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2759953457D3A56107)
최근 몇몇 대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대학 내 마일리지 제도가 있다는 것을 들었다.
이 제도의 취지는 단순하다. 개인 및 학교에 이로움이 되는 활동들을 했을 때,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것이고, 이후에 그 마일리지를 장학금으로 전환하거나 현금을 받거나, 자신에게 이로운 것들로 사용하는 것이다. 마일리지 제도의 양상은 학교마다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중고등학교에는 상벌점제도라는 게 있다. 목적과 방식은 앞서 언급한 마일리지 제도와 유사하다. 다만 중고등학교 상황에 맞게 상벌점제도를 사용하는 것이 앞서 언급한 마일리지 제도와 다른 것이다. 최근에 많은 학교들이 학생의 인권침해 등을 이유로 상벌점제도를 없애고 다른 대안들을 모색하는 분위기이지만, 여전히 일부 학교들은 상벌점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사실 본인은 주로 중고등학생들을 청소년활동 현장에서 만나왔기 때문에 상벌점제도의 폐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지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듣게된 대학생들의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이야기는 처음이었고, 다소 충격적이었다. 본인은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마일리지 제도와 주체적, 자발적 참여의 관계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다.
첫째, 마일리지 제도는 자칫 대학생 주도적이고 주체적인 참여를 방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선한 마음과 의지, 도덕성에 의지하여 마땅히 해야할 일들이 있는데, 어떠한 유인책(마일리지 제도)이 없이는 참여를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실제 본인이 만나본 한 대학생과의 이야기에서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었다.
"많은 대학생들이 자신에게 이로운 활동들(예: 마일리지 점수가 있는 활동, 다양한 인맥을 쌓을 수 있는 활동 등)을 하는 동아리로만 많이 몰리게 되요. 올바른 가치와 목적이 있는 활동일지라도 그 안에 어떤 유인책이나 동기부여 장치가 없으면 그 동아리에는 사람들이 잘 모이질 않아요"
자원봉사활동이라든지, 내가 소속된 조직을 유익하게 하는 참여 활동, 타인을 이롭게 하는 활동 등은 당연하고 마땅히 해야할 일들이지만, 만연된 마일리지 제도 및 그 매커니즘에 적응된 대학생들은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활동과 공동체를 위한 활동에도 잘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 마일리지 제도가 천한 물질만능주의를 더욱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어떤 대학의 마일리지 제도에서는 마일리지를 실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었고, 쌓인 마일리지 제도로 기숙사 벌점 등을 감할 수도 있었다. 이 같은 기제에는 물질중심의 사고인 물질만능주의가 자리잡고 있는 것 같다. 나의 생각으로는 쌓여진 마일리지 제도를 갖고, 학교 내 다른 기관 및 좋은 일에 기부를 한다든지, 사회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할 수 있다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해봤다.
셋째, 마일리지 제도가 공동체 주의와 연대 등을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마일리지를 쌓아가는 것은 주로 개인의 업적과 관련이 있으며, 자신에게 주어진(정해진) 일과 활동만 하면 마일리지를 쌓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것들은 결국 함께 연대하고 힘을 합하여 올바른 가치와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활동들을 어렵게 만들고, 공동체주의와 연대정신을 조금씩 파괴할 수 있다. 연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생각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
최근에 오마이 뉴스에 실린 대학생 장학금과 관련된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원문주소: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38860
(기사주제: 얼마나 가난한지 써봐, 그럼 장학금 줄게)(오마이뉴스, 2016년 8월29일자)
이 기사를 보면서 마음이 참 아팠다. 그러면서 생각했던 것은 그렇기 때문에 다시금 대학생들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회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체적으로 자신들에게 문제가 있는 구조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함께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눈 앞의 마일리지 제도도 중요하겠지만, 함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체적 참여, 공동체 조직, 연대 등은 이후 대학생들의 삶에 더 중요한 요소들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는 한 개인을 자치하게 만들것이며, 그것은 궁극적으로 시민성 향상(민주시민으로의 양성)으로 이어진다. 또한 이 같이 민주시민들이 모일 때, 올바른 민주사회가 되어갈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