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도 민요
해 설 - 충청도에 전승되어 온 민요. 논일 ·밭일 등 작업을 할 때 부르는 노동요가 중심을 이루는 토속민요와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한 창민요(唱民謠)의 2가지로 나뉜다.
충청도는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경기도에 둘러싸여 있는 만큼 민요의 경우에도 이 주변 지역의 음악 문화와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서남쪽에는 전라도와 같이 상사 소리(농부가)가 불리고 있고, 동북쪽에는 강원도와 같이 아라성(아라리)이 불리고 있다. 서남 지역은 전라도와 가까운 만큼 육자배기토리로 된 민요가 많은데, 느린 민요는 구슬프고 빠른 민요는 흥겹고 구성진 느낌을 준다. 동북부 지역은 강원도와 경상도에 가까운 만큼 메나리토리가 많은데, 느린 민요는 처량하고 빠른 민요는 씩씩한 느낌을 준다.
충청도 민요 가운데 널리 알려진 민요에는 통속 민요로 <천안 삼거리>가 있고, 전통 민요로는 민속 경연 대회에 나온 뒤로 세상에 알려지게 된 부여지방의 <산유화가>와 충주 지방의 <탄금대 방아타령>이 있다. <산유화가>는 부여 지방의 농사짓기 소리를 엮은 것이고, <탄금대 방아타령>은 중원 지방의 농사 짓기 소리를 엮은 것인데, 부여 지방이 서남부에 있으니 이 지방의 농사짓기 소리는 육자배기토리가 많고 중원 지방은 동부에 있으니 메나리토리가 많다.
천안삼거리
'흥타령'이라고도 하는 <천안 삼거리>는 충청도 민요로 알려졌으나 소리조로 봐서는 경기 소리조에 더 가깝다.'천안 삼거리'라 함은 첫마루의 첫마디가"천안 삼거리 흥…"이라는 말로 시작하기 때문이며,'흥타령'이라 함은 말의 끝에마다'흥'이라는 소리가 딸리기 때문이다.
전라도에도 <흥타령>이 있는데,'흥'이라는 말이 붙는 소리말은 비슷하나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어 곡조는 전혀 다르다. 조선 왕조 말기에 평양 감사이던 조 성하가 모진 정치를 하므로 백성들이 그를 원망하여'성화(성하)로구나'라는 소리말을 붙였다는 말이 있으나, 이는'성화로구나','성화가 났네','웬 성환가'하는 말이 다른 민요에서도 흔히 보이는 점으로 미루어 누군가가 꾸며낸 말인 듯하다.
첫댓글 고맙습니다 충청도 민요,,,,,,,,,담아감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