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이공저공님께서 언어이전에 사고가 존재한다고 말씀하시면서 강아지가 차를 피한 것과 의식속의 미묘한 흐름 자전거를 타면서 생각과 상관없는 육체작용을 예로 들으셨습니다.
한가지 확실하게 하고 넘어가야 할 것은 단어의 선택입니다.
사고란[思考] ①생각하고 궁리함. ②≪철학용어로서≫ 사유(思惟)②. 사고-하다 <타동사> 라는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즉 의식적인 정신적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지요. 위에서 예를 든 작용들은 무의식적인 작용인 것입니다. 그것을 사고라고 표현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이런 종류의 토론을 할때는, 물론 이것이 인터넷의 한계이지만, 체계적인 공부가 밑받침이 되어야 어느정도 가능해 집니다.
따라서 이공저공님께서 말씀하시고자 하는 말의 요점은 언어로 표현되기 이전에도 정신적 작용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런 작용을 사고라고 표현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위에서 든 예들은 사실 본능에 가깝습니다. 본능은 두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것 또는 무조건 반사와 조건반사가 그것입니다. 선천적인 것은 갖난아이가 배운적이 없어도 엄마 젖을 빨줄 아는 것입니다. 후천적인 조건반사는 파블로프의 개 실험과 같은 것입니다. 예를 들면 갖난 아이에게 칼을 들이대도 아이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지만, 어른들에게 눈에다 칼을 들이 대면 눈을 깜짝거릴 뿐만 아니라 놀라서 자기도 모르게 심장박동이 올라갑니다. 이런 작용들은 언어로 생각할 틈을 주지 않고 반응을 합니다. 즉 무의식의 영역인데 제7 말라식의 작용이라 할수 있습니다. 제7말라식은 8식에 저장된 기억을 자아라고 믿고 개념화하고 추상화하여 욕망을 일으키는 무의식적인 작용을 하는 의식입니다. 그렇다면 제7말라식은 개념화 추상화라는 프로세스를 일으키는데 그 추상화 개념화라는 것이 언어의 영역에 속한다는 것입니다. 동물들이 사람의 언어를 할수 없다고 해서 그들만의 언어가 없다고 하는 것은 그 해석이 잘못된 것입니다. 동물들은 동물들의 언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생각이라는 것 사고한다는 작용은 바로 의식적인 작용이며 언어(개념화 추상화)를 수단으로 삼는다는 것은 명백해집니다. 그렇다면 의식할수 없는 무의식적인 작용들은 생각해서는 안되는 긴급한 상황을 미리 기억에 저장시켰 두었다가 자아를 보호할 목적으로 즉시 반응하도록 만들어둔 장치라는 것입니다. 그런 정신작용은 대상을 의지해서 일어나는 것이지 혼자 스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경계가 사라지면 의식도 사라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의식도 공하다고 하는 것이지요.
첫댓글 사고가 식으로 설명된다면 의식적인 것은 식이고 무의식은 식이 아니다라는 것인데요?????????()
음.. 6식을 생각이라고 하고 7식은 무의식이라고 하여 생각이 아니다라고 하는 것은 좀 납득이 안되는군요. 7식까지도 사고작용(생각)으로 봐야 할 것입니다. 한 생각 이전이라고 할 때엔 7식을 말하는 것이 아닌 8식이상을 말하는 것이니까요. 그리고 개념화+추상화가 곧 언어라고 해선 안됩니다. 언어란 것의 폭을
얼마나 크게 잡는가에 따라서 달라지는 이야기겠지만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언어란 것에는 말과 문자이지 이미지까지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음악이나 그림이 언어라고 할 순 없다는 것이지요. 언어라고 하려면 논리적 체계성을 갖출 때에 언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언어란 것은 생각(사고작용)의 일부 혹은 그림자인 것이지 언어가 곧 사고작용(생각) 그 자체라고 본다면 이상할 것 같군요. 7식의 기능적인 내용들에 대해선 동감합니다.
자꾸 혼동을 하시는데, 사고란 의식을 전제로 한 활동을 의미합니다.7식을 물론 생각식이라고 번역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7식은 무의식이 아니게 되므로 저는 차라리 욕망식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욕망은 생각보다 우선하니까요.밥을 안먹으면 배가고픈 것은 생각하지 않아도 떠오르니까요.
각 식들의 이름들에 대해선 제가 잘 알지 못하겠으나... 어쨌든 언어 이전이 곧 생각 이전이란 것에는 절대 동의 못합니다 ^^ ()
음.. 그리고 7식이 곧 욕망식이라 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왜냐면 자아의 존재하고자 함은 8식에서 비롯되었으니까요. 7식은 그 자체엔 어떤 특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 8식과 6식의 매개식이라고 봐야 할 듯 합니다만..
따라서 생각이전이란, 생각을 일으키는 에너지를 말하는 것이고 그것을 마음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당합니다.따라서 마음이 없으면 생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마음이 물이라면 생각은 물거품 같은 것이니까요.아무튼 생각과 언어에 의지해서 수행하지만 그것을 넘어선 마음자리에 도달해야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겠죠.()
저는 동의를 구하는 것이 아닙니다.다만 제가 얼마나 모르고 있는지를 느낄따름입니다.()
미소님과 저의 견해 차이는 이런 것 같군요. 음.. 구체화된 생각만 생각이라 할 것이냐 아니면 두리뭉실하게 생하고 각하면 생각이라 할 것이냐란 문제와 그에 따른 언어란 것에 테두리. ^^ 그것이 아니면 대체적으로 일치 하는 듯 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