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하는 사람들이 하나둘 염원하던 집을 짓고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이 보입니다.
젊은 사람들 특히나 어린자녀가 있는 가정은 기본적 생게유지를 위한 소득은 필수적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자연농을 하면서 농사로서 소득을 올리는것은 어려운 실정입니다.
누군가는 그 벽을 깨고 정말 자연농을 하면서도 소득도 올리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델이 나오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합니다
그 대안의 하나로 자연양계를 고려해 보는것도 좋을것이라 생각이 들어서 글을 올려봅니다.
며칠전에도 장흥 산속에서 자녀 두세명씩 두고서 살아가는 젊은 부부들을 만나고 왔는데
한달 생활비와 수입원들에 대해서 주로 관심을 가지고 물어 보았습니다.
에상대로 농사수입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었습니다.
국가가 이들에게 기본적인 뒷받침을 해주어야 하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강하게 들더군요.
자연양계는 많은 시설이나 토지가 없이도 가능하고 기술적인 내용만 습득한다면 비교적 안정적으로
수입을 올릴 수 있는 아이템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다만 요즘은 허가 조건이 까다로워서 귀농귀촌하실때 그점을 미리 고려하여야 겠지요.
토농회는 앞으로 토종과수에 이어서 자연양계도 공부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장성에 터를 잡고 집을 지은 정성철 선생의 집입니다.

자연양계를 위주로 하고 자연농사와 과수도 오래전부터 실천하고 있습니다.


자가사료를 만들어서 먹이고 항생제등 특별한 방제 없이도 건강하게 자라는 닭들입니다.

여름철에도 냄새걱정 없고 일반양계장과는 비교 할 수 없는 환경입니다.


집들이 겸해서 자연축산(돼지)을 하고 있는 산청의 최선생, 곡성의 김선생, 화순의 젊은 부부, 진주에서온 예비농부들 입니다.

제가 아는 자연양계 농가는 전국적으로 장성, 곡성, 산청, 청주, 일산, 의왕등에서 아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저는 닭 여섯마리가 전부지만요~^^
첫댓글 참으로 녹록치 않은 현실입니다. 집도 있고 하우스도 있으니 골수 팬을 확보하여 직거래 판매만 활성화 된다면 곧 밝은 내일이 올 거라 생각됩니다. 그 마저도 없는 저는 부러울 뿐입니다~~ ^^;
이 정부는 그런 농부들을 격려하기는 커녕 온갖 상식 밖의 명분을 내세워 소규모 축산업에 종사하는 농가를 없애는데만 혈안이 된 것 같습니다. 규모화된 기업만을 위한 위한 지원 정책은 어마어마한 예산을 편성되어 있고요... 안타깝고 또 안타깝습니다...ㅜㅜ
상대적으로 아주 행복한 닭들입니다.^^
관행농들도 돈을 못버는데, 자연농으로 돈을 번다면 오히려 문제가 있겠지요.ㅎㅎ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사람들이 먹을 걱정 하는 것이 아이러니입니다.
결국 버는 한도에서 쓸수 있는 생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농촌에서 자리잡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 같습니다.
동감합니다~
안타깝지만 귀농하기 전까지 가졌던 습관과 생활방식을 철저히 바꾸지 않는한 아직까지는 귀농생활이 녹녹치 않을 것입니다~
공감합니다.
@흰그늘 승용차도 없이 지내는 길선생이 모범 답안입니다~^^
시판되는 닭고기로 만든 음식들(치킨은 물론이고 닭요리 거의 다..)을 안먹은지가 거의 15년 정도
되는 것 같아요. 계란은 생협에서만 구입해서 먹었어요.
언젠가 귀촌하면 다른건 못해도 닭은 키워야겠다고 남편에게 세뇌시키고 있습니다.
닭은 모르겠고 건강한 계란이라도 먹어야 건강한 단백질을 먹어보자고..
우리 까페에서도 자연양계에 관한 정보가 많이 올라오면 좋겠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
저도..자연양계 관련분들의 글을 기대합니다.배우고 싶어요ㅡ닭 기르고 싶거든요
제주 김윤수샘이 그쪽분야 전문가 입니다.
가가운 곳에서 찿으세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8.01.29 16:22
저도 드디어....
달걀을 찾았습니다.
집옆 산중턱 즈음에 알자리 몇 곳이 있더군요.
죄다 얼어 터져서 곰이 차지가 되었다는...;;ㅎㅎ
아직 집 토종닭이 몇 마리인지는 모르지만...
저절로 자꾸 늘어가는 중입니다.
중요한 건 알자리를 들키면 옮긴다는 것인데 이번에는 또 어디다가 놓은지 원.;;
아무튼.
알만 찾아 낼 수 있으면 방목도 한 번 고려해 보심이...
닭이 근 1년가까이 커야 알을 놓가는 하지만 아주 건강하고 맛납니다.
토종닭을 방목하고 계시나보네요 신기하네요 알찾기
내비도님의 치킨하우스 (닭집) 인간의 집이라고 생각하면 고급빌라 같은 느낌! 닭과 인간에게 서로 쾌적한 시스템! 그곳에서 생산된 달걀맛 군불위 오픈에서 구워진 달걀맛은 잊을 수가 없네요 ^^
이 장치가 구들겸 보일러로도 사용되는 형식인가요?
조금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만.
이런 방법도 있군요. 벽돌을 사용하는..아주 멋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