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항(崔恒)연보
崔 恒(최 항)
時代(시대):朝鮮前期의 文臣(조선전기의 문신)
생몰년대:1409(태종9년)~1474(성종5년)
本貫(본관):朔寧(삭녕)
字(자):貞父{정보)
號(호):太虛亭(태허정).동梁(동량)
試號(시호):文靖(문정).文忠(문충)
活動分野(활동분야):政治(정치).集賢殿 學者(집현전 학자)
세종 16년(1434, 26세)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집현전 부수찬(副修撰)이 되고, 이 해에 《자치통감훈의 資治通鑑訓義》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성삼문(成三問) 등과 같이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였고,
세종 26년(1444, 36세) 집현전 교리(校理)로서 《오례의주 五禮儀注》를 상정(詳定)하는 일에 참여하였으며, 같은해 박팽년,신숙주,이개(李塏) 등과 함께 《운회 韻會》를 한글로 번역하였다.
세종 27년(1445, 37세) 집현전 응교(應敎)로서 《용비어천가》를 짓는 일에 참여하고, 이어 《동국정운(東國正韻)》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 《용비어천가보수(龍飛御天歌補修)》 등을 찬진하였다.
세종 29년(1447, 39세) 문과중시에 5등으로 합격하여 집현전직제학 겸 세자우보덕에 임명되었다. 그 당시 세종은 세자(뒤의 문종)로 하여금 섭정(攝政)하게 하였는데 이때 서연관(書筵官)으로서 정치에 보좌함이 컸다.
세종 29년(1447) 정묘년에 중시(重試)에 합격하여 직제학(直提學)에 승진이 되었다.(실록 졸기)
문종 즉위년(1450, 42세)에 선위사(宣慰使)가 되어 명나라 사신을 접대 하였고, 같은해 언관(言官)으로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이해 7월 다시 집현전으로 돌아와 부제학이 되었고,《대학연의 大學衍義》를 주석하는 일을 맡았으며, 《고려사》의 열전을 집필하였다.
두산동아 ; 1450년에 우사간대부(右司諫大夫)로서 춘추관동지사(春秋館同知事)를 겸임,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1451년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로서 수사관(修史官)을 겸임, 정인지 등과 《고려사(高麗史)》를 개찬했으며, 집현전 부제학(副提學) 때 《통감훈의(通鑑訓義)》를 편찬한 공로로 가자(加資)되었고, 이어 《문종실록(文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문종 00년(1450) 경태(景泰) 경오년에 문종(文宗)이 즉위(卽位)하고선 좌사간 대부(左司諫大夫)에 제수(除授)되고,(실록 졸기)
문종 01년(1451) 신미년에 부제학(副提學)에 승진되고,(실록 졸기)
문종 02년(1452) 임신년에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제수되었다가 이어 좌부승지(左副承旨)에 전보(轉補)되었다.(실록 졸기)
1452년(44세) 2월 《세종실록》편찬 때는 수찬관으로 참여하였다. 이어 동부승지가 되어
단종 1년(1453, 45세) 동부승지(同副承旨) 때 계유정난(癸酉靖亂)에 협찬한 공이 있다하여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 1등에 녹훈되고, 도승지가 되었다. 이해 12월에 이조참판에 임명되고, 영성군(寧城君)에 봉해졌다.
*두산에는 ‘1554년 이조참판으로 영성군(寧城君)에 봉해지고’라고 되어 있다.
단종 01년(1453) 계유년에 세조(世祖)가 정란(靖亂)을 할 때에 최항이 마침 정원(政院)에 숙직(宿直)을 하였으므로, 공신(功臣)에 참여(參與)하게 되어, 도승지(都承旨)에 승진이 되고, 수충 위사 협찬 정란 공신(輸忠위社協贊靖亂功臣)의 호(號)를 받았다.(실록 졸기)
단종 2년(1454, 46세) 10월에는 〈공신연곡 功臣宴曲〉4장(章)을 지어 올렸으며,
단종 02년(1454) 갑술년에 가선 대부(嘉善大夫) 이조 참판(吏曹參判)에다 영성군(寧城君)에 봉(封)해졌고,(실록 졸기)
단종 3년(1455, 47세) 정난공신 1등에 교서가 내려졌다. 그해 2월 대사헌이 되고, 6월에 세조가 즉위하면서 대사헌이 되어 좌익공신(左翼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이어 7월에 서연의 우부빈객이 되었고, 그뒤 호조참판,이조참판,형조판서,공조판서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세조 01년(1455) 세조가 즉위(卽位)하고서는 좌익 공신(佐翼功臣)의 호가 내려졌다.(실록 졸기)
세조는 즉위한 직후 육전상정소(六典詳定所)를 설치하고 《경국대전》 편찬에 착수하였는데 이때 그는 김국광(金國光),한계희(韓繼禧)등과 함께 육전상정관(六典詳定官)으로 임명되었고,
세조 03년(1457) 천순(天順) 정축년에 가정 대부(嘉靖大夫) 호조 참판(戶曹參判)에서 곧이어 이조 참판(吏曹參判)이 되었으며,(실록 졸기)
세조 4년(1458, 50세)에 《신육전 新六典》의 초안을 작성하여 올렸다. 그해 부친상을 당하였으나 왕명으로 기복(起復)되어*
*두산동아에 ‘1458년 형조,공조 판서를 지내고’라고 되어 있음.
세조 04년(1458) 무인년에 자헌 대부(資憲大夫)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었다가 이어 공조 판서(工曹判書)가 되었다. 그 해 겨울에 모친(母親)의 상(喪)을 당하였는데,(실록 졸기)
세조 5년(1459, 51세) 중추원사세자빈객 겸 성균관대사성이 되고
세조 05년(1459) 기묘년에 기복(起復)되어 정헌 대부 중추원사(中樞院使)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겸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이 되었다. 이는 문형(文衡)을 담당하는 직인데, 최항이 세 번이나 상서(上書)하여 3년상(三年喪)을 마치게 해달라고 요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아니하였다.(실록 졸기)
세조 6년(1460, 52세) 경진년에 숭정 대부(崇政大夫)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올랐으며,(실록 졸기)
세조 7년(1461, 53세) 양성지(梁誠之)의《잠서 蠶書》를 한글로 변역하여 간행하였다. 《경국대전》 편찬에 착수, 조선 초기의 법률제도를 집대성했다.
세조 9년(1463, 55세) 의정부우참찬이 되고, 《동국통감(東國通鑑)》 수찬(修撰)을 시작하고, 신숙주(申叔舟) 등과 《어제유장설(御製諭將說)》을 주해했다.
세조 09년(1463) 계미년에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에 제수(除授)되고, 이어 좌참찬(左參贊)에 전임(轉任)되었다.(실록 졸기)
세조 10년(1464, 56세) 9월 왕명으로《병장설주 兵將說註》를 산정(刪定)하였다. 《사서오경(四書五經)》에 구결(口訣)을 달았으며,
세조 11년(1465, 57세) 좌참찬 겸 세자이사(左參贊兼世子貳師)가 되었고, 사서오경의 구결(口訣)을 바로잡는 일에 참여하였다.
세조 12년(1466, 58세) 판병조사로 임명되자 그는 군사관계는 적임이 아니라고 간절히 사양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세조 12년(1466) 성화(成化) 병술년에 숭록 대부(崇祿大夫)에 승진이 되어 병조 판서(兵曹判書)의 일까지 겸임(兼任)을 하고, 이어 보국 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 좌찬성(左贊成)에 승진이 되었다.(실록 졸기)
세조 13년(1467, 59세) 4월 좌찬성, 5월 우의정, 7월 좌의정, 9월 영의정이 되었다.
세조 13년(1467) 정해년에 대광 보국(大匡輔國) 우의정(右議政)에서 영의정(領議政)으로 전임(轉任)이 되었다가 얼마 안가서 또다시 영성군(寧城君)으로 봉해졌다가,(실록 졸기)
예종 즉위년(1468, 60세) 9월 신숙주,한명회(韓明澮),김국광 등과 함께 원상이 되었으며, 1469년(61세) 경국대전상정소 제조(提調)를 겸하여 《경국대전》을 찬진하였고, 이어 《무정보감 武定寶鑑》을 찬수하였다.
성종 1년(1470, 62세)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졌고, 《역대제왕후비명감 歷代帝王后妃明鑑》을 찬진하였다.
성종 01년(1470) 경인년에 부원군(府院君)으로 다시 봉해졌다.(실록 졸기)
성종 2년(1471, 63세)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1등에 녹훈되고 다시 좌의정이 되었다. 춘추관감사(監事)로 《세조실록(世祖實錄)》 《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성종 02년(1471) 신묘년에 순성 명량 경제 홍화 좌리 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의 호를 내리고, 다시 의정부 좌의정(議政府左議政)에 제수되었다.(실록 졸기)
성종 05년(1474) 04월 28일(임오) 좌의정(左議政) 최항(崔恒)이 졸(卒)하였다. 철조(輟朝)하고 조제(弔祭)하고 예장하기를 전례와 같이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졸(卒)하니 나이가 66세이다. 1)
*두산동아에 1454년 이조판서로 영성군(寧城君)에 봉해지고"라고 되어 있다. 2)
*두산동아에 1458년 형조,공조 판서를 지내고"라고 되어 있다.
참고자료 ; 민문, 두산, 실록 졸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李朝實錄)검색 창
세종 09년(1427, 세) 09월 29일(갑인) ; 전 좌군 동지총제 박초가 경원의 군대를 용성으로 옮기는 것의 불가 함 을 아뢰는 글
세종 16년(1434, 세) 03월 09일(병술) ; 문과에서 최항 등 25명과 무과에서 김수연 등 10명을 선발하다
세종 16년(1434, 세) 03월 11일(무자) ; 고득종,;최항,조석문,박원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종 16년(1434, 세) 06월 26일(신미) ; 《자치통감》을 고열,해설,참교하다
세종 17년(1435, 세) 06월 08일(무신) ; 《통감훈의》의 찬집관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시를 짓게 하다
세종 18년(1436, 세) 07월 29일(임술) ; 이계진과 김문을 명하여 《강목》,《통감》의 훈의를 찬술케 하다
세종 18년(1436, 세) 09월 30일(임술) ; 신개가 북쪽 변방에 대한 방략을 논하여 올리다
세종 23년(1441, 세) 01월 09일(정미) ; 최항 등을 온정에 보내 안질 치료를 시험케 하다
세종 26년(1444, 세) 02월 16일(병신) ; 집현전 교리 최항,부교리 박팽년 등에게 언문으로 《운회》를 번역 하게 하다
세종 28년(1446, 세) 09월 29일(갑오) ;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 어제와 예조 판서 정인지의 서문
세종 28년(1446, 세) 10월 10일(갑진) ; 이계전 등이 대간을 처벌한 것을 거두어 달라고 아뢰다
세종 29년(1447, 세) 02월 16일(무신) ; 의주 상정관이 관복 길흉의 제도를 바쳤다
세종 29년(1447, 세) 08월 10일(기사) ; 신청하지 못했으나 과거를 치를 것을 청하는 방유륜 등의 상서를 허락하다
세종 29년(1447, 세) 09월 29일(무오) ; 《동국정운》 완성에 따른 신숙주의 서문
세종 30년(1448, 세) 05월 09일(계사) ; 병축의 아내의 상사에 대해 의논하다
세종 30년(1448, 세) 05월 15일(기해) ; 지대구군사 이보흠의 사창 사의에 대한 집현전의 의논
세종 31년(1449, 세) 02월 05일(병진) ; 춘추관에서 《고려사》 개찬에 대해 논의하다
세종 31년(1449, 세) 12월 20일(병인) ; 최항이 동궁의 쾌차를 하례하는 시를 올리다
세종 32년(1450, 세) 01월 06일(임오) ; 일본국 사신의 접대를 위해 직제학 최항을 선위사로 삼다
문종 00년(1450, 세) 06월 10일(임오) ; 집현전에서 고명을 맞이하는 복색을 상고하여 올리다
문종 00년(1450, 세) 07월 15일(정사) ; 직제학 박팽년이 신미 칭호의 부당함을 상소하자 승지와 함께 불공 한 문구를 따지다
문종 00년(1450, 세) 09월 07일(무신) ; 공조 판서 정인지가 문과의 가액 선발 절목을 아뢰자 의정부 등과 의 논하게 하다
문종 00년(1450, 세) 09월 13일(갑인) ; 최항,홍원용,김진,권효랑,구인문,김효급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문종 00년(1450, 세) 09월 27일(무진) ; 죽은 중추 이진이 첩의 아들을 과거에 내보내려고 적처를 버린 일을 의논하다
문종 00년(1450, 세) 10월 30일(경자) ; 우사간 대부 최항 등이 불사 숭상의 폐단에 대해 상소하다
문종 00년(1450, 세) 11월 01일(신축) ; 대사헌 안완경이 정음청,공물 대납,사찰 중창의 폐단을 아뢰다
문종 00년(1450, 세) 12월 29일(기해) ; 최항 등이 국상 중에 풍악을 잡히고 연회를 베푼 정발을 추핵할 것을 상소하다
문종 00년(1450, 세) 12월 29일(기해) ; 육조와 대간에서 감사가 목사를 겸임하는 것의 편부를 논의하다
문종 01년(1451, 세) 02월 09일(무인) ; 이변,김유온,김연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문종 01년(1451, 세) 07월 12일(무신) ; 최항으로 《대학연의》의 상세한 주석을 다는 일을 맡게 하다
문종 01년(1451, 세) 07월 13일(기유) ; 하연,안숭선,허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문종 01년(1451, 세) 08월 05일(경오) ; 사헌부에서 문중선의 죄를 청하다
문종 01년(1451, 세) 08월 30일(을미) ; 도승지 이계전이 《고려사》편수를 마치고 나서 임금의 재가를 청하다
문종 01년(1451, 세) 11월 10일(갑진) ; 사헌부에서 최득생과 이율에게 죄를 줄 것을 청하다
문종 02년(1452, 세) 02월 20일(갑신) ; 김종서 등이 새로 찬술한 《고려사절요》를 바치다
문종 02년(1452, 세) 05월 02일(갑오) ; 김종서가 《세종실록》을 찬술할 때 별도로 지를 만들도록 건의 하다
문종 부록년(명단, 세) 월 《문종일실록》 ;수관 명단
단종 00년(1452, 세) 07월 04일(을미) ; 《세종실록》을 편찬하면서 이호문이 기록한 황희의 일에 대해 의논하다
단종 00년(1452, 세) 08월 23일(계미) ; 중국 사신들이 명륜당에 나가 성균관 수재들과 경전에 대해 강론하다
단종 00년(1452, 세) 11월 05일(계해) ; 이숙번의 처 정씨가 재산을 사위에게 주도록 한 남편의 유서를 고치는 일을 상언하다
단종 00년(1452, 세) 12월 11일(기해) ; 윤사로․김종서,정분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단종 01년(1453, 세) 03월 04일(신유) ; 조서안,성봉조,조순생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단종 01년(1453, 세) 06월 08일(계사) ; 강맹경,이계전,;이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10일(계사) ; 세조가 이용과 결탁하여 반역하고자 했던 김종서,황보인,이양, 조극관 등을 효수하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11일(갑오) ; 수양 대군,정인지,허후,정창손,김조,이계전 등에게 관직을 제수 하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11일(갑오) ; 세조가 종친청에서 숙직하니 표범의 털가죽으로 만든 요를 주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13일(병신) ; 최항이 함길도에서 도적이 병기를 훔쳐간 일을 아뢰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14일(정유) ; 세조가 정인지,한확,이사철 등과 더불어 간당의 죄를 의논하여 아뢰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15일(무술) ; 정난의 공을 논하여 세조 등을 1등으로, 권준 등을 2등으로 이흥상 등을 3등으로 하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16일(기해) ; 안평 대군을 벌하는 것에 관한 세조,정인지,박종우 등의 논의
단종 01년(1453, 세) 10월 18일(신축) ; 정인지 등이 백관을 거느리고 이용과 이우직를 치죄하기를 청하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18일(신축) ; 의정부에 수양 대군,정인지 등의 공을 생각하여 포상하는 조건을 마련하여 계문하도록 하교하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25일(무신) ; 이징옥이 박호문을 죽이고 도망하자 함길도 관찰사에게 잡아 죽일 것을 하교하다
단종 01년(1453, 세) 10월 27일(경술) ; 세조가 육진 인근의 여러 야인에게 이징옥 일당을 토멸하는데 노력 하라 명하다
단종 01년(1453, 세) 11월 01일(계축) ; 모화관에 가서 무과의 응시자 김계원 등 28인을 뽑다
단종 01년(1453, 세) 11월 04일(병진) ; 의정부에서 정난한 공이 있는 이들에게 공신을 칭하하고 전각에 초상을 붙이는 것 등을 청하다
단종 01년(1453, 세) 11월 08일(경신) ; 정난한 공이 있는 이들에게 동,서반직을 차등있게 올려 제수하다
단종 01년(1453, 세) 11월 09일(신유) ; 세조가 효령 대군 이보,정인지 등과 더불어 창덕궁에서 처녀를 간택 하다
단종 01년(1453, 세) 11월 15일(정묘) ; 세조가 효령 대군 이보,;한확 등과 함께 창덕궁에서 처녀를 간택 하다
단종 01년(1453, 세) 11월 18일(경오) ; 최항과 신숙주 등이 공신의 호를 삭제하여 주기를 청하다
단종 01년(1453, 세) 11월 22일(갑술) ; 동부승지 권남의 아비 권제의 고신을 되돌려 주게 하다
단종 01년(1453, 세) 11월 28일(경진) ; 박이령,조석강 등을 안치한 곳으로 보내어 종으로 삼을 것 등을 명하다
단종 01년(1453, 세) 12월 15일(정유) ; 정효전,정효손 등이 세조를 모해하고자 한다는 사실을 알고 국문 하게 하다
단종 01년(1453, 세) 12월 29일(신해) ; 최항신숙주 등이 왕비를 맞아들이기를 청하다
단종 02년(1454, 세) 01월 15일(정묘) ; 신숙주가 피혐하기를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단종 02년(1454, 세) 01월 21일(계유) ; 의정부,육조,승정원에 명하여 왕비를 맞아들인 뒤에 길복에 따를 지의 여부를 의논하게 하다
단종 02년(1454, 세) 01월 22일(갑술) ; 근정문에 나아가서 효령 대군 이보 등을 보내어 송씨를 책봉하여 왕비로 삼다
단종 02년(1454, 세) 01월 23일(을해) ; 세조가 승지 등과 더불어 왕비를 맞아들인 뒤에 길복을 따를 것인지 의 여부를 다시 의논하다
단종 02년(1454, 세) 02월 06일(정해) ; 최항,홍달손,박중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단종 02년(1454, 세) 03월 30일(신사) ; 춘추관에서 《세종대왕실록》 1백 63질을 편찬하여 올리다
단종 02년(1454, 세) 05월 21일(신미) ; 세조가 경회루에서 풍정을 올리다
단종 02년(1454, 세) 07월 18일(정묘) ; 부종묘 추향 대제의 아헌관 세조 등에게 말 1필을 하사하다
단종 02년(1454, 세) 08월 09일(무자) ; 권우 등의 일로 이로부터 먼저 계문한 뒤에 정조의 비위를 핵문하게 하다
단종 02년(1454, 세) 10월 28일(병오) ; 이조 참판 최항이 공신 연곡 4장을 지어 올리다
단종 02년(1454, 세) 11월 01일(무신) ; 임금이 성균관에 가서 책제를 내고, 모화관에서 무거를 시험하다
단종 03년(1455, 세) 01월 24일(경오) ; 수충 위사 협찬 정난 공신 최항에게 하교하다
단종 03년(1455, 세) 02월 26일(임인) ; 강맹경,박중림,박중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단종 03년(1455, 세) 03월 01일(병오) ; 대사헌 최항 등이 환관과 금성 대군 등의 죄를 끝까지 다스리기를 청하다
단종 03년(1455, 세) 03월 06일(신해) ; 대사헌 최한 등이 환관 등의 죄를 삼사하여 재결하도록 아뢰다
단종 03년(1455, 세) 03월 14일(기미) ; 대사헌 최항 등이 환시와 군사들의 죄를 강단으로 결단하기를 아뢰다
단종 03년(1455, 세) 03월 17일(임술) ; 대사헌 최항 등이 환시와 무사들의 죄를 재결하기를 아뢰다
단종 03년(1455, 세) 03월 29일(갑술) ; 엄자치가 죽은 것을 모르고 대사헌 최항 등이 죄를 계청하다
단종 03년(1455, 세) 윤06월 06일(경술) ; 양경의 아내 이씨가 노비를 다투어 소송하다
세조 01년(1455, 세) 윤06월 18일(임술) ;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이유 등의 죄를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자 모두 사직하다
세조 01년(1455, 세) 07월 21일(갑오) ; 정현조,영의정 정인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1년(1455, 세) 08월 16일(기미) ; 개국,정사,좌명,정난의 4공신 등이 맹족을 바치니 공신들에게 잔치 를 베풀다
세조 01년(1455, 세) 08월 18일(신유) ; 대사헌 최항의 모친상에 부의하다
세조 01년(1455, 세) 09월 05일(정축) ; 좌익 공신을 정하다
세조 02년(1456, 세) 06월 14일(임자) ; 대사헌 최항의 여막에 온선과 소선을 내리니 최항이 승정원에 봉서 하다
세조 02년(1456, 세) 09월 07일(갑술) ; 의금부에 난신에 연좌된 부녀를 대신들에게 나누어 주게 하다
세조 03년(1457, 세) 02월 01일(을미) ; 형조에 난신들의 노비를 처리하는 일에 대해서 전지를 내리다
세조 03년(1457, 세) 03월 23일(병술) ; 난신들의 전지를 종친과 대신들에게 나누어 주다
세조 03년(1457, 세) 08월 21일(임자) ; 형조에 명하여 조석문,강맹경,박종우 등에게 계집종을 내려 주다
세조 03년(1457, 세) 10월 03일(계사) ; 김순,최항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3년(1457, 세) 10월 12일(임인) ; 임영 대군 등과 음식을 들고 대신들에게 물품을 하사하다
세조 03년(1457, 세) 12월 06일(병신) ; 기건,최항,구치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4년(1458, 세) 01월 17일(병자) ; 후원에서 관사하고 양정,홍윤성 등에게 말 1필씩을 하사하다
세조 04년(1458, 세) 01월 20일(기묘) ; 후원에서 활쏘는 것을 구경하고 김질 등에게 돌솥 1벌씩을 하사 하다
세조 04년(1458, 세) 02월 12일(신축) ; 사정전에서 공신에게 중삭연(仲朔宴)을 베풀다. 어서와 이에 화답 한 신하들의 시
세조 04년(1458, 세) 윤02월 09일(정묘) ; 신석조,유수,강곤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4년(1458, 세) 윤02월 23일(신사) ; 후원에 나가 활쏘는 것을 구경하다
세조 04년(1458, 세) 윤02월 25일(계미) ; 성균관에 거둥하여 시학하고 내린 책제(策題)
세조 04년(1458, 세) 03월 19일(병오) ; 최항,박원경,어효첨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4년(1458, 세) 03월 25일(임자) ; 조참을 받고 후원에서 활쏘는 것을 구경하다
세조 04년(1458, 세) 04월 20일(정축) ; 후원에 나가 활쏘는 것을 구경하다
세조 04년(1458, 세) 05월 11일(정유) ; 박원형,최항,심회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4년(1458, 세) 05월 21일(정미) ; 왕비와 서교에 나가 농작물의 작황을 살피고 농민들에게 주육을 내리다
세조 04년(1458, 세) 06월 19일(을해) ; 진휼사로 갔던 한명회가 하삼도의 습진하는 일과 화곡의 풍흉 등을 아뢰다
세조 04년(1458, 세) 06월 29일(을유) ; 최항을 좌익 2등 공신으로 책훈하는 교서
세조 04년(1458, 세) 10월 15일(기사) ; 승정원에 명하여 《초학자회》의 주를 다는 일을 마치게 하다
세조 05년(1459, 세) 04월 28일(기묘) ; 전 공조 판서 최항을 기복시켜 육전을 수찬하도록 명하다
세조 05년(1459, 세) 05월 07일(무자) ; 이인손,최항,윤사윤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5년(1459, 세) 05월 11일(임진) ; 최항이 기복을 사양하는 글을 올렸으나 윤허하지 않다
세조 05년(1459, 세) 05월 12일(계사) ; 최항이 다시 기복을 사양하는 글을 올렸으나 윤허하지 않다
세조 05년(1459, 세) 05월 13일(갑오) ; 최항이 세번째로 기복을 사양하는 글을 올렸으나 윤허하지 않다
세조 05년(1459, 세) 10월 07일(을묘) ; 이증,강맹경 등에게 진법을 확정하게 하여 명칭을 "병정`이라하게 하다
세조 05년(1459, 세) 11월 08일(병술) ; 홍달손,황수신,이인송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6년(1460, 세) 03월 13일(경인) ; 신숙주 등과 주본을 조사 대조하고 주문사 김순 등과 의논하다
세조 06년(1460, 세) 03월 29일(병오) ; 화위당에 나가서 김구 등을 인견하고 《손자주해》를 교정하게 하다
세조 06년(1460, 세) 04월 14일(경신) ; 경회루에서 하동 부원군 정인지 등을 인견하고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06년(1460, 세) 04월 15일(신유) ; 화위당에서 양녕 대군 등을 인견하고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06년(1460, 세) 04월 15일(신유) ; 송처관,서거정,이예에게 병서를 교정하게 하다
세조 06년(1460, 세) 08월 09일(임자) ; 사정전에 나아가 상참을 받고 윤대를 행하고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06년(1460, 세) 08월 18일(신유) ; 충순당에 나아가 활 쏘는 것을 구경하다
세조 06년(1460, 세) 08월 19일(임술) ; 서교에 거둥하여 사냥을 구경하다
세조 06년(1460, 세) 10월 04일(병오) ; 중궁과 더불어 황해도,평안도를 순행하다
세조 06년(1460, 세) 윤11월 09일(신해) ; 여러 신하들에게 말 1필 씩을 하사하다
세조 06년(1460, 세) 윤11월 11일(계축) ; 이변,김구,최항,이순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7년(1461, 세) 02월 28일(기해) ; 여러 도의 군사를 징발하고 신하들에게 각각 지위를 주어 강무를 받게 하다
세조 07년(1461, 세) 03월 14일(을묘) ; 최항,한계희 등 30여 인에게 명해 한글을 사용해 잠서를 번역하게 하다
세조 07년(1461, 세) 03월 24일(을축) ; 신숙주,홍윤성,이극감,김겸광,박건순,안관후 등을 불러 《북정록》 을 교정하게 하다
세조 07년(1461, 세) 04월 14일(갑신) ; 강맹경의 종기와 그 약에 대해서 말하다
세조 07년(1461, 세) 04월 14일(갑신) ; 종친부 전첨 김양경이 윤대하다
세조07년(1461, 세) 05월 16일(을묘) ; 모든 신하를 거느리고 화위당에 나아가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07년(1461, 세) 06월 03일(임신) ; 구치관을 의정부 우찬성으로, 최항을 이조 판서로 삼다
세조 07년(1461, 세) 06월 09일(무인) ; 경회루 아래에서 잔치를 베풀고 강원,함길도 도체찰사 한명회를 전송하다
세조 07년(1461, 세) 07월 26일(갑자) ; 왕세자에게 명해 희우정에 나가 농작물의 작황을 돌아보게 하다
세조 07년(1461, 세) 08월 18일(을유) ; 한명회가 치계한 글에 대해 어찰로 답하다
세조 07년(1461, 세) 08월 27일(갑오) ; 서거정과 임원준 등에게 언문으로 《명황계감》을 번역케 하다
세조 07년(1461, 세) 08월 28일(을미) ; 경차관 이계손이 대마주에 가지고 갈 사목과 그 내용
세조 07년(1461, 세) 10월 09일(을해) ; 정창손,윤사로,이승손,양정 등의 여러 신하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7년(1461, 세) 10월 14일(경진) ; 최항에게 명하여 병가삼설을 주해 할 것을 신숙주와 의논하게 하다
세조 07년(1461, 세) 12월 02일(무진) ; 후원에 나아가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07년(1461, 세) 12월 12일(무인) ; 새벽에 경복궁에 거둥하여 근정전에서 음복연을 베풀고 유구국의 사신을 인견하다
세조 07년(1461, 세) 12월 23일(기축) ; 유구국의 사신을 인견하다
세조 08년(1462, 세) 01월 05일(경자) ; 윤사분,이극배,안지,민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8년(1462, 세) 02월 18일(계미) ; 친히 《병장설(兵將說)》을 짓자, 신숙주 등이 전문(箋文)을 바치다
세조 08년(1462, 세) 06월 07일(경오) ; 김말에게 경서를 강론케 하고 즉시 판중추원사로, 이변을 행 첨지 중추원사로 삼다
세조 08년(1462, 세) 06월 15일(무인) ; 성균 생원 김극소 등 5인에게 강하게 하고, 감련관을 제도에 분견 하다
세조 08년(1462, 세) 07월 16일(기유) ; 화위당에서 주연을 베풀고 성균 생원 유진 등 10인에게 경서를 강 하다
세조 08년(1462, 세) 08월 01일(계해) ; 신숙주 등과 군자감,광흥창,풍저창 등에 간수을 늘리는 것을 논의 하다
세조 08년(1462, 세) 08월 03일(을축) ; 사정전에서 상참을 받고 홍윤성 등에게 새로 만든 갑옷이 편리한지 시험케 하다
세조 08년(1462, 세) 08월 06일(무진) ; 교태전에서 주연을 베풀고 최항 등에게 병서를 강론케 하다
세조 08년(1462, 세) 08월 14일(병자) ; 중추원 사 최항,예조 판서 홍윤성 등이 생원,진사 각 1백 인을 선발하다
세조 08년(1462, 세) 08월 25일(정해) ; 성균관에 거둥하여 명륜당에서 책제를 내고 창덕궁 후원에서 진법 을 열람하다
세조 08년(1462, 세) 09월 16일(정미) ; 서현정에서 기사를 구경하고 성균 유생 김세신 등에게 경서를 강 하게 하다
세조 08년(1462, 세) 09월 27일(무오) ; 강무를 위해 전라,경상,황해 군사를 징집하고 위(衛)별로 장수를 임명하다
세조 08년(1462, 세) 10월 21일(임오) ; 《어제무경(御製武經)》 서(序)
세조 08년(1462, 세) 10월 22일(계미) ; 근정전 뜰에서 문과 거자들을, 경회루,서현전에서 무과 거자를 시험 하다. 책제의 내용
세조 08년(1462, 세) 11월 20일(경술) ; 덕원군의 새 집 장만을 살피게 하고, 세자에게 문무의 도를 이르는 어찰을 내리다
세조 08년(1462, 세) 12월 15일(을해) ; 강녕전에서 주연을 베풀고 성균 유생에게 경서를 강하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01월 24일(갑인) ; 사정전에서 주연을 베풀었을 때 권남이 지어 올린 시와 어제시
세조 09년(1463, 세) 02월 21일(경진) ; 경회루에서 문신 3품 이하에게 책문을 짓게하다. 책제의 내용
세조 09년(1463, 세) 03월 29일(무오) ; 권남,최항,양성지에게 실록을 춘추관에서 상고케 하고 주악과 절화 를 내리다. 어제시의 내용
세조 09년(1463, 세) 04월 15일(갑술) ; 왕세자에게 경회루 아래에서 성균 유생에게 강하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05월 08일(병신) ; 각읍 수령에게 명하여 승려로 하여금 공물 대납 하는 제도를 파하다
세조 09년(1463, 세) 05월 16일(갑진) ; 중추원부사 최항,예문 제학 이승소 등에게 《명황계감》의 가사를 번역하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05월 18일(병오) ; 평안도 함종현의 강도 오막송,박지생 등을 참하고, 이명도 참하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윤07월 04일(신유) ; 육전청의 잔치에서 종친과 재추에게 기생을 멀리할 것을 이르다
세조 09년(1463, 세) 윤07월 07일(갑자) ; 향화한 낭장가로에게 아비를 만나게 해주다
세조 09년(1463, 세) 08월 01일(정해) ; 성균유생 양진손을 발탁하다,신숙주,윤자운,구치관 등에게 아마 한필씩 주다
세조 09년(1463, 세) 08월 29일(을묘) ; 권남,한명회,구치관,이승손,성봉조,최항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09년(1463, 세) 08월 30일(병진) ; 영의정 신숙주,길창부원군 권남,이조 판서 김담에게 관직제수의 배경을 설명함
세조 09년(1463, 세) 09월 05일(신유) ; 최항,양성지 등에게 동국통감의 편찬을 명하다,명황계감을 수교 하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09월 08일(갑자) ; 사정전에서 양로연을 베풀다
세조 09년(1463, 세) 09월 09일(을축) ; 서현정에서 소형명을 써서 습진하다,어제시를 짓다
세조 09년(1463, 세) 09월 10일(병인) ; 도승지 노사신에게 성제시를 간행하도록 명하다
세조 09년(1463, 세) 09월 27일(계미) ; 동국통감의 편찬을 양성지가 맡고, 신숙주,권남이 감수하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10월 02일(정해) ; 신숙주,최항이 어제유장 3편을 주해하여 바치다
세조 09년(1463, 세) 10월 18일(계묘) ; 사정전에서 연회를 베풀고, 시를 지어 화답의 글을 바치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11월 08일(임술) ; 비현합에서 병서의 주찬과 의서유취등의 일을 의논하다
세조 09년(1463, 세) 11월 15일(기사) ; 비련합에서 경서의 강과, 의학의 시강을 하게 하다,사정전에 헌가를 베풀다
세조 09년(1463, 세) 11월 25일(기묘) ; 이순지가 지리서를 바치다,곽연성에게 활,칼,마장을 내려 주다
세조 09년(1463, 세) 11월 28일(임오) ; 제주도 경차관 윤관이 포획한 왜인들을 후하게 하여 돌려보냈음을 아뢰다
세조 09년(1463, 세) 12월 11일(을미) ; 납향제의 음복연을 베풀다. 야인 장기대 등을 인견하고 술을 바치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12월 11일(을미) ; 최항에게 진찬하거나 변,두를 거두거나 손신하는 악의 가사를 짓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12월 14일(무술) ; 세자에게 《시경》과 《통감》을 가르치게 하고, 정사를 다스리는 법을 베우게 하다
세조 09년(1463, 세) 12월 19일(계묘) ; 비현합에서 신숙주,최항 등을 불러 병서의 구결을 정하다
세조 10년(1464, 세) 01월 14일(정묘) ; 종묘에 제사하다 세조 10년(1464, 세) 01월 15일(무진) ; 원구단 에 제사하다
세조 10년(1464, 세) 01월 22일(을해) ; 우의정 구치관에게 《동국통감》의 착오를 살피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1월 28일(신사) ; 장수 20인을 뽑아 무재록이라 하고 병서를 읽게 하여 근만을 상고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3월 27일(경진) ; 대군청 북쪽에 집을 지어 세자에게 사인을 만날 수 있게 할 것을 명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4월 14일(병신) ; 한명회가 야인 조삼파의 동향에 대해 아뢰다
세조 10년(1464, 세) 04월 19일(신축) ; 신숙주,구치관 등과 서반을 접대하는 일 등에 대해 의논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4월 22일(갑진) ; 노사신,박원형 등과 아산군의 설치,과거에 관한 일 등에 대해 논의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5월 01일(계축) ; 홍윤성,최항,윤자운,이승소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10년(1464, 세) 06월 18일(경자) ; 진성행이 중국과 교통하기 위해 기를 빌려 줄 것을 청하니 불윤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7월 12일(계해) ; 책문을 내리고 여러 문신,유생에게 대책을 올리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7월 14일(을축) ; 정인지 등을 불러 현재를 얻기가 어려움을 논하고 책문을 내리다
세조 10년(1464, 세) 07월 23일(갑술) ; 중궁과 더불어 경회루에 나가 삼갑창을 구경하다
세조 10년(1464, 세) 07월 23일(갑술) ; 정인지 등이 대책의 고과를 정하다
세조 10년(1464, 세) 07월 23일(갑술) ; 최항이 당상관과 겸예문 관리에 대해 학문을 권장하는 방도를 아뢰다
세조 10년(1464, 세) 07월 27일(무인) ; 예승석 등이 변방의 군사를 부리는 일 등의 폐단에 대해서 아뢰다
세조 10년(1464, 세) 08월 01일(임오) ; 비현합에서 성균 유생과 무재록에게 경서와 《무경》을 강하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8월 15일(병신) ; 한명회가 평안도로 돌아가려 하니 야인의 일에 대한 사목 등을 주다
세조 10년(1464, 세) 08월 24일(을사) ; 정창손 등이 봉석주를 중죄로 다스릴 것을 청하나 불윤하다
세조 10년(1464, 세) 08월 25일(병오) ; 7학 하는 사람들을 불러 강하게 하다. 봉석주에 대해 일을 불윤하다
세조 10년(1464, 세) 09월 01일(신해) ; 양심당에서 종친 등의 문안을 인견하고 성균 유생에게 경서를 강하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9월 02일(임자) ; 최항,강희맹 등에게 명하여 《병장설》의 주를 산정하고 교정하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9월 06일(병진) ; 성균 사성 오백창에게 사목을 주에 양계의 사민에 관한 일을 맡아 보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9월 06일(병진) ; 평안도 강변 구자 중에 단약한 것을 철거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9월 07일(정사) ; 이영은을 불러 평안도 구자를 혁거할 사목을 강하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09월 21일(신미) ; 사정전에서 제장에게 자원하여 병서를 강하게 하고 연회를 베풀다
세조 10년(1464, 세) 10월 01일(신사) ; 정창손,황수신,윤사분,원효연,이석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10년(1464, 세) 10월 14일(갑오) ; 종친,의정부,육조에서 문안하니 《정난일기》의 찬술을 명하다
세조 10년(1464, 세) 10월 24일(갑진) ; 하삼도 관찰사가 년분의 등급을 아뢰니 의정부,육조에 논의하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10월 26일(병오) ; 종친,재추가 문안하다
세조 10년(1464, 세) 10월 28일(무신) ; 정인지,한명회 등에게 여러 도의 공물을 상정하게 하다
세조 10년(1464, 세) 11월 14일(계해) ; 경선전에서 곡연을 베풀다
세조 10년(1464, 세) 12월 19일(무술) ; 최항,이석형,윤찬,이계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11년(1465, 세) 01월 03일(신해) ; 원일이 세자의 생신이었으므로 이 날에 잔치하다
세조 11년(1465, 세) 02월 09일(병술) ; 문무과 시험에서 급제자의 등급에 대하여 논의하다
세조 11년(1465, 세) 02월 13일(경인) ; 문무과 합격자를 발표하다
세조 11년(1465, 세) 03월 09일(병진) ; 효령 대군 이보가 원각경 수교를 마쳐 잔치를 베풀다
세조 11년(1465, 세) 05월 21일(정묘) ; 재추,낭관들에게 명하여 《육전》을 수교하게 하고 불러서 궁온을 먹이다
세조 11년(1465, 세) 05월 28일(갑술) ; 정인지,정창손 등에게 말을 내리다
세조 11년(1465, 세) 06월 01일(정축) ; 충순당에서 여러 대신들이 경서를 강하고 활쏘기 시합을 하다
세조 11년(1465, 세) 06월 02일(무인) ; 근정전에서 문소전 삭제의 음복연을 베풀다
세조 11년(1465, 세) 06월 05일(신사) ; 중신들과 바둑을 두고 황수신,최항에게 말을 내리다
세조 11년(1465, 세) 06월 12일(무자) ; 모화관에 나아가다
세조 11년(1465, 세) 07월 05일(경술) ; 경회루에 여러 대신들을 모아 책제를 어제하다
세조 11년(1465, 세) 07월 15일(경신) ; 사정전에 나아가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11년(1465, 세) 07월 22일(정묘) ; 이봉 등에게 예문관에서 잔치를 베풀다
세조 11년(1465, 세) 07월 30일(을해) ; 희우정에서 조선하는 것을 구경하다
세조 11년(1465, 세) 08월 05일(경진) ; 비현합에 나아가 최항,노사신 등에게 유시하다
세조 11년(1465, 세) 08월 13일(무자) ; 평안도 도절제사 야인 매토의 일을 아뢰다
세조 11년(1465, 세) 08월 17일(임진) ; 중궁과 함께 온양에 거둥하다
세조 11년(1465, 세) 09월 27일(신미) ; 사정전에서 중신들에게 진언을 해 줄 것을 당부하다
세조 11년(1465, 세) 10월 01일(을해) ; 비현합에서 경서를 강하게 하다
세조 11년(1465, 세) 10월 14일(무자) ; 사정전에서 선전관 등에게 학문에 힘쓸 것을 명하다
세조 11년(1465, 세) 10월 15일(기축) ; 비현합에서 술자리를 베풀고 유생 임사홍 등에게 경서를 강하게 하다
세조 11년(1465, 세) 10월 21일(을미) ; 비현합에서 겸예문 유신들에게 《주역》 구결에 대해 묻다
세조 11년(1465, 세) 11월 15일(기미) ; 중신들에게 술자리를 베풀고 유생 등에게 경서를 강하게 하다
세조 11년(1465, 세) 11월 25일(기사) ; 대소 신료들에게 연회를 베풀고 유생에게 《주역구결》을 강하게 하다
세조 11년(1465, 세) 12월 11일(갑신) ; 왕세자와 재추가 입시하여 술을 올리다
세조 11년(1465, 세) 12월 23일(병신) ; 중신들에게 음복연을 베풀고 《주역》 구결을 논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01월 03일(병오) ; 세자의 생신 잔치를 베풀다
세조 12년(1466, 세) 01월 06일(기유) ; 중신들의 의사를 물어 주의에 임하다
세조 12년(1466, 세) 01월 21일(갑자) ; 세자로 하여금 성균관 유생과 더불어 치양하도록 하다
세조 12년(1466, 세) 02월 01일(계유) ; 대소 신료들에게 술자리를 베풀고 활쏘는 것을 구경하다
세조 12년(1466, 세) 02월 09일(신사) ; 종친과 대소 신료에게 술자리를 베풀고 강론하다
세조 12년(1466, 세) 02월 12일(갑신) ; 중신들과 성균관에 거둥하는 의식을 의논해 정하다
세조 12년(1466, 세) 02월 14일(병술) ; 백관이 왕손의 탄생을 치하하다
세조 12년(1466, 세) 02월 15일(정해) ; 중신들이 정인지의 무례함에 책할 것을 아뢰다
세조 12년(1466, 세) 03월 01일(임인) ; 중신들이 입시하고 유생에게 경서를 강하게 하고 각궁을 내리다
세조 12년(1466, 세) 03월 05일(병오) ; 성균관에 거둥하여 《주역구결》을 반포하다
세조 12년(1466, 세) 03월 16일(정사) ; 강원도 고성 탕정에 거둥하다
세조 12년(1466, 세) 윤03월 17일(무자) ; 지방 순행에 관해 책제를 짓다
세조 12년(1466, 세) 윤03월 29일(경자) ; 최항,김국광,한계희 등에게 《동국통감》을 편찬케 하다
세조 12년(1466, 세) 04월 06일(병오) ; 사정전에 나아가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다
세조 12년(1466, 세) 04월 17일(정사) ; 화위당에 나아가 강론하게 하고 사물을 내리다
세조 12년(1466, 세) 04월 18일(무오) ; 구치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12년(1466, 세) 04월 27일(정묘) ; 화위당에 나가 술자리를 베풀고 다음날 충훈부에 술과 풍악을 내리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04월 28일(무진) ; 사정전에서 뇌영의 사자 수린에게 사물을 내리고 유시하다
세조 12년(1466, 세) 05월 01일(신미) ; 유생에게 경서를 강하게 한 후 능통 자에게 군직을 제수하고 주연을 베풀다
세조 12년(1466, 세) 05월 08일(무인) ; 발영시 합격자에 김수온 등 34인을 선발하다
세조 12년(1466, 세) 05월 20일(경인) ; 강녕전에서 신숙주 등과 주연을 베풀다. 평안도 절도사 김겸광이 하직하다
세조 12년(1466, 세) 05월 22일(임진) ; 강녕전에서 한명회 등과 주연을 베풀다
세조 12년(1466, 세) 05월 24일(갑오) ; 심회 등에게 여러 고을의 군기 정비를 의논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05월 28일(무술) ; 황수신 등을 거느리고 영응 대군의 집에 거동하다
세조 12년(1466, 세) 06월 19일(무오) ; 대신 종친에게 주연을 베풀다
세조 12년(1466, 세) 06월 21일(경신) ; 백성이 억울하게 형벌을 받지 않도록 하는 법을 상소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06월 23일(임술) ; 강녕전에서 인산군 홍윤성을 인견하고 주연을 베풀다
세조 12년(1466, 세) 07월 01일(경오) ; 강녕전에서 경서와 《동국통감》을 강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07월 08일(정축) ; 여진에서 도망온 소오칭과 자라거의 처리 논의
세조 12년(1466, 세) 07월 26일(을미) ; 등준시의 은영연을 의정부에서 하사하다
세조 12년(1466, 세) 09월 09일(정축) ; 서현정에서 잔치하고 무과 등준시의 종친과 재추 9인에게 서경을 강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09월 10일(무인) ; 근정전에서 양로연을 베풀다
세조 12년(1466, 세) 09월 15일(계미) ; 강녕전에서 유생에게 경서를 강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09월 28일(병신) ; 병환이 난 지 며칠이 되다
세조 12년(1466, 세) 09월 30일(무술) ; 종친과 대신들이 문안하니 술을 내리고 활쏘기를 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02일(경자) ; 신숙주,최항,강희맹 등에게 유서(類書)를 만들도록 명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10일(무신) ; 정인지,정창손등이 문안하니 어전에 나와 이야기하고 녹비를 하사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11일(기유) ; 정인지 등이 문안하니 평안도 연변의 수령의 죄상을 논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14일(임자) ; 정창손,신숙주,한명회 등이 문안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15일(계축) ; 정창손,신숙주,한명회 등이 문안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16일(갑인) ; 정창손,신숙주,한명회 등이 문안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17일(을묘) ; 신숙주,한명회 등이 문안하니 함길도 고령의 사변을 의논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18일(병진) ; 신숙주,정창손,한명회 등이 문안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19일(정사) ; 정창손,신숙주,한명회 등이 문안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24일(임술) ; 안빈세,최한경에게 관직을 제수하고 후원에서 군사 훈련을 구경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27일(을축) ; 평안도 절도사가 숙배하니 신숙주 등과 평안도 방어에 관해 의논 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28일(병인) ; 최항 등을 불러 평안도 방어에 관한 일을 의논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0월 29일(정묘) ; 신숙주 등을 불러 평안도 방어에 관해 의논하고 활쏘기와 상희를 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1월 08일(병자) ; 신숙주,구치관,한명회 등에게 문폐사가 논핵한 수령의 죄를 의논 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1월 11일(기묘) ; 중궁의 탄신일이므로 백관이 진하하다
세조 12년(1466, 세) 11월 13일(신사) ; 신숙주,구치관,박원형 등을 불러 변방의 일을 의논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1월 18일(병술) ; 평안도 방비에 관한 신숙주의 의견이 임금의 뜻에 맞다
세조 12년(1466, 세) 11월 22일(경인) ; 등준시에 합격한 무신들에게 홍패와 안마를 하사하다
세조 12년(1466, 세) 11월 25일(계사) ; 등준시에 합격한 최적 등이 사례하니 연회를 베풀다
세조 12년(1466, 세) 11월 27일(을미) ; 신숙주 등을 불러 경상 전라도에 순행할 일을 의논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1월 28일(병신) ; 신숙주,구치관,한명회 등을 불러 순행 때의 일을 의논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2월 10일(정미) ; 윤자운을 평안도 제언 급전사로 삼다
세조 12년(1466, 세) 12월 12일(기유) ; 신숙주,구치관,한명회 등을 불러 윤자운을 전별하게 하다
세조 12년(1466, 세) 12월 29일(병인) ; 임금이 사정전에서 나희(儺戱)를 구경하고 밀성군 이침 등에게 주연 을 베풀다
세조 12년(1466, 세) 12월 30일(정묘) ; 중궁과 함께 충순당에서 화포쏘는 것을 구경하고 신하들에게 주연 을 베풀다
세조 13년(1467, 세) 01월 05일(임신) ; 왕비가 풍정을 올리니 정창손,신숙주,구치관 등에게 잔치를 내리다
세조 13년(1467, 세) 01월 19일(병술) ; 효령 대군 이보 등에게 술자리를 베풀고 귀성군 이준 등에게 습진 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1월 29일(병신) ; 영응 대군 이염의 사위를 정하고 입시한 제신에게 종친의 도리에 대해 말하다
세조 13년(1467, 세) 02월 15일(신해) ; 효령 대군 이보,신숙주 등과 담화하고 규형(窺衡)의 제도를 구명 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2월 21일(정사) ; 제신에게 술자리를 베풀고 세자에게 신숙주 등과 서사를 의논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2월 23일(기미) ; 정인지,정창손,한명회 등을 불러 술자리를 베풀고 지리설을 논하다
세조 13년(1467, 세) 02월 27일(계해) ; 최항,김국광 등을 불러 술자리를 베풀고 향화인,사복들에게 사후 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3월 05일(경오) ; 세자에게 서사를 의논하여 정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3월 15일(경진) ; 유신,잡학인에게 업을 강하게 하고,예문관 유신에게 인지의 송을 강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4월 01일(병신) ; 유신과 잡학인을 불러 업으로 하는 바를 강하게 하고,응방을 파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4월 06일(신축) ; 한명회,황수신,최항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13년(1467, 세) 04월 19일(갑인) ; 중궁과 함께 후원의 새 모정에 나아가니 상정소 당상,제장,승지 등이 입시하다
세조 13년(1467, 세) 05월 01일(을축) ; 제신을 불러 시식하고 유신 등에게 업으로 하는 바를 강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5월 07일(신미) ; 모화관에 거둥하니 재추가 입시하고 장진충,정난종 등에게 진법을 익히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5월 20일(갑신) ; 중궁과 함께 경복궁으로 돌아 와 재추,종친,제장 등에게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13년(1467, 세) 05월 20일(갑신) ; 심회,최항,홍윤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13년(1467, 세) 05월 21일(을유) ; 함길도 관찰사가 이시애의 형세를 아뢰니 제신에게 군기에 관한 일을 의논하다
세조 13년(1467, 세) 06월 05일(무술) ; 한명회,신숙주의 죄과를 전교하니 정인지,정창손,헌부 등이 치죄 하기를 청하다
세조 13년(1467, 세) 06월 06일(기해) ; 어찰을 보여 신숙주 한명회를 석방하니 재추가 치죄를 청하다
세조 13년(1467, 세) 06월 12일(을사) ; 신숙주,구치관 등을 불러 일을 의논하고 주연을 베풀다
세조 13년(1467, 세) 06월 15일(무신) ; 학인에게 업을 강하게 하고, 민발 등에게 이시애를 토벌할 책략을 아뢰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6월 19일(임자) ; 종사관 김관이 함길도 사변에 관한 이준의 사목과 허종의 계서를 가지고 오다
세조 13년(1467, 세) 06월 22일(을묘) ; 사정전에 나아가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다
세조 13년(1467, 세) 06월 25일(무오) ; 신숙주,구치관,최항 등을 불러 정사를 의논하다
세조 13년(1467, 세) 06월 26일(기미) ; 최항,김국광,노사신 등을 불러 정사를 의논하다
세조 13년(1467, 세) 06월 30일(계해) ; 친정을 결의 하고 어찰의 사목에 따라 자원 군종할 자를 모집하다
세조 13년(1467, 세) 07월 11일(갑술) ; 제신을 불러 술자리를 베풀었는데 사간원 정언이 김국광의 비위를 아뢰다
세조 13년(1467, 세) 07월 17일(경진) ; 경회루 아래에 나아가 유구국 사신을 연회하다.유구국 사신을 접대 하는 의주
세조 13년(1467, 세) 07월 21일(갑신) ; 신숙주,구치관 등을 인견하고 경성 이북의 여러 고을을 초유할 글을 초안하다
세조 13년(1467, 세) 07월 25일(무자) ; 사정전에 나아가 정창손,구치관,심회 등을 불러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13년(1467, 세) 07월 27일(경인) ; 신숙주,구치관,최항 등을 불러 병기 제도를 의논하여 만들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03일(병신) ; 신숙주와 함께 세자에게 제왕으로서 지켜야 할 방도를 알려 주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08일(신축) ; 서현정에서 사종과 무사에게 활을 쏘게 하고 새로운 팽배를 만들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11일(갑진) ; 여러 신하들에게 주연을 베풀고 출진하는 박황에게 훈계하는 말을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14일(정미) ; 호조 판서 노사신을 보내어 난을 토벌한 도총사 이준 등을 선위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17일(경술) ; 신숙주에게 《행군수지》의 주를 달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22일(을묘) ; 신숙주,최항 등과 둔병의 교대 방책을 의논하고 방을 붙이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23일(병진) ; 한명회,신숙주,구치관 등과 요동군 응접 절차를 의논하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27일(경신) ; 신숙주 등과 요동군 응접에 관해 의논하여 윤필상을 평안도 선위사 로 삼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28일(신유) ; 신숙주,최항,홍윤성 등을 불러 군기의 일을 의논하다
세조 13년(1467, 세) 08월 29일(임술) ; 이준이 군민 위무책으로써 군사를 파할 것을 치계하니 그 방도를 유시하다
세조 13년(1467, 세) 09월 01일(계해) ; 신숙주,구치관 등을 불러 함길도 총리사 파견과 병선,조선 제도를 의논하다
세조 13년(1467, 세) 09월 04일(병인) ; 존무사 박원형에게 함길도 지방관의 정치를 바로잡도록 어찰 교서 를 내리다
세조 13년(1467, 세) 09월 08일(경오) ; 최항,김국광,노사신 등을 불러 대전을 의논하여 정하다
세조13년(1467, 세) 09월 11일(계유) ; 신숙주,구치관 등을 불러 백옹의 접대와 요동의 군사 응접에 관해 의논하다
세조 13년(1467, 세) 09월 20일(임오) ; 귀성군,이준,심회,최항,조석문 등의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13년(1467, 세) 09월 21일(계미) ; 중궁과 함께 선정전에서 잔치를 베풀고 북정한 군사들을 위로하다
세조 13년(1467, 세) 09월 24일(병술) ; 세자가 백관을 거느리고 임금의 탄신을 하례하니 제신에게 잔치를 베풀다
세조 13년(1467, 세) 09월 26일(무자) ; 은천군 이찬 등에게 새로 지은 형전을 수교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09월 28일(경인) ; 보경당에서 최항,홍윤성,임원준 등을 불러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13년(1467, 세) 10월 06일(무술) ; 임흥,황철이 녹비,각궁 등을 청하여, 허락하다
세조 13년(1467, 세) 10월 12일(갑진) ; 정인지,정창손 등이 북정에서 획득한 물목 등을 보고 중국에 주문할 문서를 초하다
세조 13년(1467, 세) 10월 15일(정미) ; 구종직,윤자운,조석문 등에게 공물의 차오를 밝힐 것을 명하다
세조 13년(1467, 세) 10월 27일(기미) ; 선정전에서 여러 공신을 인견하고 술자리를 베풀다. 가사를 짓다
세조 13년(1467, 세) 11월 17일(기묘) ; 효령 대군 이보 등에게 술자리를 베풀고, 문신 등에게 《동파집》을 강하게 하다
세조 13년(1467, 세) 12월 12일(갑진) ; 중궁과 선정전에서 효령 대군 이보와 부인에게 위로 잔치를 베풀다
세조 13년(1467, 세) 12월 12일(갑진) ; 조석문.홍달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세조 13년(1467, 세) 12월 14일(병오) ; 박시형을 국문케 하고 《시경》의 구결을 검토하다. 한계순과 권감 의 상피에 대한 논의
세조 13년(1467, 세) 12월 18일(경술) ; 정인지,정창손 등과 변방을 방비하는 일을 의논하다
세조 13년(1467, 세) 12월 25일(정사) ; 장원서 별감 김호산이 본서의 관원의 부정을 고발하다. 이에 대한 논의
세조 14년(1468, 세) 01월 04일(을축) ; 평안도 관찰사,절도사 등에게 달달의 사자를 접대하는 법을 유시하다
세조 14년(1468, 세) 01월 05일(병인) ; 중궁이 풍정을 올리다
세조 14년(1468, 세) 01월 27일(무자) ; 중궁과 더불어 세자를 거느리고 온양으로 거둥하다
세조 14년(1468, 세) 01월 29일(경인) ; 사람을 죽인 죄를 말로써 속바친 야인의 처리에 대한 의논
세조 14년(1468, 세) 02월 04일(을미) ; 신숙주 등에게 술자리를 베풀다. 명나라 사신이 올 시기에 대해서 얘기하다
세조 14년(1468, 세) 02월 06일(정유) ; 강습의 아비와 형제의 이들의 대우에 대해 논의하다
세조 14년(1468, 세) 02월 10일(신축) ; 문과,무과의 중시를 보게 하다
세조 14년(1468, 세) 02월 11일(임인) ; 신숙주,최항등이 시강하고, 문과 중시에 영순구 이부에게 먼저 강하 게 하다
세조 14년(1468, 세) 02월 24일(을묘) ; 명나라 사신 강옥,김보가 출발하다. 김석을산을 체포하다
세조 14년(1468, 세) 03월 01일(신유) ; 종친과 재신에게 술자리를 베풀고, 정인지에게 초록 단의를 내려 주다
세조 14년(1468, 세) 03월 01일(신유) ; 태감 정선의 조카 정희가 숙부의 영구를 맞이할 것을 청하니 윤허 하다
세조 14년(1468, 세) 03월 03일(계해) ; 이극돈,조간 등이 홍윤성의 불법한 일로 벌을 줄 것을 청했으나 불허 하다
세조 14년(1468, 세) 03월 04일(갑자) ; 신숙주의 장막에 잔치를 내려 주다
세조 14년(1468, 세) 03월 05일(을축) ; 이효생을 국문하고 홍윤성의 변론을 듣다. 김석을산 등에 대한 처벌
세조 14년(1468, 세) 03월 07일(정묘) ; 신숙주,구치관 등을 불러 술자리를 베풀고 음악을 연주하게 하다
세조 14년(1468, 세) 03월 15일(을해) ; 일본국과 야인의 사신 등을 접견하다
세조 14년(1468, 세) 03월 20일(경진) ; 검동도 등에서의 경작에 대한 논의. 일본 악사자에 조연할 물건을 의논
세조 14년(1468, 세) 04월 16일(을사) ; 일본국 사신 융원을 인견하고 일본으로 사신을 보낼 수 없음을 알리 다
세조 14년(1468, 세) 04월 27일(병진) ; 정인지 등과 자유채의 통로를 열어 주는 일을 의논하다
세조 14년(1468, 세) 05월 05일(갑자) ; 모화관에서 술자리를 베풀다. 어떤 여자가 과중한 역사를 호소하다
세조 14년(1468, 세) 05월 08일(정묘) ; 함길도 새 총통을 보낼 방법에 대한 의논
세조 14년(1468, 세) 05월 20일(기묘) ; 중궁과 함께 세자와 정창손 등에게 술자리를 베풀다
세조 14년(1468, 세) 05월 21일(경진) ; 정인지,정창손 등에게 내구 아마를 내려 주다
세조 14년(1468, 세) 06월 02일(경인) ; 신숙주,최항이 문장에 능한 자를 가려 제술을 주도록 건의하였으나 물리치다
세조 14년(1468, 세) 07월 12일(기사) ; 이조의 관리를 핵실할 것을 명하다
세조 14년(1468, 세) 07월 19일(병자) ; 임금이 병이 나 신숙주, 구치관, 한명회 등을 불러 세자에게 전위 할 것을 의논하다
세조 14년(1468, 세) 07월 22일(기묘) ; 대신들을 네 번으로 나누어 세자와 더불어 서사를 의논하게 하다
세조 14년(1468, 세) 08월 05일(임진) ; 안효례와 최효원이 정자영과 더불어 《어정주역구결》에 대해 서로 논란하다
세조 14년(1468, 세) 08월 08일(을미) ; 안효례에게 명하여 이영은과 더불어 《주역》의 이치를 강론 하게 하다
세조 14년(1468, 세) 09월 02일(무오) ; 세자가 정인지, 정창손 등과 의논하여 도적을 방면하지 않기로 하다
세조 부록년(명단, 세) 월 《세조일실록》 ;수관 명단
예종 00년(1468, 세) 09월 16일(임신) ; 신숙주 등이 대행 대왕의 행장을 초하여 올리다
예종 00년(1468, 세) 09월 17일(계유) ; 종친과 재추들에게 원릉으로 쓸 만한 땅을 살피게 하다
예종 00년(1468, 세) 09월 21일(정축) ; 신숙주,한명회,구치관,박원형,최항,홍윤성,김질 등을 원상으로 삼다
예종 00년(1468, 세) 09월 24일(경진) ; 대행 대왕의 존호와 시호를 속히 정할 것을 전교하다
예종 00년(1468, 세) 10월 01일(정해) ; 종친과 재추에게 정흠지의 묘자리가 능침에 적당한가를 아뢰게 하다
예종 00년(1468, 세) 10월 02일(무자) ; 풍양에 거둥하여 산세를 관찰하고 예빈시 정 최호원을 의금부에 내리다
예종 00년(1468, 세) 10월 29일(을묘) ; 재추들과 대간에서 이합 부자에게 죄주기를 청하였으나 윤허치 않다
예종 00년(1468, 세) 11월 03일(기미) ; 날씨가 춥고 인심이 흉흉하니 태비가 산릉에 가서는 안됨을 재추 들이 아뢰다
예종 00년(1468, 세) 11월 05일(신유) ; 불사를 집사한 사람들에게 논상하고자 하니 권감이 정지할 것을 청 하다
예종 00년(1468, 세) 11월 21일(정축) ; 신구 공신전은 국용으로 적출하지 말고 사패의 수에 의해 세를 주게하다
예종 00년(1468, 세) 11월 29일(을유) ; 대신들에게 영릉을 천장할 편부를 의논하게 하다
예종 00년(1468, 세) 12월 10일(병신) ; 육조 참판 이상이 육선 들기를 청하나 윤허치 않고 보경당에서 가훈 을 듣다
예종 00년(1468, 세) 12월 28일(갑인) ; 정인지,구치관,최항,심회 등을 천릉 도감 제조로 삼으니 관련 사목을 아뢰다
예종 00년(1468, 세) 12월 29일(을묘) ; 고부 청시사의 통사 황중 등이 돌아와서 세조의 시호를 ,혜장,이라고 보고하다
예종 01년(1469, 세) 01월 23일(무인) ; 한명회,최항,이석형,오자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예종 01년(1469, 세) 02월 01일(병술) ; 역적 이시애의 연좌인을 모두 속히 극변에 유배시키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2월 02일(정해) ; 압해관 석섬이 요동에서 돌아와 건주위에 아무런 일도 없음을 아뢰다
예종 01년(1469, 세) 02월 03일(무자) ; 익대 공신들의 교서 중 미진한 부분을 최항에게 보충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2월 28일(계축) ; 개월의 법과 벼슬을 대신 가하는 법을 원상으로 하여금 의논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윤02월 10일(을축) ; 사람과 말을 얼어죽게 내버려 둔 이중손,오서 등을 우선 파직 시키다
예종 01년(1469, 세) 윤02월 22일(정축) ; 농삿달을 당해 역부의 수를 줄일 것을 대신들과 의논하다
예종 01년(1469, 세) 윤02월 24일(기묘) ; 구치관이 평안도로부터 돌아와서 민폐를 조목별로 올린 것을 의논 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윤02월 29일(갑신) ; 최안 등이 사제 감조관과 통사들에게 벼슬을 더해 주기를 간절히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3월 01일(을유) ; 숭문당에 나아가서 민혜와 황운을 국문하고 관련자들도 국문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3월 10일(갑오) ; 실정을 고하지 않은 민혜를 장을 때려 신문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3월 21일(을사) ; 형벌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당위성을 중외에 알리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3월 22일(병오) ; 민혜를 참형에 처하게 하고 처첩과 자손을 관노비로 영속시키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3월 22일(병오) ; 왜인의 피살 사건을 심핵하게 하고 양식을 주는 것 등은 고례를 따르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01일(갑인) ; 궁온을 춘추관 실록청에 내려 주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06일(기미) ; 사신을 청하여 잔치를 베풀고 무사로 하여금 사후,기사하게 하여 보이고자 전교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12일(을축) ; 입조하는 사행 때의 영송군 수 및 양향을 실어 들이는 일 등에 관한 오백창의 상소
예종 01년(1469, 세) 04월 13일(병인) ; 문사를 경회루에 모으고, 정인지 등을 시관으로 삼아 책제를 내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13일(병인) ; 임금이 서현정에 나아가 무신과 군사,한량 등으로 기사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16일(기사) ; 구치관 등이 종모법이 다시 세워졌으니 보충군을 군으로 고칠 것을 의논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22일(을해) ; 이숭원 등이 배를 타고 도둑질하는 자는 그 처자까지 주륙할 것을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22일(을해) ; 예조에서 가을 별시에 원점이 1백 50점을 채운 자는 시험에 나아가 도록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22일(을해) ; 정동이 을해년에 하사한 집터를 환납하고 노비를 더 줄 것을 청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24일(정축) ; 춘추관에서 《세조대왕실록》을 편수하면서 사초를 거두어 들이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25일(무인) ; 한명회,최항,권감,이숭원 등이 원숙강을 국문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27일(경진) ; 한명회,최항,권감 등에게 명하여 강치성을 국문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28일(신사) ; 한치인이 여러 번 승정원에 와서, 앞서 사신이 사증한 것을 회증 하기를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4월 30일(계미) ; 영릉을 이미 옮긴 뒤에 밀성군 이침이 낭리의 논공을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5월 17일(경자) ; 잡범 대벽을 국휼로 말미암아 3년을 기다려 처결하지 말고, 도둑의 예에 따르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5월 24일(정미) ; 안효례가 병선 1만여 척이 충청도에서 길주로 돌아가 정박하였다 고 아뢰다
예종 01년(1469, 세) 05월 25일(무신) ; 정인지,정창손,심회 등에게 옥년 등이 말한 바를 신문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05일(정사) ; 《강목》과《한기》를 내어 보이며, 책제를 내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06일(무오) ; 이조 판서 홍응이 오부에 이장과 이수를 혁파할 것을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07일(기미) ; 임금이 경회루 아래서 왜인 14인을 인견하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09일(신유) ; 반송사 신숙주가 와서 복명하니, 임금이 사정전에 나아가 신숙주 등을 인견하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11일(계해) ; 성균관 유생으로 전강에 나온 자를 사정전에 모이게 하고, 표문의 제목 셋을 내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12일(갑자) ; 병조에서 응양위도 내금위의 예에 의하여 서계를 가려 시취하도록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14일(병인) ; 정인지,신숙주,한명회 등을 불러 녹봉에 관한 일을 의논하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21일(계유) ; 한명회 등에게 명하여 종친 및 문신,제장,제학,유생 등에게 경서를 강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21일(계유) ; 사관의 시재를 다시 하고, 또 성균관 학관이 다시 명륜당에 들어 가는 것을 허락하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23일(을해) ; 대사헌 오백창 등이 통사 황중,김계박,장유화를 데리고 대궐에 나오다
예종 01년(1469, 세) 06월 26일(정축) ; 함길북도 절도사 김교가 올적합을 치죄하기를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7월 17일(무술) ; 임금이 영창전에서 기우제를 지내자 큰 비가 내리다
예종 01년(1469, 세) 07월 17일(무술) ; 봉선사를 영조하는 일이 긴급하나, 백성들이 괴로와하면 감하도록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7월 22일(계묘) ; 서얼인 유자광의 동모제 유자형 등 2인을 생원시에 부거하도록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7월 26일(정미) ; 정인지,정창손 등에게 정병을 8번으로 나누는 것의 편의를 의논케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7월 27일(무신) ; 종부시에서 그 노예의 말을 듣고 경솔히 행동한 종친은 고신을 거둘 것을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7월 28일(기유) ; 신숙주,한명회,구치관,최항 등이 평안도의 호패를 정지하도록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7월 29일(경술) ; 새로 제수된 수령이 있어 편모와 더불어 부임하기를 원하므로, 이조 에 내리다
예종 01년(1469, 세) 08월 01일(임자) ; 정창손 등에게 명하여 사정전의 월랑에서 문신,제장 등에게 경서를 강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8월 01일(임자) ; 조득림의 선처의 아들 조성이 과거를 보고자 하였으나, 삼관에서 녹명해 주지 않다
예종 01년(1469, 세) 08월 04일(을묘) ; 김초가 의금부를 피해 달아나 숨었다가, 스스로 의금부에 나아가다
예종 01년(1469, 세) 08월 08일(기미) ; 신숙주 등을 불러 민형 등이 노비를 가지고 서로 소송한 일을 의논 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8월 11일(임술) ; 신숙주,한명회,최항,이극배에게 명하여 전중생을 국문하도록 하다
예종 01년(1469, 세) 08월 15일(병인) ; 정창손 등이 청렴하고 근신하지 못한 이준을 죄주도록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8월 15일(병인) ; 역적 이시애 등의 연좌에 관한 정은의 계본에 의거하여 의금부에서 아뢰다
예종 01년(1469, 세) 08월 16일(정묘) ; 예문관 봉교 안처량과 대교 양수사의 상소
예종 01년(1469, 세) 08월 27일(무인) ; 영순군 이부,고령군 신숙주,하성군 정현조 등이 《무정보감》을 바 치다
예종 01년(1469, 세) 09월 01일(신사) ; 좌부승지 한계순이 절도사에게만 주던 밀부를 관찰사에게도 줄 것을 청하다
예종 01년(1469, 세) 09월 11일(신묘) ; 군사를 겁탈하여 옥에 갇힌 자 20여 인 중 독동 등 4인이 형장을 맞아 죽다
예종 01년(1469, 세) 09월 16일(병신) ; 2품 이상의 재추, 춘추관,내의원의 관원을 명소하여 경회루 밑에서 공궤하다
예종 01년(1469, 세) 09월 25일(을사) ; 정창손,신숙주,구치관 등을 불러 공정 대왕의 칭종 문제를 의논하다
예종 01년(1469, 세) 09월 27일(정미) ; 최항,김국광 등이 《경국대전》을 지어 바치다
예종 01년(1469, 세) 10월 01일(신해) ; 최항,윤자운 등에게 명하여, 운수군 이효성 등 18인에게 제서를 강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10월 07일(정사) ; 총통군을 다시 세우도록 청한 경상우도 절도사 이극균의 상소
예종 01년(1469, 세) 10월 23일(계유) ; 강희맹이 전라도와 경상도에 도적이 활개치고 있다는 것을 아뢰다
예종 01년(1469, 세) 10월 27일(정축) ; 상당군 한명회와 영성군 회항에게 명하여 승려를 금할 조건을 초 하게 하다
예종 01년(1469, 세) 11월 12일(임진) ; 신숙주,한명회,최항 등이 병선의 연훈과 개삭에 관해 의논하여 아 뢰다
예종 01년(1469, 세) 11월 28일(무신) ; 진시에 임금이 자미당에서 훙하다
예종 부록년(명단, 세) 월 《예종일실록》 ;수관 명단
성종 00년(1469, 세) 11월 28일(무신) ; 예종이 돌아가시니 대비의 명에 의해 경복궁에서 즉위하다
성종 00년(1469, 세) 12월 01일(경술) ; 원상과 승지들이 대행왕의 병세를 아뢰지 않은 내의와 내시를 처벌 할 것을 청하다
성종 00년(1469, 세) 12월 04일(계축) ; 대왕대비가 원상들에게 호패법에 대해 묻자 원상들이 이를 논의 하다
성종 00년(1469, 세) 12월 10일(기미) ; 대왕대비가 원상들과 함께 기인의 폐지에 관하여 논의하다
성종 00년(1469, 세) 12월 13일(임술) ; 감기를 앓으니 원상들이 대왕대비에게 임금이 육즙을 들도록 권할 것을 청하다
성종 00년(1469, 세) 12월 14일(계해) ; 대왕대비의 명으로 원상들이 두 대비전에 공상하는 물품을 줄이는 일을 의논하다
성종 00년(1469, 세) 12월 23일(임신) ; 원상들과 더불어 이거을가개를 죽인 자들을 잡아오는 것에 대해 논의하다
성종 00년(1469, 세) 12월 29일(무인) ; 신숙주,한명회,구치관,최항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성종 01년(1470, 세) 01월 03일(임오) ; 원상들이 왕명에 따라 승정원에 모여서 최세호와 그 사건에 관련된 증인을 국문하다
성종 01년(1470, 세) 01월 09일(무자) ; 원상들에게 관리 중에서 사람을 골라 천문을 익히게 하는 일을 의논 하게 하다
성종 01년(1470, 세) 01월 18일(정유) ; 여러 신하들이 장순빈,의경 세자,수빈의 칭호를 추숭하는 일에 대해 논의하다
성종 01년(1470, 세) 01월 22일(신축) ; 장순빈의 시호,능호와 의경 세자의 시호,묘호,능호와 수빈의 휘호를 정하다
성종 01년(1470, 세) 02월 01일(경술) ; 효령 대군 이보 등이 종친에게도 대신 가자하여 줄 것을 청하니 원상 과 의논하다
성종 01년(1470, 세) 02월 06일(을묘) ; 경연에 나아가다
성종 01년(1470, 세) 02월 11일(경신) ; 여러 원상과 대신에게 《대전》의 호전,이전을 교정하게 하다
성종 01년(1470, 세) 02월 13일(임술) ; 정창손의 의논에 따라 도사가 찰방을 겸하지 말게 하다
성종 01년(1470, 세) 02월 22일(신미) ; 대사헌 이극돈 등이 경연,학교 포상 수령 등에 대해 올린 상소문
성종 01년(1470, 세) 02월 24일(계유) ; 신하들과 함께 평안도와 함경도의 절도사를 감하는 것에 대해 논의 하다
성종 01년(1470, 세) 02월 30일(기묘) ; 한명회 등 원상들이 활쏘기를 구경할 것을 청하다
성종 01년(1470, 세) 03월 02일(신사) ; 한명회,신숙주 등 원상들과 함께 형명(形名)을 쓰는 것에 대해 논의 하다
성종 01년(1470, 세) 03월 09일(무자) ; 주강에서 숙선 옹주,경신 옹주 모녀가 서로 송사한 일을 논의하다
성종 01년(1470, 세) 03월 17일(병신) ; 형조에서 정득견이 배장과 간통하고 배장의 간부 중이를 죽인 일을 아뢰다
성종 01년(1470, 세) 04월 03일(신해) ; 원상들이 고기 드시기를 청하다
성종 01년(1470, 세) 04월 03일(신해) ; 유자광의 반인(伴人) 박성간이 유자광이 난언을 하였다고 고하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02일(기묘) ; 태평관에 거둥하여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고 하사품을 내리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03일(경진) ; 형조 좌랑 최숙정이 고알의 금지 살인 강도 가족의 형량 감면 등을 청하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03일(경진) ; 원상들이 4월 14일의 사간원 상소에 대해 논의하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05일(임오) ; 생원 구영안이 그 아내 신씨를 버린 일을 여러 원상과 논의하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07일(갑신) ; 건주위의 이우지가무가 내조하려고 하니 명의 허락이 없음을 이유 로 허락치 않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08일(을유) ; 대사헌 한치형 등이 중의 자식의 신분,계제법 시행,둔전 혁파 등에 대해 상소하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09일(병술) ; 행 부사직 정희서가 명나라 태감 심회에게 선물을 주는 일에 대해 아뢰다
성종01년(1470, 세) 05월 09일(병술) ; 대왕대비가 원상들과 함께 난신에 연좌된 사람을 방면하는 일을 논 의하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20일(정유) ; 중국 사신이 요청하는 일 중에서 전례에 어긋나는 것은 막게 하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23일(경자) ; 중국 사신이 노사신의 승직을 청하는 일에 대해 신하들과 논의하다
성종 01년(1470, 세) 05월 26일(계묘) ; 원상들이 장영기를 잡는데 공을 세운 자들을 포상하는 방법을 정하 여 아뢰다
성종 01년(1470, 세) 06월 01일(무신) ; 원상들이 물만 밥을 들지 말 것을 청하다
성종 01년(1470, 세) 06월 03일(경술) ; 구치관,조석문,한계미,김길통,어세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성종 01년(1470, 세) 06월 17일(갑자) ; 영성 부원군 최항이 사직을 청하다
성종 01년(1470, 세) 06월 24일(신미) ; 등문고를 다시 설치하는 것을 원상에게 의논하게 하다
성종 01년(1470, 세) 07월 26일(임인) ; 신숙주,한명회,최항 등 중국 사신의 접대에 수고한 대신들에게 말을 내려 주다
성종 01년(1470, 세) 08월 27일(임신) ; 김득부를 조율하지 않은 문제로 황효원,임원준,오백창을 대질하다
성종 01년(1470, 세) 09월 19일(갑오) ; 선정전에 나아가서 연을 베풀다
성종 01년(1470, 세) 10월 20일(갑자) ; 신숙주,최항,노사신,서거정을 과거 시험관으로 삼도록 명하다
성종 01년(1470, 세) 10월 27일(신미) ; 영성 부원군 최항 등이 《경국대전》을 교정하여 올리다
성종 01년(1470, 세) 11월 11일(을유) ; 사헌부에서 전라도 수군 절도사 조종지 등을 처벌할 것을 아뢰다
성종 01년(1470, 세) 11월 25일(기해) ; 영성 부원군 최항에게 상소문들을 가려서 아뢸 것을 명하다
성종 01년(1470, 세) 12월 26일(기사) ; 3전에 잔치를 올리고 여러 신하들에게 술과 풍악을 하사하다
성종 02년(1471, 세) 01월 07일(경진) ; 봉숭을 주청할 일을 정인지,정창손,신숙주,한명회 등과 의논하다
성종 02년(1471, 세) 01월 24일(정유) ; 의경왕을 추존하여 온문 의경왕으로 삼고 향례를 행하다
성종 02년(1471, 세) 02월 01일(갑진) ; 영성 부원군 최항이 문사가 훌륭한 자로서 임사홍,박시형 등을 아 뢰다
성종 02년(1471, 세) 02월 19일(임술) ; 정인지,정창손,신숙주,한명회,심회,최항 등에게 물건을 내려 주다
성종 02년(1471, 세) 03월 12일(을유) ; 성균관에 거둥하여 선성에 제사지내고 명륜당에 나아가서 시학 하다
성종 02년(1471, 세) 03월 18일(신묘) ; 선정전에 나아가서 주연을 베풀고 니마거 올적합 김우두 등 6인을 인견하다
성종 02년(1471, 세) 03월 21일(갑오) ; 김선도를 모해하는 사건으로 박성미를 하옥하고 국문하게 하다
성종 02년(1471, 세) 03월 24일(정유) ; 공정 대왕의 자손인 춘산수 이귀손 등이 종친에게 예우를 해 줄 것을 청하다
성종 02년(1471, 세) 03월 27일(경자) ; 이조에 전지하여 신숙주 등에게 좌리 공신호를 내려 주게 하다
성종 02년(1471, 세) 05월 18일(경인) ; 예조 정랑 김자정 등 5인이 윤대하여 노비의 소송에 대하여 아뢰다
성종 02년(1471, 세) 05월 20일(임진) ; 사간원 대사간 김수녕 등이 상소하여 시사를 조목별로 아뢰다
성종 02년(1471, 세) 06월 01일(임인) ; 원상,의정부,육조 판서를 불러 의경왕의 추숭을 의논하게 하다
성종 02년(1471, 세) 06월 08일(기유) ; 전옥의 죄수인 강도 이은산 등 13인이 반옥하려던 모의를 발각하다
성종 02년(1471, 세) 08월 22일(임술) ; 일본국 대마주 태수 종정국의 특송 8명을 인견하고 물건을 내리다
성종 02년(1471, 세) 08월 24일(갑자) ; 원풍구,친상,종정수 등의 사신들을 인견하고 물건을 내리다
성종 02년(1471, 세) 09월 11일(경진) ; 변경 침입자들에 대한 영안북도 병마 수군 절도사 선형의 보고와 대책 논의
성종 02년(1471, 세) 09월 12일(신사) ; 인정전에서 양로연을 베풀다
성종 02년(1471, 세) 10월 03일(신미) ; 영안북도 절도사 선형이 야인들의 공물에 대해 치계하니 의논하여 유시하다
성종 02년(1471, 세) 10월 23일(신묘) ; 신숙주,최항,성봉조,윤자운,함우치 등 11명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성종 02년(1471, 세) 10월 24일(임진) ; 이시애의 역당 조벽과 왕래한 자들을 원상의 의논대로 처벌케 하다
성종 02년(1471, 세) 11월 08일(병오) ; 원상들이 대왕대비께 육선 올릴 것과 각 대비전 물선의 진상을 허 하도록 청하다
성종 02년(1471, 세) 12월 18일(을유) ; 《세조대왕실록》의 수찬관들에게 상을 내리다
성종 03년(1472, 세) 01월 14일(신해) ; 부묘제의 각 담당관들에게 상을 하사하다
성종 03년(1472, 세) 01월 15일(임자) ; 조목별로 시폐를 진술한 대사간 성준 등의 상소문과 그에 대한 원상의 의논 내용
성종 03년(1472, 세) 03월 06일(임인) ; 인정전에 나아가 선비들을 책문하다
성종 03년(1472, 세) 05월 01일(정유) ; 영의정 신숙주,좌의정 최항 등이 사직하기를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성종 03년(1472, 세) 05월 03일(기해) ; 경연에서 강이 끝나자 신하들과 오백창의 일을 의논하다
성종 03년(1472, 세) 05월 10일(병오) ; 《예종대왕실록》의 수찬관 신숙주,한명회,최항 등에게 물품을 하사하다
성종 03년(1472, 세) 06월 06일(신미) ; 일본국 사량위문정수가 세조의 어용을 만든 일에 대해 논의하다
성종 03년(1472, 세) 07월 20일(을묘) ; 형옥에 원통하게 체류된 자가 있는가를 묻다
성종 03년(1472, 세) 08월 12일(병자) ; 원상 정인지,정창손 등이 오백창의 처리에 대해 의논하다
성종 03년(1472, 세) 08월 13일(정축) ; 사복시에 전지하여 효령 대군 이보 등에게 아마 1필씩을 주게 하다
성종 03년(1472, 세) 10월 17일(경진) ; 원상 정인지,정창손,신숙주,한명회 등에게 초구 각 1령을 하사하다
성종 03년(1472, 세) 11월 26일(무오) ; 제용감에서 쓸 수 없는 것은 옷을 만들어 군사에게 나누어 주게 하다
성종 03년(1472, 세) 11월 26일(무오) ; 신숙주,최항이 승문원의 직책에 대해 아뢰다
성종 03년(1472, 세) 12월 15일(정축) ; 경상우도 수군 절도사 이거인이 하직하며 화약고를 짓게 할 것을 청하다
성종 04년(1473, 세) 01월 12일(계묘) ; 사간원 대사간 성준 등이 상소하여 시사를 조목으로 들어서 아뢰다
성종 04년(1473, 세) 02월 10일(신미) ; 봉상시 첨정 정효종이 윤대하여 시사에 대해 아뢰다
성종 04년(1473, 세) 03월 01일(신묘) ; 선정전에 나아가 예문관 부응교 노공필 등 8인을 불러 경서의 글뜻 을 문난하다
성종 04년(1473, 세) 03월 02일(임진) ; 원상 한명회 등이 기로연을 상례대로 베풀 것을 청하다
성종 04년(1473, 세) 03월 07일(정유) ; 서울 여러 관청의 노비를 입역시키는 것에 대해 신하들과 의논하다
성종 04년(1473, 세) 04월 04일(갑자) ; 선정전에 나아가 종묘의 하향 대제를 행하고 음복하다
성종 04년(1473, 세) 05월 01일(신묘) ; 선정전에 나아가서 종친,문신,유생 등에게 《서경》을 강하다
성종 04년(1473, 세) 06월 06일(을축) ; 대왕대비가 오백창의 일을 원상들에게 의논하여 아뢰라고 전지 하다
성종 04년(1473, 세) 06월 08일(정묘) ; 세종,문종,세조,예종의 실록의 인출을 끝낸 공을 위로하다
성종 04년(1473, 세) 07월 11일(경자) ; 병조 좌랑 김예원 등이 변방 장수가 고을 수령을 천거하지 못하도 록 할 것을 청하다
성종 04년(1473, 세) 07월 18일(정미) ; 대사헌 서거정 등이 사찰에서 일어나는 여승과 부녀자에의한 풍기 문란을 논하다
성종 04년(1473, 세) 07월 21일(경술) ; 충재로 인해 배릉만을 행하고 강무는 정지하다
성종 04년(1473, 세) 07월 30일(기미) ; 부제학 이극기 등이 절약,내수사,과전,인사,상벌 등에 대하여 상소 하여 논하다②
성종 04년(1473, 세) 08월 06일(을축) ; 원상들과 함께 수령을 영송할 때 인마가 번잡하여 일어나는 폐단에 대해 논의하다
성종 04년(1473, 세) 09월 05일(계사) ; 호조에서 금년에 흉년이 든 경기도를 구제할 방법을 계달하여 아뢰 니 이에 따르다
성종 04년(1473, 세) 10월 01일(기미) ; 맏아들이 후사가 없을 경우 첩의 아들이 아닌 다른 아들이 제사를 받들도록 하다
성종 04년(1473, 세) 10월 23일(신사) ; 원상들로 하여금 왜구를 가장한 해적을 소탕하는 방책을 논의하게 하다
성종 04년(1473, 세) 11월 19일(병오) ; 경연에서 허적,이계통,최항,신정 등이 조지당,이숙,옥진의 죄를 논 하다
성종 04년(1473, 세) 11월 19일(병오) ; 신숙주,최항,서거정 등에게 우부승지 유권을 보내어 술을 내리다
성종 04년(1473, 세) 11월 24일(신해) ; 올량합 대호군 탁시 등 8인이 하직하니 인견하고 니응가대에게 호군 을 제수하다
성종 04년(1473, 세) 12월 13일(기사) ; 대사헌 서거정 등이 흉년을 이유로 경복궁 수리가 불가하다고 아뢰 다
성종 05년(1474, 세) 01월 05일(신묘) ; 박숭겸이 병조에서 오고 이중의 예에 따라 아비 박휘를 파직함은 잘못이라고 아뢰다
성종 05년(1474, 세) 02월 07일(임술) ; 경연에서 안침,김질이 서울에서 소를 도살하는 거골장을 변방으로 옮길 것을 청하다
성종 05년(1474, 세) 02월 26일(신사) ; 정괄이 이조의 당상관이 모두 문신이 아니니 1원을 문신으로 바꿀 것을 청하다
성종 05년(1474, 세) 03월 15일(경자) ; 인정전에 나아가 선비들을 책문하고 구언하다
성종 05년(1474, 세) 04월 05일(기미) ; 대사헌 이예 등이 글을 올려 조효례를 파직할 것을 청하였으나 듣지 않다
성종 05년(1474, 세) 04월 15일(기사) ; 서거정,이승소,이극증,신숙주 등 여러 신하들을 국상을 담당하는 직책에 임명하다
성종 05년(1474, 세) 04월 20일(갑술) ; 정인지,정창손,최항 등의 신하들에게 공릉 부근에다 능지를 살펴 보게 하다
성종 05년(1474, 세) 04월 24일(무인) ; 신숙주,조석문,홍윤성,김질 등이 사헌부의 논죄를 입었다고 하며 피혐하고자 하다
성종 05년(1474, 세) 04월 28일(임오) ; 좌의정 최항의 졸기(성종5년1474년 4월29일 계미 졸하다))
성종 05년(1474, 세) 04월 29일(계미) ; 동부승지 김영견을 최항의 집에 보내어 조문하게 하다
성종 05년(1474, 세) 04월 30일(갑신) ; 졸한 최항에게 부물(賻物)을 내리다
성종 06년(1475, 세) 02월 11일(경인) ; 호조에서 세금으로써 거두는 미두 운송 방식의 폐단에 관하여 아뢰 다
성종 06년(1475, 세) 02월 18일(정유) ; 알성시 문제를 원상에게 전교하고 성균관에 출사하여 가르칠 재상 을 추천하게 하다
성종 07년(1476, 세) 04월 13일(병술) ; 야대에서 《고려사》를 강하다
성종 08년(1477, 세) 07월 24일(기축) ; 유진,이창신 등과 예부 시랑 양관의 효렴과 설치 상소에 대해 논 하다
성종 13년(1482, 세) 09월 16일(신해) ; 영돈녕 이상의 관원에게 김세적의 일을 의논하게 하다
성종 15년(1484, 세) 07월 05일(기축) ; 승정원에 문장에 능한 자들의 초고를 세초(歲抄) 때마다 입계토록 전교하다
성종 21년(1490, 세) 07월 11일(신유) ; 대간을 수령으로 보임하는 것에 대해 영돈녕 이상이 의논한 내용
성종 23년(1492, 세) 03월 19일(기축) ; 문형을 담당하는 대제학에 적합한 인물을 의논케 하고 홍귀달에게 제수하다
성종 24년(1493, 세) 01월 28일(갑오) ; 부제학 안침 등이 김종직의 시호를 바꿀 수 없음과 유생에게 죄를 주는 것이 부당함을 아뢰다
성종 24년(1493, 세) 윤05월 03일(병신) ; 형조 판서 김여석의 졸기
연산 04년(1498, 세) 08월 09일(임신) ; 실록청 당상 성준이 재상들로 하여금 《실록》 감수를 하게 할 것을 건의하다
연산 05년(1499, 세) 07월 12일(경오) ; 서정 도원수 성준은 이계동을 서방 정벌에 종사시켜야 한다고 아뢰 니 허락하다
연산 10년(1504, 세) 02월 23일(을묘) ; 김감이 관직을 사양하다
중종 02년(1507, 세) 04월 08일(신사) ; 박원종 등이 과거의 중요성 및 근래 사습에 대해 아뢰니 따르다
중종 08년(1513, 세) 12월 15일(기유) ; 대간이 유자광,정막개,이손,최항 등의 일을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중종 08년(1513, 세) 12월 17일(신해) ; 대간,홍문관이 유자광,정막개,최항 등의 일을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중종 08년(1513, 세) 12월 18일(임자) ; 대간,홍문관이 유자광,정막개,최항 등의 일을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중종 08년(1513, 세) 12월 19일(계축) ; 대간이 유자광,정막개,최항 등의 일을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중종 08년(1513, 세) 12월 25일(기미) ; 대간이 대궐 내에서의 채소농사 중지를 청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중종 11년(1516, 세) 03월 06일(정해) ; 표빙신상 등이 기신재 혁파를 건의하다
중종 11년(1516, 세) 03월 27일(무신) ; 남원장흥 등지의 군적문제, 선상시 그 값의 배정문제 등에 대한 정광필의 상소
중종 11년(1516, 세) 04월 22일(계유) ; 정승으로 대제학의 겸임 여부를 물은 뒤, 남곤을 대제학으로 삼다
중종 21년(1526, 세) 11월 05일(갑신) ; 대간 등이 김경사 등에 대한 인사에 이의를 제기하다
중종 21년(1526, 세) 11월 06일(을유) ; 대간 등이 전의 일을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중종 21년(1526, 세) 11월 07일(병술) ; 대간 등이 전의 일을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중종 21년(1526, 세) 11월 14일(계사) ; 대간이 보덕 강현의 체직을 철회할 것을 간하다
중종 21년(1526, 세) 11월 16일(을미) ; 대간 등이 함경도 도사 손보의 정5품 승진을 개정할 것을 청하다
중종 21년(1526, 세) 11월 20일(기해) ; 대간이 홍언필,최항의 일을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중종 21년(1526, 세) 11월 21일(경자) ; 사헌부에서 함경도 도사 손보,형조 좌랑 표빈을 체직시키기를 간 하다
중종 21년(1526, 세) 11월 22일(신축) ; 대간 등이 전의 일을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중종 21년(1526, 세) 11월 25일(갑진) ; 대간 등이 형조 정랑 박세영의 정5품직 임명에 이의를 제기하다
중종 28년(1533, 세) 11월 06일(갑진) ; 전한 최항이 체직을 청하다
중종 31년(1536, 세) 06월 05일(무자) ; 대간이 아뢴 일 중에서 상진의 일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윤허하다
중종 36년(1541, 세) 02월 18일(을해) ; 강원 관찰사 김섬이 경차관 파견을 아뢰나 본도의 도사가 추고하라 고 이르다
명종 00년(1545, 세) 11월 10일(기사) ; 사헌부가 도감 낭청 이홍간 등의 관한 일로 아뢰나 불윤하다
명종 08년(1553, 세) 10월 15일(무자) ; 사헌부가 서얼의 명칭을 역사에서 살펴 고하다
명종 10년(1555, 세) 03월 20일(을묘) ; 조강에 나아가니 영경연사 윤개가 과거의 제술 분수에 문제가 있음 을 아뢰다
선조 29년(1596, 세) 04월 20일(병진) ; 사헌부에서 전에 아뢴 최황,이심,이형욱,민여임,송선,이석령,유근의 파직을 청하다
선조 37년(1604, 세) 05월 28일(무인) ; 우의정 기자헌이 벼슬 기간과 나이를 이유로 사직서를 올렸으나 불허하다
영조 12년(1736, 세) 03월 11일(을사) ; 김정윤이 논한 승정원에 대한 일을 묻고, 인재 등용은 승정원의 전계에 따르다
정조 09년(1785, 세) 09월 11일(정사) ; 《대전통편》을 반포하다
정조 23년(1799, 세) 06월 04일(신묘) ; 불순한 학설을 물리치는 방도에 대해 신하들에게 이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