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석산 신선사 미륵전 ㄷ字형의 거대한 암면에 10구의 불,보살,인물상이 미륵전을 이루고 있다

입구의 전실 좌측 상단에 독립 여래 1구와 수기 삼존불 (미륵보살 + 석가모니불 + 제화갈라보살)

전실 독립여래입상 :주존실로 안내하는듯, 우견편단에 보주형 두광,단판복련좌,귀가 매우길다

전실 삼존불 (우보살상과 본존 여래상은 오실을 가리키고 있는듯한 자세이며 우보살상은 사유상

전실 미륵반가사유상 ! 연화대좌, 원형두광을, 삼면관을, 오른손가락을 구부려 사유하는 모습

전실의 중단 2軀.오실을 향하며 공양을 올리려는 모습, 향로와 나무가지를, 머리에 특이한 관모를

전실의 하단 여래입상 1구 (이여래상은후대에 ? )

북면 오실본존 미륵장육 여래입상. 2단의 육계, 통견의 법의는 길게 늘어뜨려 발아래 까지..

본존 미륵장육여래입상. 좌우손은 손가락을 펴 시무외 여원인을 ,u자형통견 법의,굵은 띠매듭을

오실주존 미륵장육 여래입상. 발목 표현이 없이 발가락이 민밋하다, 왼발가락은 손상이 심하다.

오실 동면 좌협시보상입상. 오른손에 정병을 들고 명치 부위에 살~짝... 왼손은 가슴에

오실 남면 우협시보살입상. 옷주름이 없는 도포형의 복장, 오랜세월 풍화로 마멸이 심하다.

오실 남면의 금석명문 .( 인 령 ? . 미묘상. 명신선사작. 고삼장보살이구 . 미륵석상일구 ..

단석산 신선사 법당겸 주지스님 처소 . 심오한 오고지에서 퇴락한 당우의 형상 2003년8월 현재

단석산 신선사 의 신축된 법당

대웅전 삼존불 (좌협시 관음보살조상 + 본존 석가여래좌상 +우협시 지장보살좌상)

단석산 신선사 석조여래좌상 머리와 대좌를 근세에 보완한 신라시대의 석불로 추정

단석산 신선사 산령각

단석산 傳 상제암 마애여래좌상.
육계가 우뚝솟았으며 길게 내려진 귀,미간에 백호를, 눈을 아래로 지그시 감고 목에는 삼도,
우견편단의 법의를 ,오른손을 들어 어깨 가까이,하반신을 선각으로, (사진 제공 :용담스님)
斷石山 斷石 : 신라의 명장 김유신이 삼국통일의 염원을 담고 이 주위에서 수련하던중 괴승으로 부터 하늘의 검(天劒)을 받아 짤랐다는 바위로 전해온다.(사진제공 용담스님)
1.단석산 神仙寺 上人巖 마애불상군 (국보 제 199호)
경주 건천의 우징골 깊숙이 거의 산 정상에 자리한 상인암 마애불상군은 동경잡기가 有巖屹立高百餘尺(유암흘립고백여척)이라 특기한 上人巖은 해발 827m의 斷石山頂西南直下(단석산정서남직하)에 자리잡은 자연의 四大巨石을 가리킨다.
이들은 동남북면에 ㄷ자형의 석실을 이루었다.이 심산 자연의 석실 안에는 10軀의 불,보살,인물상이 새겨져 있다. 前室격인 入口에는 북쪽 상단에 불,보살 4구를, 중단에 인물상 2구를, 하단에 여래입상 1구를 배치 하였으며 ,
主室격인 奧室主尊 북쪽 암면에 거대한 미륵장육입상을, 동쪽암면에 보살입상을, 남쪽면에 보살입상과 금석명문이 있다,
현재 판독 "因靈?名神仙寺 作彌勒石像一軀,高三丈菩薩二軀(인령?명신선사작미륵석상일구,고삼장보살이구), 仍於山巖下創造伽籃(잉어산암하창조가람), 菩薩戒第子岑珠(보살계제자잠주)"으로 알려졌다 한다.
2.단석바위(천주암)와 상제암 마애불
신라의 명장 김유신이 삼국통일의 염원을 담고 수련 하던중 怪僧으로 부터 天劍을 받아 바위를 잘랐다는 단석바위(천주암)와,
신선사에서 약 1시간 30분 거리에 있는 마애여래불상 1구(둥근 얼굴에 육계가 우뚝 하며 미간에 백호를 양쪽 귀는 어깨에 닿았으며 두 눈은 지긋이 감았으며 목에는 삼도, 우견 편단의 법의에 시무외 여원인,결가부좌를 취하고 있다.(상제암지는 구전에 의하여 불러지는 상제암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