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사 절차 ] **
1. [분향 강신] : 제주가 무릎 꿇고 앉아 향을 피우고 두번 절 한후, 빈 술잔("강신잔")에 술을 조금 따른 후 빈 그릇("퇴주기")에 세번 나누어 전부 비운 후 두번 절함. .....(본래는 "모사기"라는 것이 사용되나 설명 생략)
2. [참신] : 제사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두번 절함. (여자는 큰절로 네번 절함)
3. [전작] :
...1) 제주(祭主)가 무릎을 꿇어 앉으면, 왼쪽에서 술잔을 내려 제주에게 건네고, 오른 쪽에서 제주(祭酒:술)를 잔에 가득 따른 후, 술잔을 조금씩 세번 기울여 위쪽의 술을 약간씩만 덜어 냄(술잔 위의 부유물을 제거 한다는 생각으로).
...2) 술잔을 왼쪽으로 제상의 증조부 자리에 올립니다. 그 다음 증조모의 앞에도 동일한 요령으로 잔을 올리며, 그 다음 조부모 및 부모의 앞에도 술잔을 올립니다. ........( 증조모 부터는 오른 쪽으로 술잔을 내리고 올려야 편리 할것임.)
...3) 술잔을 모두 올린 후에는 젓가락을 세번씩 고른 후, 접시("시접")위에 가지런히 놓음. ........( 음식 위에 젓가락을 올려 놓는 집안도 있음--관습에 따름)
...4) 제주는 일어나 두번 절함.
※※ 새 며느리나 새로 태어난 손자녀들이 인사를 드리고저 할 경우에는, 이때에 술잔을 내려, 퇴주 그릇에 술을 전부 비운후, 위의 1) 2) 3) 4)항과 동일한 요령으로 술을 올리면 될것임.
...5) 메(밥) 뚜껑을 열고, 숟가락의 바닥이 제주가 바라보아 오른쪽으로 향하게 메 우에 숟가락 목이 약간 잠길 정도로 꼽아 놓음. ("서편으로 향하게 꼽는다"고 함)
...6) 조상님들께서 조용히 드실 수 있도록, 촛불만 놓아 둔채 전등을 끄고, 벽을 향하여 돌아 서 있거나, 참석한 사람 모두 방문을 열고 밖으로 잠시 나가 있도록 함.
...7) 약 5분 정도 지난후 ("아홉 숟갈 정도 드실 동안"이라 함), 벽을 향한 사람들은 다시 돌아서고, 문 밖에 있던 사람은 제주가 "흠, 흠, 흠" (녹크와 동일) 세번 소리를 낸 후 방으로 들어와 전등을 다시 켜고 제사를 계속 지냄.
...8) 숭늉(평소 실제로 자손들이 먹는 찬물 종류)을 국("갱")과 바꾸어 놓고, 그 위에 숟가락으로 밥을 세번씩 조금만 떠서 물에 담가 놓음.(숟가락 손잡이는 제주가 바라보아 왼쪽으로 향함)
제사음식 차리기
1. 장을 볼 때부터 온갖 정성을 다하여 가장 실하고 깨끗하며, 보기 좋은 재료로 준비하여야 합니다. 산사람 먹는 것이야 싼 것을 먹을 수도 있고, 떨이로 파는 물건을 사다가 맛나게 조리하여 먹을 수도 있는 것이지만 내 핏줄의 근간이 되며, 내 육신과 정신이 있게끔 나를 만들어주신 선조에게 그런 불경스런 짓을 생각하는것은 차라리 제사를 올리지 않는것만 못합니다. 준비된 재료는 항상 세번 정도 깨끗이 씻어 잔칼을 넣지 않고 조리해야 합니다. 잘게 썰어 먹기좋게 하는 것 보다는 나중에 다시 손을 봐서 음복상에 놓더라도 일단 젯상에 올리는 음식은 큼직큼직한 모양새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과일중에서는 복숭아를 쓰지 않으며, 생선은 꽁치, 칼치, 삼치 등 끝자가 '치'자로 된 것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3. 고추가루와 마늘 등 양념을 쓰지 않는다고 되어있으나, 제사음식의 특징인 고추가루만 쓰지 않는다면 나머지 양념들은 무난한 것으로 봅니다. 튀는 색깔과 냄새로 고인의 혼을 쫓아낼 것을 무서워하는 옛날 방법이었으나, 현대에는 고추가루를 제외한 다른 양념들은 그대로 쓰이고 있습니다.
4. 식혜, 탕, 면 등의 제사음식은 국물없이 건데기만 건져서 놓습니다.
5. 조리하는 과정에서 떠들고 웃고 하여 음식에 침이나 머리카락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하며, 특히 고인을 위한 음식인 만큼 먼저 시식을 하는 일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옛날 어른들은 손주가 먼저 간을 보는것이라고 하시면서 귀한 음식을 보고 보채는 어린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에 아이들에게 먼저 한 조각씩 먹이기도 하였으나 핑계거리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이게 잘못 와전되어 요즘은 젯상에 올릴 음식 한 접시씩만 남겨놓고는 미리 자기들끼리 모여앉아 일찌감치 저녁을 먹고 제사를 시작하는 사람들도 있다니 웃다못해 졸도를 할 일입니다.
6. 제사가 들어있는 달에는 부정을 가려야 합니다. 가능하면 상가집이나 애 낳은 집에는 출입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집안에 초상이 있거나 심하게 우환이 있으면 제사를 거르기도 하였습니다. 지방에 따라서는 부정이 들었을때 제사를 거르기가 죄스러워 자손된 정성의 표현으로 상을 괴지 않고 음식을 모두 조리한 그릇째로 상에 놓지 않고 바닥에 창호지만 깔고 놓아 고인이 응감하기를 빌기도 하였습니다.
젯상차리기전에 알아야할 것.
우선 왼쪽과 오른쪽의 구분은 제관을 중심으로 하며, 동과 서의 구분은 지방이나 신주를 모신 곳을 북쪽으로 가정하고 구분합니다. 이렇게 하면 당연히 제관의 오른쪽이 동쪽이 되며, 왼쪽은 서쪽이 됩니다. 젯상의 진설은 제관을 기준으로 맨 앞줄(과일과 조과류 놓는 줄)의 왼쪽으로부터 시작하여 메와 갱까지의 순서로 진행하며, 양위합제시에는 남자를 왼쪽, 여자를 오른쪽에 모십니다. 또한 명절 때나 양위합제의 경우 조상 여러분을 함께 제사드릴 때에는 시저를 신위수대로 올리며, 좌측을 웃어른의 순서로 합니다.
젯상차리는 법
정성스레 준비된 음식은 젯상에 보기 좋게 차려집니다. 제관을 기준으로 맨 앞줄에 과일과 조과류를 그 다음줄에는 반찬류를 놓고 탕류, 적류를 규모에 따라 진설한 다음 맨 윗줄에 메와 갱을 진설하고 시접을 놓습니다.
1. 과일을 놓는 줄 : 조율시이의 규칙을 지키며, 계절에 따른 과일을 쓰기도 합니다. 다식, 유과, 당속 등을 쓸때에는 과일의 양옆이나 가운데에 보기좋게 진설합니다.
2. 반찬을 놓는 줄 : 좌포우혜라 왼쪽에 포를 놓고 오른 쪽에 식혜를 놓으며, 삼색나물과 청장, 침채 등을 놓습니다. 물론 고추가루 양념을 쓰지 않아야 합니다.
3. 탕을 놓는 줄 : 대개 3탕이라하여 육탕(고기류), 어탕(어패류), 소탕(두부, 채소류)의 세가지 탕을 차례로 올리며, 오탕을 쓸때에는 봉탕(닭, 오리류)과 잡탕이 추가 되기도 합니다.
4. 적과 전을 놓는 줄 : 왼쪽에 전을 놓고 오른쪽에 적을 놓습니다. 3적, 5적 등의 구분이 있으나 규모에 따라 정성껏 준비하여 진설합니다.
5. 메, 잔, 갱을 놓는 줄 : 메(밥)는 제관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왼쪽에, 갱(국)은 오른쪽에 올리며 잔은 메와 갱사이에 놓습니다. 따라서 산 사람이 상을 받을때와는 반대의 모습이 됩니다. 시저(수저와 대접)는 단위제의 경우는 메의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는 중간에 올립니다. 면류는 건데기만을 건져 왼쪽에 올리고 편(떡)은 오른쪽 끝에 올린다. 청(꿀, 조청, 설탕 등)을 올리고자 할때에는 편의 왼쪽에 놓습니다. 설날의 차례상에는 메대신 떡국을, 추석의 차례상에는 메대신 송편을 올리기도 합니다.
6. 축문, 향로, 향합등을 올려 놓을 자그마한 향상을 젯상앞의 정 중앙에 놓고 그 밑에 모사그릇, 퇴주그릇, 제주 등을 놓습니다. 촛대를 젯상의 좌우로 보기좋게 올리고나면 젯상의 진설은 일단락 되는 것입니다.
젯상을 진설하는 방법은 지역과 가문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여기서는 가장 보편적이며 기본적인 방법을 소개 하고자 합니다. 어느 고장이든 가문이든간에 기본적으로 지켜지는 예범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좌포우혜 : 젯상을 바라보고 왼쪽에는 포를 놓고, 오른쪽에는 식혜를 놓습니다. 2. 어동육 : 생선은 동쪽에 놓고 육류는 서쪽. (동쪽은 젯상을 바라보고 오른쪽이며, 서쪽은 왼쪽) 3. 두동미서 : 생선의 머리가 동쪽을 향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도록 놓습니다. 4. 홍동백서 : 붉은색은 동쪽으로 흰색은 서쩍으로 진설합니다. 5. 건좌습우 : 마른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진설합니다. 6. 조율시이 : 대추, 밤, 감, 배의 순서로 과일을 진설합니다. 조율이시도 통용됩니다.
제사방법
영신 :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강신 : 제주가 무릎을 꿇고 향을 피운 후 잔을 받아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그릇에 세 번에 걸쳐 붓는다. 그리고 나서 두 번 절한다. 참신 :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써 참사자가 일제히 두 번 절한다. 참신 뒤에 제찬을 올린다. 초헌 : 제주가 첫 번째 올리는 잔으로 먼저 고위 앞에 올리고 다음에 비위 앞에 올린다. 독축 : 초헌이 끝나면 참사자 모두가 꿇어 앉으면 축관이 축문을 읽는다. 축문이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아헌 : 두 번째 올리는 술잔으로 원래는 주부가 올린다. 또는 제주 다음 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종헌 : 세 번째 올리는 술잔으로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린다. 첨작 : 종헌이 끝나고 조금 후,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삽시정저 :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메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메 중앙에 꽂는다. 합문 : 참사자가 모두 밖으로 나간다. 단칸방에서는 그 자리에 엎드려 잠깐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계문 : 밖에 나갔던 참사자들이 축관을 따라 들어온다. 헌다 : 갱을 내기고 숭늉을 올린 뒤 메 세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고른다. 이때 참사자는 모두 고개를 숙인다. 철시복반 : 숭늉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고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사신 :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써 참사자가 신위 앞에 일제히 두 번 정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이로써 모든 제사의식은 끝난다. 철상 :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부터 차례로 올린다. 음복 :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한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된다. 현대의 일반 제례 절차
신위봉안 초헌 독축 아헌 종헌 삽시 헌다. 사신 철상 음복 이러한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