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史 金正喜 선생이 쓴 무량수각(无量壽閣)이란 편액은 오늘날까지 두 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나는 추사 55세 때(헌종 6년) 제주도 유배시 대흥사에 들러 초의 스님에게 써준 것으로 선방 건물인 백설당(白雪堂)에 걸려 있다. 장쾌한 필력을 과시한 비후미(肥厚美)를 느끼게 하는 예서이다.
또 다른 하나는 추사 선생의 고향 예산 화암사(華巖寺)에 걸려 있는 편액으로 추사 선생이 제주도 귀양시절인 1846년은 그의 회갑이 되는 해 고향 예산에서 화암사의 중창이 이루어져 9월에 완성되었다. 화암사는 예부터 추사 집안의 원찰(願刹)로, 이를 기념하여 화암사에 써서 보낸 글씨로 추사가 글씨의 이상향으로 여기는 전한(前漢)시대 경명(鏡銘)의 글자를 기본으로 한 예서의 골격에 전서·해서의 풍을 가미한 새로운 조형미가 물씬 풍기는 글씨이다.
사람들은 이 두 글씨를 비교하며 이렇게 달라진 까닭을 대흥사 편액은 젊은시절 좋은 가문과 승승장구하던 학예에 대한 사계의 인정으로 세상 무서울 것 없었던 오만함이 묻어있고 화암사의 편액서는 안동 김문과의 세도다툼에서 밀려나 유배의 고통을 겪으면서 안으로 자기 완성의 표출이 이런 세련미를 갖춘것이라 말하곤 한다
전국 고가(古家)나 사찰(寺刹)에 이와 똑 같은 편액이 많이 걸려 있다. 지난번 다녀 온 부산의 범어사 원효암에서도 보였고 보은의 선병국 고가에서 대흥사 현판을 모각한 같은 편액을 분실했다는 소식도 접했다.
모두 추사의 글씨를 흠모한 사람들이 모각하여 걸어 논 것으로 보는데 여기 운현궁 노안당 사랑방에도 커다란 무량수각의 편액이 걸려있음이 보였다. 스승 추사의 글씨를 좋아한 대원군이 모각한 편액인지는 고증할 수 없으나 대흥사 무량수각 편액을 모각한 글씨인데 오히려 더 세련된 맛을 풍긴다. 궁중의 편액답게 깔끔하고 한 점 티없는 저 글씨... 金正喜, 阮堂이란 관서(款署)가 선명하다.
첫댓글 귀한작품보면서 무림선생님께 감사하는마음보냅니다...
가사합니다. 가을의 무턱에 와 있는것 같습니다. 건강하시기를...
귀한 작품과 좋은 글 ....감사합니다....교정에는 가을향기 묻어나는 소리와 향기의 향연이 벌어지고 있겠지요? 새로 단장한 교사에서 평온하시길 빕니다.
오늘 개학을 합니다. 그간 어수선한 주변을 정리하느라 힘은 들었지만 학교의 주인공들을 맞을 기쁨에 차있습니다. 無量壽閣이란 편액이 상당히 많이 복각되어 산재해 있더군요...풍성한 가을 되시기를..
저도 늘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서각인들도 한 번쯤은 각으로 옮겨보기도 하죠! 소개 감사드립니다. 건안하시길....*^^*
동하님께서도 그 글씨 각을 해보셨겠죠? 짜투리 시간에 운현궁을 들러 노안당을 들여다 보다 발견하여 담아 보았습니다. 건강하십시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