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殿-堂-閤-閣-齊-軒-樓-亭(건물의 위상)탐색
碧草/朴魯鶴
우리 선조들이 지은 건물중에는 그 품격에 따라 붙이는 이름도
달랐던 것입니다. 마치 품계나 직급이 있는 것처럼말입니다.
건물은 크기나 품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위상이 정해져 이름을 붙였던 것입니다.
(殿-堂-閤-閣-齊-軒-樓-亭)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건물에도 격이 있어서 전-당-합-각-제-헌-루-정 (殿-堂-閤-閣-
齊-軒-樓-亭)로 구분합니다.
① 전(殿) : 건물 가운데 가장 격이 높은 건물로 왕, 왕비,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
가 지내요. 주로 공적인 활동 공간.
* 궁(宮) ① 궁전(宮殿) ②대군(大君)ㆍ왕자군(王子君)ㆍ공주ㆍ옹주(翁主) 등 왕족
이 거처하던 곳. 궁가(宮家). 궁방(宮房)
(왕비 내외가 자던 방 강녕전이던가요?)
② 당(堂) : 전(殿)에 비해 격이 한단계 낮은 건물. 일상적인 활동 공간 의미
여러 사람이 집회하는 일정한 건물의 뜻을 나타내는 말, 당집, 대청 또는 집, 서당(書堂)
(취선당이란 말 들어보셨나요?)
③ 합(閤), 각(閣) : 전(殿)이나 당(堂)의 부속건물이거나 혹은 독립 건물을 의미.
-각(閣) (일부 명사 뒤에 붙어)'크고 높다랗게 지은 집' '높은 집'의 뜻을 나타냄
(보신각 종소리 들어보셨나요?)
④ 제(齊), 헌(軒) : 왕실 가족이나 궁궐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주로 쓰는 기거, 활동 공간
-재(齋) : 조선 시대 때 성균관ㆍ사학(四學)ㆍ향교ㆍ서원 등에 딸린 기숙사
명륜당(明倫堂:강당) 앞에 좌우 2채를 짓고 왼편 동쪽에 있는 것을
동재(東齋), 오른편 서쪽에 있는 것을 서재(西齋)라 하였음, 특히 성균관의 경우에는
상재(上齋)와 하재(下齋)의 구별dl 있어서 상재에는 생원ㆍ진사들이 거처하였고,
하재에는 중외(中外)에서 뽑혀온 유학(幼學)들이 거처했음.
(영명재, 오죽헌 동헌 이런 말 들어보셨지요?)
⑤ 루(樓) : 바닥이 지면에서 사람 한길 높이 정도의 마루로 되어있는 집.
이층건물일 때 일층은 각, 이층은 루라고 부름. 보신각은 보신루가
더 정확한 표현일 듯 싶네요.
⑥ 정(亭) : 흔히 정자라고 하는데, 연못, 개울, 산 속의 경관이 좋은 곳에 휴식
이나 유희 공간으로 사용되는 작은 집
(정은 아주 많지요? 교구정, 병천정, 주암정 ....)
[전(展)과 당(堂)의 비교]
* 전(展)은 건물 가운데 가장 격이 높은 건물로 왕과 왕비의 사적, 공적인 공간의
건물을 말하고,
당(堂)은 전에 비하여 규모는 떨어지지 않으나 전에 비해 사적인 공간이나 관리의
업무공간으로 쓰였으며,
왕과 왕비는 당을 사용할 수 있으나, 세자 혹은 영의정이라 할지라도 전의 주인은
될 수 없는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 귀에 익숙한 '전하' 또는 '각하'라는 말도 xx전 혹은 xx각에서 사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재(齋)와 헌(軒)의 비교]
재(齋)와 헌(軒)은 왕실 가족이나 궁궐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기거 및 활동
장소로 사용되었고
두 건물의 차로 대청마루를 두고 공적인 업무에 주로 쓰였으면
헌(軒), 생활 공간으로 혹은 독서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면 재(齋)로
나누어 불렀습니다.
[누(樓)와 정(停)의 비교]
* 누(樓)는 바닥이 지면에서 사람의 키 높이 정도에 마루가 있는 집으로 누마루방
형태이거나 큰 정자의 형태.
정(停)은 흔히 정자라고 하는데, 연못, 개울, 산 속의 경관이 좋은 곳에 휴식이
나 유희 공간으로 사용되는 작은 집을 말합니다.
* 정원이나 자연 속에서 사람들이 잠시 머물러 쉬면서 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조성된 건축물로는 정(亭),루(樓), 대(臺), 당(堂), 사(謝), 헌(軒), 제(齊) 등이 있는데
이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정자와 누대이다.
정자의 평면적 형태는 매우 다양 하나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쉬운 사각형이
가장 일반적이고 주로 원림내의 지당이나 계류(溪流), 주변과 강변, 산기슭, 바닷가
등의 경승지에 위치하고 있다.
정원건축물로서의 정자는 지당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지당과 관련된
정자의 위치는 지당과 인접한 곳에 배치하는 경우와 지당의 경계부에 배치하는
경우, 중도 내에 배치하는 경우로 대별할 수 있으나 지당의 경계부에 입지시키는 것
이 보통이다.
정자나 누각은 사람이 쉬는 공간인 동시에 정원공간속의 경물적 경관을 구성하는
기능을 하였다.
정자는 초정, 와정, 너와를 이은 너와정, 죽정등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다양하게 건립되었다.
정자에는 방이 있는 것과 없는 것. 1층과 2층, 다양한 지붕형태의 건물들이 있고,
건축의장에 있어서도 겨자난간, 완자, 당초문, 아자등 공예적기법을 동원한 난간과
문살 등이 만들어졌다.
- 언어(문자 포함)는 역사성과 사회성이 있어 늘상 변화 합니다. 예를 들어 집 당(堂)
은 살림공간이 아니라 학자들이 모여서 학문을 연구하는 곳이라 말씀하셨지만 강당
(講堂)은 그런 의미를 갖지만 (書堂)은 글방이고 식당(食堂)은 음식을 만들거나 먹는
곳이고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를모셔 놓은 곳이고 교회당,불당 등은 종교적 집회/
행사장 입니다.
보충설명을 드리자면
첫째, 의식을 위한 공간으로 : 궁,전,당,청,단,묘,사라 하였으며
둘째, 거주를 “ ” : 각, 헌, 재, 사, 실, 방이라 하고
셋째, 수납을 “ ” : 고, 간이라 했고
넷째, 여흥을 “ ” : 루,정,대,관이라 표하고
다섯째, 출입을 “ ” : 문,루문이라는 칭호를 썻다.
□ 루각(樓閣)의 명칭별 기능
1. 대(臺) : 대는 터를 높이 쌓고 바닥을 골라 아래쪽을 바라 볼 수 있게 한 공간을
말한다. 건물이 반듯이 자리 잡고 있는 곳과 없는 경우 두 가지로 형태로 나뉘어
구분하고 있다.
가. 건물이 없는 곳 : 부산 태종대는 경관과 더불어 적의 침입을 살필 수 있는 방위적
관찰대 역할을 겸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경남거창 수승대(搜勝臺:명승53호)
는 경관이 뛰어난 곳으로 반듯한 바위로 터가 형성되어 퇴계 이황선생의 시를 비롯
하여 당대 시인 묵객들의 시가 바위 곳곳에 새겨져 지난날의 화려함을 말해주고 있
다.
나. 건물이 있는 곳 : 높은데서 아래쪽을 살필 수 있는 형태의 방위적 초소형이 대부
분이며 적들의 침입여부를 관찰하고 빼어난 경관을 즐길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
어 해안가 산악지대는 물론, 주변보다 높은 지대에 터를 다듬고 그 위에 건축물을 올
려 지었다.
-을밀대(乙密臺) : 평양 금수산모란봉 동쪽 깎아지른 청류벽 위에 위치하고 있다.
6세기 고구려 중엽에 세워진 후 조선 숙종때 중건 하였다.을밀대 북쪽 청류벽이 끝나
는 곳에는 부벽류가 있다.
-의상대(義相臺) : 양양 낙산사의 홍련암과 더불어 관동팔경 가운데 하나로 동해 일·
출경으로 유명하다. 주변의 노송과 동해안의 아름다운 해안절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강릉 경포대(鏡浦臺), 경주 이견대(利見臺) 등을 들 수 있다.
2. 당(堂) : 터를 높이 돋우어 지은 집을 말한다. 옛날에는 양옆과 뒤는 막히고 앞이
툭 트게 개방되어 있는 집을 가리키는데 바로 위세당당 하다는 표현이 바로 자신감
있고 높이선 모양을 뜻하는 말로 여기에서 나온 표현이다..
- 안동 하회마을 충효당(忠孝堂): 서애 유성룡 선생의 고택이자 종가로서 후대 자손
들의 긍지와 광영을 한껏 느끼게 하고 있다.
- 전라도 해남 녹우당(綠雨堂) : 고산 윤선도와 공채 윤두서를 모시고 있는 문화재다.
- 담양 소재원의 재월당(齋月堂) : 터를 높이 돋우고 양 옆이 산허리로 막혀 있고 앞
이 툭 트여 있어 명실 공히 당(堂)이라 아니 할 수 없다.
- 경남 함양 무기연당 : 마당 한가운데에 작은 연못이 있는데 천원지방(天圓 地方:하
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이라 표기하고 있다.
3. 재(齋) : 재는 당보다 폐쇄된 조용하고 은밀한 구조의 집이다. 목욕재계란 말뜻에
서 비추듯이 정신을 가다듬고 수신하는 공간이다. 그래서 바라보이는 곳이 막히고
남의 눈에 잘 뛰지 않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 경남 산청의 산천재 : 남명조식 선생의 학문과 일화가 담겨있다. 예전에는 사방이
막혀있었으나 지금은 관광객을 위하여 주변을 넓게 하였고, 마당에는 유명한 산청삼
매의 하나인 남영매가 자리하고 있다.
- 강진 사의재(四宜齋) : 다산 정약용선생이 강진으로 유배를 가다 머물던 주막집이
다. 이곳에서 4년간을 머물며 경세유표를 집필하였다 한다.
4. 루(樓) : 기둥 위에 높이 지은 폭이 좁으면서 가로로 긴 다락집이다. 창문을 달아
사방을 막기도 하지만 사방이 툭 터져 시원스레 바깥 풍경이 바라다 볼 수 있는 건
물이다. 애초에는 대위에 있는 건물을 사(榭), 관(觀) 이라 불리다가, 나중에 누(樓)라
고 불렀다. 예를들어 성루(城樓) , 각루(角樓), 종루(鐘樓),고루(鼓樓)등을 말한다. 성
루는 대위에 지은 건물로 노천의 전망대 성격이며 그곳에서 풍우한설(風雨寒雪)을
피할 목적과 멀리 바라 볼 수 있는 높은 곳에 위치한 건물이다. 각루는 병사가 시야
가 확 트인 곳에서 멀리까지 경계를 하는 곳을 말한다. 종루와 고루역시 종소리나 북
소리가 멀리까지 울려 퍼질 수 있는 위치에 있다.
- 경상도 대산루(對山樓):조선시대 유림예학의 거두이자 서애의 제자였던 우복 정경
세 선생의 고택
- 삼척 죽서루(竹書樓): 강을 낀 단애의 위에 세워진 제법 큰 규모의 건물이다.
- 영동 가학루, 합천 함벽루, 함안 악양루, 진안 수선루 등을 들 수 있다.
5. 각(閣) : 사방에 비탈진 지붕이 있고, 창문을 낸 건물을 일러 각이라고 한다. 옛 사
람들이 말하기를 각은 민가보다는 궁궐이나 사찰에서 활용한 건축양식이라고 하는
편이 많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정자와 비슷한 개념으로 쓰이고 있다. 각하(閣下)라
는 말을 대통령에게 사용했듯이 각(閣)은 궁궐이나 고관대작이 이용하는 건물이다.
- 담양 소쇄원 광풍각(光風閣) : 워낙 유명한 곳으로 사철 관광객이 줄을 잇는다.
- 목포 유달산 유선각(儒仙閣) : 목포개항 후 세운 건물로 태풍으로 무너져 옛 모습
그대로 중건한 콘크리트 건축이다. 한말 정만조 선생을 비롯한 유생들이 이곳에서
시회(詩會)를 열고 시를 읊었던 곳이라 하여 유선각(儒仙閣)이라 하였다한다. 현판
은 해공 신익희(申翼熙)선생의 친필이다.(궁궐이나 사찰도 아닌 산 능선에 앞이 툭
트윈 강릉 경포대나 을밀대와 비슷한 위치로 대(臺)나 정(亭)에 가까운 건축이나
각(閣)이라 표현하고 있다)
- 호남가단의 면앙정(俛仰亭) : 조선시대 가단의 수장 면앙정 송순과 정철 등 걸직한 학자들이 학문
을 닦았던 곳이라 한다.
- 경남 거창 용암정(龍岩亭) : 그야말로 산 좋고 물 좋은 곳의 모습니다.
- 경북 청량 고산정(孤山亭) : 강과 절벽 그리고 정자의 멋이 흐르는 곳이다.
- 전북 정읍 피향정(披香亭) : 신라시대 때 최치원이 처음 지었다는 곳으로 그 규모가 너무 크다.
6. 정(亭) : 정은 자연속에서 사람들이 잠시 머물러 쉬면서 경관을 감상 할 수 있도록
조성된 건축물이다. 멈춘다는 뜻 정(停)字가 사람이 정자에서 쉬는 모양인 것을 생
각하면 된다. 노인이 허리가 굽지 않고 꼿꼿한 모양을 정정(亭亭)하다고 한다. ‘정자
(亭子)라는 용어는 근대 이후 외국어를 번역하면서 습관적으로 의미 없는 자(子)를
붙여 넣은 것이다. 자(子)는 별 뜻 없이 잘못 붙여 진 것이다. 정자는 초정, 와정, 너
와를 이은 너와정, 죽정 등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하여 다양하게 건립되었다.
7. 헌(軒) : 높고 활짝 트인 장소에 지어 경치를 바라 볼 수 있도록 한 곳이다. 원래 높은 지위의 관리
가 타던 수례를 뜻하는데, 마치 수레에 타고 밖을 내다보듯이 지은 곳이라 하는 뜻이 담겨있다.
- 담양 명옥헌(鳴玉軒) : 여름에 가면 150년 넘은 베롱나무 꽃 사이에 쌓인 건물을 볼 수 있다.
- 안동 소호헌(蘇湖軒) : 전형적 사대부가의 사랑채 형식 건물이다.
※ 누각(樓閣)과 정자(亭)의 차이 : 너무나 간단명료하다. 사방을 바라 볼 수 있도록
벽을 없앤 1층짜리 건물이 정자이고 2층짜리 건물이 누각이다.
이해되세요? (잘 기억하세요)
단, 건물의 높이가 지면에서 통풍을 하기위해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데 보통 사람의
키보다 높으면 2층으로 보고 그렇지 않으면 1층으로 본다. 또한 규모면에서 보통 정
(亭)보다 루(樓)의 규모가 크다. 루(樓)의 1층을 각(閣)이라 하였는데 이는 궁중이나
사찰에서 연회에 필용한 음식과 곡간으로 많이 활용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보편
적으로 정(亭)보다 루(樓)의 규모가 크다는 것은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
다. 정자가 혼자 관찰용 건물이라면 누각은 함께 관찰하는 건물임을 알 수 있다. 결
국 산속 깊은 곳에 위치한 건축물은 루(樓) 보다는 정(亭)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호남가단의 면앙정(俛仰亭) : 조선시대 가단의 수장 면앙정 송순과 정철 등 걸직
한 학자들이 학문을 닦았던 곳이라 한다.
탐색 종료
|
첫댓글 자료잘보고가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