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줄기 우측의 가지 |
아버지와의 과거와 동일화, 중단된 계획이나 노력, 성공하지 못한 연애 등을 나타낸다. |
시들어 있는 가지 |
불쾌한 기억, 시들어 있는 가지에 몇 장의 잎이 남아 있다면 조금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
활기 있고 계속 성장하고 있는 가지 |
현재 정신적 노력과는 관계없지만 보다 발전되고 싶다고 바라는 옛날의 계획이나 생각을 나타낸다. |
줄기 좌측의 가지 |
중단된 연애, 임신, 계획을 나타낸다. |
좌측의 가지가 톱으로 잘린 경우 |
어머니에 대한 비난도 나타나지만(현실적, 공상적) 동성애 경험에 특수한 내용을 추측할 수 있다. |
마) 상흔, 옹이, 꺾인 가지
⇒ 살아오면서 겪은 어려움을 나타냄
톱으로 잘린 가지 |
생각지 않은 사건이나 질병에 의해 외상이 된 상실이나 신체의 외상을 나타낸다. | |
상흔과 끝이 잘린 가지 |
외부에 의해 잘린 가지는 심리적으로 피할 수 없는 고통스런 사건이나 환경으로부터의 커다란 부정적인 충격을 나타낸다. | |
줄기에 그려진 옹이 |
성 경험 자체에 관한 무언가를 의미한다. 즉, 성적 추행, 성적 공격, 강간의 실제 경험을 나타내고 있으며 옹이는 남성보다 여성의 그림에 많이 나타난다.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많은 원이 옹이 속에 그려진 경우는 아물고 있는 상처를 말한다. |
4. 나무 그림의 분석
⇒ 나무뿌리는 과거를 나타내며, 본능과 무의식, 내적 정서를 말한다.
표 현 된 모 양 |
개 별 적 특 성 |
표면으로 드러난 뿌리 |
이해력의 결핍을 나타낸다. |
나무뿌리를 강조하여 그림 |
미성숙함이나 과거에 대해 애착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
죽은 나무뿌리 |
어린 시절에 관하여 강박적이고 우울증적인 느낌을 말한다. |
땅을 움켜쥐듯이 그려진 뿌리 |
생존에 대한 강한 애착을 나타낸다. |
잔뿌리가 많이 난 뿌리 |
탐색적이고 주변의 눈치를 많이 보는 성격이다. |
⇒ 나무 기둥은 자아(ego)를 뜻하며 현재의 정서 상태를 말한다.
표 현 된 모 양 |
개 별 적 특 성 |
굵은 기둥 |
자아가 강하고 고집이 아주 세다. |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기둥 |
나이가 들어 갈수록 더욱 활기 있고 관심 영역 이 확대된다. |
위로 갈수록 급속도로 좁아지는 기둥 |
신경질적이며 긴장된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
좁거나 작은 기둥 |
위축된 자아를 말하며 소심하고 자신감이 없다. |
구멍(상처흔적)이 있는 나무 기둥 |
발달 과정에 외상(상처)가 있음을 의미한다. |
절단된 나무 기둥 |
삶에 대한 의지를 상실한 심리와 침체되어 있고 자살충동을 보이는 사람에게서 나타난다. |
⇒ 나뭇잎은 수관이라고 하며 미래를 뜻한다. 인물화의 머리처럼 정신적인 기능을 말하며 나뭇가지는 인물화의 팔과 같이 대인관계를 나타내고, 열매는 양육의 욕구를 나타낸다.
표현된 모양 |
개 별 적 특 성 |
날카롭게 그린 나뭇잎 |
예민하고 매사에 까다롭고 날카로운 성격이다. |
손 모양처럼 생긴 나뭇잎(단풍잎) |
인정이 많은 사람에게서 나타나며, 사회성과 대인관계가 호전적이며 수용성도 강하다. |
커다랗게 그려진 나뭇잎 |
의지가 약하여 결단력이 없으며 어떤 일을 처리해도 타인의 도움을 바라는 의존성을 가지고 있다. |
부러진 나뭇가지 |
노력이 좌절되거나 위협을 받고 있으며 무력감을 느끼는 사람에게서 나타난다. |
조각난 나뭇가지 |
아이디어는 가지고 있으나 그것을 완성시키지 못하며 어느 곳에도 다다를 수 없는 너무 많은 통로가 있다. |
위나 밖으로 뻗어 가는 통로형 나뭇가지 |
확실한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대체로 시작한 것이 있다면 그것을 끝마치려는 성향이다. |
표 현 된 모 양 |
개 별 적 특 성 | |
끝이 막혀진 가지 |
|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며 어른의 외압에 의해 잠시 자아가 위축된 상태이나 선회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
개방형 가지 |
|
성격이 원만하며 대인관계 좋으나 다소 경계가 약할 수 있다. |
잘려진 가지 |
|
청소년기에 많이 나타나며 억제에 의한 반발심 으로 충동적이고 돌발적이다. |
뾰족한 가지 |
|
약점을 건들었을 땐 타인을 공격할 수 있으며 성격이 예민하고 날카롭다. |
나무의 열매 |
사과, 복숭아, 종합과일 형태 |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과일은 양육의 욕구로 부모의 욕구(care)를 나타내며, 종합 과일의 형태는 보다 강한 욕구를 말한다. |
※ 미술치료를 위한 모든 진단도구들은 단시간 내에 일회적으로 적용되거나 평가되어서는 안 되며 상담과정과 교육진단, 심리검사, 행동검사가 함께 진행된 후 구조화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