)은 알차고 힘있는 것이 되어진다.
이와 반면에 손가락의 움직임만을 위주로 하여 쓸 때에는 작은 소자의 경우가 아니고는 붓의 움직이는 범위가 좁고 역량이 미약하여 힘있는 글씨를 쓸 수가 없다. 따라서 손목을 다소 안으로 오무려서 관절과 함께 팔을 충분히 움직여서 써야만 부드러우면서 굳센 글씨를 쓰게 된다. 이것을 글씨를 쓰는것을 회완(回腕)이라고 한다.
운완방법(運腕方法)에는 현완(懸腕), 제완(提腕), 침완(枕腕)의 세가지가 있다.
①현완법 ② 제완법 ③침완법
현완법은 글씨를 쓸 때 팔을 책상에 대지 않고 들어 올리고 쓰는 방법을 말한다. 그래야만 자유로운 운완으로 전신의 기력은 충분히 발휘되고, 팔, 팔뚝, 팔목, 손가락이 모두 움직여져서 온 힘이 붓끝(筆鋒)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正姿勢 參照)
글씨를 쓸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필력(筆力)이 팔을 통해와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앞에도 말한 바 있거니와 힘있는 글 씨를 쓰기 위해서는 중자(中字)를 쓸 경우라도 "현완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을 들어 올리고 쓴다는 것이 어느면으로나 까다롭고 힘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필력(筆力)을 단련한다는 뜻에서나 합리적인 운필을 꾀하는 뜻에서 모름지기 현완법으로 써야할 일이다. "회완(回腕) "은 현완법으로서만이 그 기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세
바른 글씨를 쓰기 위해서는 자세가 정확해야 한다. [바른 자세]란 몸가짐이 [자연스러운 상태]에 있고 정신이 긴장하거나 흥분 하는 일 없이 평안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의자에 앉아서 쓸 경우의 바른 자세는 다음과 같다.
첫댓글 기본에 충실 해야 된다는 평범한 말이 가슴에 새겨지는 나날이었는데 좋은 글 감솨!!!
좋은자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자료 감사 합니다 스크랩해갈게요
궁금했는데...공부 잘 했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잘 읽어 보았습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는데 예원님 말씀대로 사진에서 현완법과 침완법이 바뀐것 같은데 다시 확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필름 현상이 거꾸로 되었는지 왼손으로 쓰는 것 같고 뒤의 배경 글씨 사진도 거꾸로 되어 있는데 가능하면 보기 좋게 오른 손으로 쓰는 것 같이 해 주셨으면 합니다.
정정해 놓았습니다.
초보지만 하나씩 열심히 배워보겠습니다. 자료 감사합니다.^^
사진 보다는 확실하게 알아 보도록 그림으로 그렸으면 아주 좋았을 것인데 선상이 내 중심이 되어 이쯤이면 다 알아보겠지 하는 자기중심의 기술이듯 합니다.항상 내가 상대편이 되어 촛자의 편에 서서 보아야만 합니다.
사진이 작아 불편하시겠지만 참고하세요.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 ...
옮겨감을 양해해 주십시오. 20대 중반에 서예학원으로 동양화학원으로 쫒아 다녔는데 이제 다 늙어 다시 글씨를 시작해야 겠습니다.
이미 옮겨가신것 지우시고 다시 스크랩하세요. 사진이 잘못되어 정정해 놓았습니다.
다녀가신 모든분들 새해에도 건필하시고 행복한 한해 되시길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제 예전 배우던 서예를 다시 시작할려고 오늘 집필묵을 준비하고는 까마득한데, 이런 좋은 자료가 있어 많은 도움이 되어 감사함을 전합니다... 잘 보고 익히겠습니다...*^^*
도움되신다니 다행입니다. 올한해 좋은일만 가득하세요.
집필법, 자세 등에 관한 자료를 보면서 서예의 경외스러움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잘보았습니다 저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알아도 늘 새롭게 알아가는 묘미 참 좋습니다.
다녀가신 반가운 서예세상 가족님들 늘 건필하시며 행복한 일상 되세요. ^^
고밉습니다. 덕분에 기초에 충실해 져 갑니다.
공부 잘하고갑니다.
너무 좋은 자료.담아가서 열심히 공부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입니다, 담아가겠습니다.
정말 좋은자료입니다..얼마나 기다렸는데..정말 감사합니다..
(저위에분께 배워서 저도...)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자세한 집필법 대단히 감사 합니다, 기초가 제일 중요한것 같아요
서서히 안개속을 벗어나는 기분입니다 .. 하나 하나의 가르침을 깊이 새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좋은지식 많이 가르쳐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건강도하시구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런 기본지식이 필요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