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1. 초세진단의 필요성 |
|
오이는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함께 진행되기 때문에 자라고 있는 오이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어야만 각종 생리장해의 발생을 미리 막을 수 있고 좋은 품질의 오이를 계속하여 수확 할 수 있다. 지금의 오이 모습, 즉 잎이나, 덩굴손, 꽃, 줄기 등의 상태를 보고 온도가 부족한지, 질소질 비료가 많은지, 또는 토양수분이 많고 적은지를 잘 알아야만 이에 적합한 관리수단을 강구할 수 있기 때문에 초세 진단요령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
2. 초세진단요령 |
|
|
가. 떡잎 |
|
|
떡잎은 발아후 초기생육이 원활하도록 생장점과 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그 중요성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
|
|
|
|
|
|
|
그림1. 아후 오이 떡잎의 모습(1:기형, 이상, 2:정상 떡잎)
|
|
|
저온으로 떡잎의 전개가 나쁘고 오그라들게 되면 떡잎 내에 양분이 뿌리와 생장점으로 이동이 늦어져 생육이 부진하여 지는 것이 보통이다. 반대로 너무 고온다습조건이 되면 떡잎이 지나치게 크게 자라 양분이 빨리 소모되므로 처음에는 빨리 자라던 오이도 양분공급이 적어지면 떡잎은 마르고 줄기는 연약해져서 입고병 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떡잎의 상태는 육묘의 지표로 인식되고 있어 오랫동안 튼튼한 떡잎을 갖고 있는 모종이 건전한 모종으로 추후 꽃눈분화와 측지발생 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오이 발아시 떡잎이 전개되는 상태는 편편해야 하는데, 오전에 전개하는 것이 배축이 웃자라지 않게 된다. 떡잎이 구부러지는 것은 파종상의 수분이 부족하거나 저온인 경우가 많다. 고온다습조건하에서 밤동안에 전개되면 배축이 웃자라고 연약하게 된다. 또 떡잎이 일찍 누래지는 것은 햇빛이 부족하거나 비료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
|
|
표 1. 오이 떡잎에 의한 생육상태 진단 요령 |
정상생육
|
비정상생육
|
비정상의 원인
|
- 편편하게 전개 - 아침시간에 전개 - 오랫동안 전개
|
- 굴곡 - 도장(밤에 전개) - 조기 황화 |
- 수분부족, 저온 - 수분과다, 고온 - 광부족, 비료부족 |
|
|
|
나. 생장점과 잎 |
|
|
오이의 생장점은 매일 자라기 때문에 변화가 가장 심하다. 색깔, 광택, 전개한 잎의 위치, 크기 등이 항상 변하므로 생육진단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오이의 생장점은 큰잎 두장 정도가 둘러싼 봉오리 형태를 취하여야 하고, 전개하는 엽은 결각이 뚜렷하고 위쪽를 향하고 있으며 약간 연하고 광택이 있어야 한다(그림 1).
|
|
|
|
|
|
|
|
그림 2. 정상적으로 자라고 있는 생장점의 모습(A)
|
|
|
그러나 잎에 완전히 둘러싸여 봉오리가 보이지 않을 경우는 웃자라고 있는 상태로 질소, 수분과다, 고온 등이 원인이다. 이때에는 영양생장이 강하므로 열매가 잘 맺히지 않고 잎만 무성하기 쉽다. 반대로 작은 잎의 전개가 빠르고 마디사이에 암꽃이 많이 보일 때는 순멎이 현상이 일어난다.
|
|
|
표 2. 오이 생장점과 잎에 의한 생육상태 진단 요령 |
구 분 |
주 요 증 상
|
진단결과(주요인) |
생장점
|
o 어린잎이 않보임 o 생장점에 꽃이 보임 o 힘이 없음
|
- 알칼리토양, 질소과다 - 야간저온, 저지온, 비료부족 - 건조, 과습, 낮은 기, 지온
|
상위엽
|
o 전엽의 황화 - 엽맥간 황백화 - 담록황화 o 엽연의 고사 - 엽맥간 황백화 - 엽연 황갈변 - 순멎이, 왜소, 완곡 - 일부 갈변, 위축 o 모자이크상:농담상 모자이크 o 습윤상으로 갈변:흑색분말상 o 위조 - 전엽위조 - 위조고사
|
철(Fe)결핍 유황(S)결핍 암모니아 과잉 칼슘(Ca)결핍 먼지응해피해 붕소(B)결핍 모자이크병 흑성병 만할병 역 병
|
중위엽
|
o 엽맥간변색 - 엽연을 남기고 엽맥간황화 - 엽맥간황화, 엽연 황갈변반 - 엽맥간에 황록색 소반점 o 엽맥간병반 - 소반점 - 엽맥에 둘러쌓인 각형 병반 - 황갈색 원형 소반점 o 엽연고사: 엽연으로 부터 고사
|
마그네슘(Mg)결핍 아연(Zn)결핍 황화병 반점세균병 노균병 탄저병 카리(K)결핍
|
하위엽
|
o 엽연이상 - 엽가장자리가 말림 o 엽맥에 따라 이상 - 황갈색 반점 - 엽맥축에 피지형 담갈색 병반 o 엽맥간황화-가장자리를 남기고 엽맥간 황화
|
붕소과잉 망간과잉 만고병 마그네슘(Mg)결핍
|
|
|
|
그림 2. 순멎이 현상은 밤기온, 지온이 낮거나, 토양수분, 비료가 부족할 경우가 많은데 빨리 영양생장쪽으로 바뀌지 않으면 급격히 초세가 떨어진다. 잎은 광합성을 통하여 오이가 자라는데 필요한 양분을 만드는 장소로 각종 양분의 과부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상위엽에는 철분(Fe), 유황(S), 칼슘(Ca), 붕소(B) 결핍증이 잘 나타나고, 중위엽에는 마그네슘(Mg), 아연(Zn), 카리(K) 결핍증이 잘 나타난다. 하위엽에는 결핍증 보다는 과잉증상이 잘 나타나는데, 붕소, 망간과잉증은 하위엽에 주로 나타난다. 또한 만할병과 흑성병은 상위엽에, 반점세균병과 노균병, 탄저병은 중위엽에 잘 나타난다.
|
|
|
|
|
|
|
|
그림 3. 순멎이가 생긴 생장점의 모습 (야간저온, 저지온, 비료부족 등이 원인이다)
|
|
|
다. 덩굴손 |
|
|
덩굴손은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여 힘차게 뻗어 나오는 것이 정상이나(그림 2의 B), 건조하거나 비료가 부족할 때에는 힘이 없고 끝이 굳어 있다. 염류농도가 높을 때에도 덩굴손이 힘이 없다. 한마디에 여러 개의 덩굴손이 발생하는 것은 마디가 중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붕소가 결핍되어 기관분화가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
|
|
|
|
|
|
그림 4. 칼리(K) 결핍증 (중위엽의 가장 자리가 타는 듯한 증상을 보임) - 산성토양:염화칼리 알칼리토양:유산칼리를 추비, 1~2회 엽면살포
|
|
|
표 3. 오이의 덩굴손에 의한 생육상태 진단 요령 |
증 상
|
비정상의 원인 |
완전히 전개치 않고 굳음 한마디에 여러 개 발생 |
저온, 비료부족 붕소결핍 |
|
|
|
라. 줄기 |
|
|
줄기의 마디길이를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키워 나가는 것이 오이재배의 기술이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 및 토양관리를 잘하여 한번도 생리장해를 받지 않아야 하는데, 고온, 다습, 질소과다 등 일 때에는 마디사이가 길어지고, 저온, 건조, 질소부족, 붕소결핍 일 때에는 마디사이가 짧아진다. 측지는 발생량이 많고 상위절에 발생하면 이상적이다.
|
|
|
표 4. 오이 줄기에 의한 생육상태 진단 요령 |
주 요 증 상
|
진단결과(주요인) |
마디사이 7~8㎝ 이상 이하
|
고온, 다습, 질소과다 붕소결핍, 건조, 저 기온 |
o 줄기의 이상 - 줄기가 회갈색으로 됨 - 줄기가 마르고 흰가루가 생김 - 줄기가 수침상 또는 연화됨 o 줄기가 황갈색 또는 암갈색 수침상으로 되어 연화됨
|
. 만고병 만할병 역 병 역 병 |
|
|
|
|
|
|
|
|
그림 5. 정상적으로 자라는 줄기모습 (초세관리를 잘하면 생장점부위가 일정하게 자람)
|
|
|
마. 꽃 |
|
|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의 균형이 맞아 잎의 생성과 열매의 수확이 정상적으로 되고 있을 때에는 오이의 암꽃은 생장점으로부터 40~50㎝떨어진 곳에서 핀다. 이보다 위에 암꽃이 피면 생식생장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점차 초세가 나빠질 수 있고, 그 보다 아래에서 꽃이 피면 영양생장이 강하여 열매의 비대가 불량해지고 곡과가 많이 발생한다. 생식생장으로 치우치는 원인은 저온, 비료부족, 수분부족 등이며, 영양생장이 강해지는 것은 반대로 고온, 다습, 질소과다 등이다. 암꽃이 피는 상태는 품종에 따라 다르나, 열매의 길이가 4㎝정도로 길고 수평 또는 약간 아랫방향으로 향하고 꽃색은 진하게 나타나야 하는데, 비료가 부족하거나 뿌리의 활동이 나쁠 때에는 열매(자방)가 가늘거나 짧고, 꽃잎이 힘이 없고 퇴색되어 있다. 암꽃이 아래를 향하여 있으면 자방의 양분흡수가 떨어져 낙과, 불량과가 되기 쉽고 과실자라는 속도가 늦다.
|
|
|
표 5. 오이꽃에 의한 생육상태 진단 요령 |
생육 상태
|
비정상의 원인 |
40~50cm 위치 보다 낮게 개화 높게 개화 자방길이 4cm이하, 하향, 퇴색
|
고온, 다습, 질소과다 붕소결핍, 건조, 저온 뿌리활동불량, 양분부족 |
|
|
|
|
|
|
|
|
그림 6. 정상적인 암꽃(F)과 수꽃(M)의 모습 (A:초세 강, B:중, C:초세 약)
|
|
|
바. 과실 |
|
|
과실의 모양이나 크기로도 생육진단이 가능한데, 과형이 짧은 경우는 야간온도가 너무 낮을 때 주로 나타나고, 혹이 크고 주름이 강한 것은 초세가 강할 때, 혹이 작고 과실 전체가 늙은 듯한 느낌이 들면 수일 후 부터 상품성이 매우 나빠지기 쉬운데, 이는 웃거름가 너무 늦어 양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어깨가 빠지면서 길게 자라면 영양과잉으로 과번무한 상태이고, 끝이 뽀쪽한 과실은 영양과 수분부족, 뿌리활력이 낮을 때 많이 생기고, 곤봉형 과실은 야간온도가 너무 낮거나, 잎수 부족, 뿌리활력 저하가 주된 원인이다.
|
|
|
표 6. 오이과실에 의한 생육상태 진단 요령 |
주 요 증 상 |
발 생 원 인 |
o 곡과 o 선태과 o 선세과 o 몽땅과 o 류과(끝 빠짐과) o 어깨빠짐과 o 묶음과 o 열과 o 부름과(백분과)
|
비절, 일조부족, 건조, 영양불량, 과도한 적엽 곤봉과, 곤충의 영향, 영양불량 수정장해, 고온건조, 초세약화 접목 불완전, 수분공급부족 동화기능저하 저온, 유전, 영양생장과다 붕소결핍, 고온건조, 화아발육중 장해 건조후의 급격한 흡수 고야온, 고지온, 일조부족 |
|
|
|
|
|
|
|
|
그림 7. 각종 기형과의 모습(원인은 표 8 참고) 1:브름과(백분과) 2:곤봉형 곡과 3-4: 유과(끝이 가는과)
|
|
참 고 문 헌 |
|
|
|
향문사. 1991. 채소원예학 총론, 각론. 박상근 외. 1995. 시설채소의 생리장해와 병해진단. 서울종묘 출판부. 청수부. 1993. 원색 요소장해진단사전. 한국원예기술정보센터. 오이재배(표준영농교본). 2001. 오이재배도감(한국농업정보연구원). 2005. | |
첫댓글 공부 잘 하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