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 듣기 (07:31) ☞ 제3절 현상(現象)과 본체(本體) 3. 색(色:物質)의 근본 구조(根本構造) 불교의 교리에서 나온 물질의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현대 물리학에서 물질의 가장 미세한 소립자인 광량자(光量子)의 본질이 불교에서 물질의 근본으로 삼는 금진(金塵)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金塵(금진)의 構造(구조) : 宇宙(우주)의 本質(본질)인 物心一如(물심일여)의 心體(심체)에는本來(본래)로 地ㆍ水ㆍ火ㆍ風(지수화풍) 四大(사대)의 四性(사성)과 四相(사상)이 갖추어 있는데 그 四性(사성)과 四相(사상)이 和融(화융)하여 一極微(일극미)를 이루어 서로 分離(분리)할 수 없으므로 八事俱生(팔사구생)하여 隨一不滅(수일불멸)이라 稱(칭)한다. 이 極微(극미)를 四方(사방)ㆍ上下(상하)의 六方(육방)과 中心(중심)의 七微(칠미)가 合成(합성)되어 처음으로 天眼所見(천안소견)의 阿縟色(아누색)이 되는데 바로 金塵(금진)이다. 이 金塵(금진)은 天眼(천안)과 輪王眼(윤왕안)과 佛果(불과)를 得(득)한 菩薩眼(보살안)에만 見得(견득)할 수 있다. 金塵(금진) 곧 一阿縟色(일아누색)은 金中(금중)에서 往來(왕래)하여도 無障(무장) 無碍(무애)하며 百四十(백사십)의 事體功德(사체공덕)을 갖추고 있다. 또한 圓常(원상)하여 다시 生滅(생멸)이 없고 空劫(공겁) 時(시)에는 離散(리산)하여 空中(공중)에 浮遊(부유)하나 體法(체법)은 恒有(항유)하며 그 作用(작용)에 있어서 生滅(생멸) 無常(무상)하다. -大日經疏一ㆍ俱舍論光記ㆍ勝論- 우주의 본질인 물심일여(物心一如)의 심체(心體)에는 지ㆍ수ㆍ화ㆍ풍(地水火風) 4대(大)의 네 가지 성품과 사상(四相)이 본래로 갖추어 있습니다. 우리는 우주의 본체에 있는 근본적인 본성품을 생각해야 합니다. 근본 성품에는 지수화풍 4대를 비롯한 일체 만덕이 본래로 원만히 갖추어 있습니다. 그 성품은 인연 따라서 상(相)으로 나오는데 지수화풍 4대의 4성(性)과 4상(相)이 서로 원융무애하여, 거리낌 없이 섞이어서 일극미(一極微)를 이루어 서로 분리할 수 없으므로 팔사구생 (八事俱生)한다는 것입니다. 팔사구생이란 구사론 등에 나오는 말로 여덟 가지 기운이 한 번에 화융(和融)하게 뭉쳐서 나온다는 말입니다. 팔사구생의 여덟 가지란 앞에 든 지수화풍 4대의 네 가지 성품과 4대의 상인 네 가지 상이 함께 어울려서 나오므로 팔사구생입니다. 그래서 수일불멸(隨一不滅)이라, 뭉쳐진 그 하나가 멸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입니다. 사방(四方)과 상하(上下)의 육방(六方)과 가운데 중심(中心)을 합하면 일곱 군데인데 불교에서는 일체가 역동적인 생명력이므로 사방과 상하 그리고 중심의 7이란 수치를 생명 활동의 중요한 수치로 중요시하는 것입니다. 일극미(一極微)인, 물질도 아닌 하나의 기운, 에너지가 사방 상하 중심의 칠미(七微) 합성이 되어 처음으로 천안소견(天眼所見)이라, 중생의 오욕의 때 묻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천안통으로 볼 수 있는 아누(Anu阿縟)색이 되는데 이것이 바로 금진(金塵)이라고 합니다. ‘아누다라삼막삼보리’에서도 나오는 그런 개념 하나 하나가 모두가 다 의미 심중합니다. 우리 인간이 알고 있는 원자핵이나 그런 물질적인 존재가 아니라 그보다 더 훨씬 더 저편에 있는 즉 생명 에너지의 근본 구성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금진인 것입니다. 이 금진은 천안(天眼)과 전륜성왕(轉輪聖王)의 안목과 또는 견성오도(見性悟道)해서 삼매에 들어가 불과(佛果)를 얻은 보살의 눈에만 견득(見得)이라, 보아서 얻을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벌써 견성오도를 확실히 했다면 금진인 한량없는 금색광명을 훤히 현관(現觀)이라, 현전(現前)하게 체험하게 되겠습니다. 금진 곧 일아누색(一阿縟色)은 금(金) 가운데서 왕래하여도 무장무애하여 거리낌이 없으며 140의 사체공덕(事體功德)을 갖추고 있다 합니다. 불성공덕(佛性功德)은 무량공덕이나 편의에 따라서 법수로서 140의 공덕으로 구분하여 일일이 말씀한 법문이 불경에 나와 있습니다. 티끌만도 못하고 원자핵보다 한결 근원적인 미세한 에너지로 응집된 그 가운데에 벌써140의 부처님의 무량공덕을 다 갖추고 있다는 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미진중 함시방(一微塵中含十方)이라는 말씀이 성립되지 않겠습니까. 또한 원만하고 항상하여 다시 생멸이 없고 공겁(空劫)시에도 금진은 존재하는 것입니다. 공중에 흩어져 있기는 하지만 체(體)는 소멸이 안 되어 체법(體法)은 항유(洹有)하며 그 작용에 있어서는 생멸무상(生滅無常)입니다. 또는 유식론(唯識論)에는 일체 현상을 아뢰야식(阿賴耶識) 종자의 변현(變現)이라고 합니다. 모두가 다 유식(唯識)이라, 만법이 유식이요, 일체가 유심조(唯心造)라는 사상에서 본다면 물질은 체(體)가 있는 것이 아니며 금진도 또한 마음의 묘유(妙有) 현상이니 물질의 체성(體性)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금진은 금강(金剛) 또는 금륜(金輪)이라고도 하며 묘유(妙有)의 본질이라는 말입니다.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12월에 힘찬 출반 하십시오.갈소리님.늘 평안하소서...나무아미타불 ()
오늘 잠깐 시내를 들렸는데 일요일이라 약초방이 문을 닫았네요. ㅠ ㅜ 꿩대신 닭이라고 대추를 한움큼 넣고는 한 주전자 달였네요. 약간 단맛도 있고 따듯하게 마시니 몸의 피로가 달아나는것 같더군요. 고맙습니다. 갈소리님도 겨울 몸관리 잘 하시길 바랄께요. 나무관세음보살. ()
티끌 속에도 불생불멸 불성이 들어있음 배웁니다. 늘어나지도 않고 줄어들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깨끗하지 않는 영원불멸의 진여가 공겁에도,지금의 우리 앞에도 존재함을 배웁니다. 만법이 유식이니, 일체유심조 말씀이 더 다가옵니다. 금진에 대해서, 색(물질)에 대한 근본구조 배웁니다. 색의 본질에 대해 파헤쳐 본모습 배우니 이해하기 쉽습니다. 고맙습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오늘 눈소식 있던데 참마음님 계신곳은 눈이 내렸나요? 울산은 비만 주룩주룩 내립니다. 잘 먹어야 감기도 이기겠다 싶어서 무우씨래기 넣고 된장 ?여서 너무도 배불리 먹었네요. 잠이 솔솔 올것 같습니다.. ^^ 참마음님도 겨울 몸관리 잘 하시길 바랄께요. 나무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모셔갑니다...()
불교에서 물질의 근본으로 삼는 금진에 관해 배웁니다. 원만하고 항상하여 생멸이 없고 공겁시에도 금진은 존재하는 것이다.. 부처님의 무량공덕을 다 갖추고 있겠지요. 생멸무상.. 나무관세음보살. ()
잘 드셔야지요.건강이 최고입니다..수수꽃다리님.어제는 눈이 안왔답니다..출근 길에 싸래기눈이 눈꼽만큼 내리는 것을 오늘 보았습니다.. 함께 하는 인연 소중합니다..고맙습니다. 관세음보살()
대추는 몸을따뜻하게해주고 보혈작용을해주니 피부도곱게해주죠 수수꽃님이 너무고와지지면안되는데.....이미꽃님이라서....ㅎ ㅎ ㅎ 건안하소서 몸은정신을담는 그릇이래요 몸이튼튼해야 마음도강건해지죠 ~맞죠?~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감사히 모셔갑니다.. 함께 하는 인연 고맙습니다..().
보명심님 늘 감사한 마음입니다..부처님 되소서..()
보명심님과 함께하는 인연 늘 감사드립니다. 아름다운 인연의 끈을 평생토록 함께하고 픕니다. 나무관세음보살.. ()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퇴근길에 마트를 들렸는데 깜짝 놀랐네요. 지나가는 아저씨가 강아지를 부르는데 반야 반야.. 하더군요. ㅎㅎ 그래서 반야선님과 반야지혜님이 문득 떠 올랐답니다. 아마도 불자님 이신가 봅니다. 고운하루 되소서.. ^^
잉 ???.
저도 다음에 이름을 지을때 반야로 지을겁니다..반야...^^
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