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 듣기 (05:23) ☞ 제4절 심성(心性)과 법계(法界) 2. 십식(十識) 그 다음에는 십식(十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十 識 (십식) 1. 眼 識(안식, 눈) 2. 耳 識(이식, 귀) 3. 鼻 識(비식, 코) 4. 舌 識(설식, 혀) 5. 身 識(신식, 몸) 6. 意 識(의식, 뜻) 7. 末那識(말나식, 我痴아치 我見아견 我慢아만 我愛아애 등의 妄識망식) 8. 阿賴耶識(아뢰야식, 藏識장식) 9. 菴摩羅識(암마라식, 無垢識무구식 白淨識백정식) 10. 乾栗陀耶識(건률타야식, 眞實心진실심, 堅實心견실심, 佛心불심) 보통은 9식(識)까지 말하나 총괄한다는 의미에서 10식까지를 시설하기도 합니다. 안식이라, 이식이라, 비식이라, 설식이라, 신식이라, 의식이라, 여기까지를 6식(六識)이라고 합니다. 제7식을 말라식 (Manas 末那識) 이라 하는데, 말라식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잠재의식입니다. 따라서 서양의 프로이드(Freud, Sigmund 1856∼1939)나 융(Jung, Carl Gustav 1875∼1961)이나 그런 심리학자들은 말라식 정도는 알았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융’같은 사람은 불교도 공부를 좀 했으니까 어렴풋이 아뢰야식 (Alaya vijnana 阿賴耶識)을 언급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말라식은 잘못 봐서 내가 있다고 고집하는 어리석음인 아치(我痴), 또는 어리석음 때문에 나라는 견해가 더욱 더 치성하고 번성하는 아견(我見), 자기를 정도 이상으로 생각하는 아만(我慢) 즉 별것도 아니면서 자기가 하는 것은 꼭 무엇인가 좋고 겉으로는 겸손한 체 하지만 속으로는 그렇지 않은 것입니다. 보통 중생은 아만을 품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기를 아끼고 사랑하는 아애(我愛)가 있습니다. 아무리 공부를 좀 했다 해도 역시 범부지에서는 자기라는 것을 못 여의니까, 무아무소유가 못되면 아애가 있고, 아치가 있고, 아견이 있고, 아만이 있습니다. 정도의 차이 뿐인 것이지 범부라 생각할 때는 이것이 다 있습니다. 따라서 말라식을 망식(妄識)이라, 즉 우리 의식의 뿌리가 되어서 그때그때 나쁜 생각 좋은 생각 모든 허튼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또 말라식의 근거가 무엇인가? 말라식의 근거는 제8 아뢰야식입니다. 이른바 나쁜 종자 좋은 종자 모든 종자를 훈습(蕪習)을 시켜 담아둔다는 것입니다. 좋은 훈기도 여기에다 인상을 머물게 하고 나쁜 행위도 역시 훈기를 아뢰야식에다 나쁜 인상을 머물게 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종자식(種子識), 또는 장식(藏識)이라고 합니다. 그 다음에 제9식은 암마라식(Amra 菴摩羅識)이라, 이것은 무구식(無垢識)이라고도 합니다. 때가 없는 즉 번뇌가 없는 식이고 또는 청청한 식이니까 백정식(白淨識)이라고도 이름을 합니다. 유식론을 공부한 사람들은 제8식만을 말한 데도 있고, 제9식까지를 말한 데도 있습니다. 복잡한 문제이지만 한번 들어 두면 나중에 편리할 것입니다. 8식설은 현장(玄濱 622∼664) 법사 등이 주장하였고 진제(眞諦 Paramartha, Gunarata 499∼569) 삼장 등은 9식설을 주장한 분들입니다. 그런데 그 차이가 어디에 있는가, 간단히 말하면 8식 아뢰야식까지로 모든 식을 마무리하는 주장은 아뢰야식 가운데 염정(染淨) 곧 오염된 식과 청정한 식이 같이 아울러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청정한 식 즉 백정식의 요소가 아뢰야식 가운데 다 갖추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분들은 새삼스레 무슨 필요로 9식설을 낼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9식설을 말하는 분들은 분명히 오염된 식과 청청한 본래식은 차이가 있는 지라 마땅히 별도로 시설해야 한다고 합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싸울 것도 없는 것인데 옛날에는 8식, 9식설 가지고도 많이 싸웠습니다. 현대와 같이 서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훈련을 하였으면 그렇게 되겠습니까? 제10식도 진실심(眞實心), 또는 견실심(堅實心)ㆍ건률타야식(Hrdaya 乾栗陀耶識)이라고 하는데 9암마라식의 별칭인 동시에 모든 식(識)을 통틀어서 10식으로 포괄한 것입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유식학을잠시 공부한?이있는데 제9식인아말라식(암말라식)은어느정도아는데 제10식은 그렇군요 두분형제스님에 큰공력이 잘설해져던기억이나며 다시복습을하니한결쉽게마음에와닿습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나무 관세음 보살 _()_
고운인연 고맙습니다..함께 하는 인연공덕이 일체에 두루미쳐 함께 성불하게 하옵소서...나무아미타불
휴일 잘 보내셨나요.. 한주를 시작합니다. 행복부처님 되옵소서. 갈소리님 나무관세음보살.. ()
식의 자를 끝임없이 탐구를 하면 탐구를 하는 시작의 단계와 10식으로 맺음의 단계의 내용은 분석적이며 총체적인 관점으로 엮어서 전개를 하는 것이군요.현재의 심리학이 이미 불법의 유식학에 모두 녹아 있다는 것이 정말 놀라울 따름입니다. 나무 관세음 보살 _()_
고맙습니다. 남산님 성불하옵소서..관세음보살*
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 연말입니다. 즐겁고 행복한 시간들만 되옵소서. 남산님 나무관세음보살.. ()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다른 여타의 십식보다 불교의 십식은 명확하고 분명합니다. 제대로 알지 못하여도 10식으로 구분하는 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우리들의 의식세계를 체계적으로 배우며 공부에 따라 더 깊어짐을 배웁니다. 맑아지어 더 깊어지기를 바라옵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주말과 휴일 어떠셨나요? 저는 48시간이 너무도 짧게만 느껴진 시간들 이었네요. 즐거운 한주 맞이하소서. 참마음님 나무관세음보살.. ()
모셔갑니다..()
십식에 관한 말씀 공부합니다. 여태껏 짧은 지식만으로 알아왔던 말씀을 만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나무관세음보살.()()()
자세히 배우니 재미있지요..^^ 고맙습니다. 수수꽃다리님 성불하소서()
감사히 모셔갑니다..().
늘 감사합니다. 보명심님 부처님 되소서...()
함께하는 공부 즐겁습니다. 보명심님 나무관세음보살.. ()
십식에 대한 글 봅니다 ..
고맙습니다...반야 행복하소서()
함께하는 공부 즐겁습니다. 반야선님 나무관세음보살.. ()
함께 배우는 인연 고맙습니다. 갈소리님 비가 내립니다..부처님 가피 충만하소서...()
함께하는 공부 즐겁습니다. 갈소리님 나무관세음보살.. ()
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나무아미타불,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