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대 시인의 시 <이부자리>를 감상하고
박영대 시인은 등단 10년차 중견시인이다. 시인은 청춘을 오직 농업. 농촌을 위해 일하다가 지난해 초 농협 신용산지점장을 끝으로 정년을 맞았다. 만 40년 만에 정든 자연으로 돌아온 박시인은 지금 단양 팔경 하선암 계곡 아래 아리산방이라는 아주 조그만 글방을 지어 제 3의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
시인은 금년 4월에 발간한 서울농협 동인소식지(31호)에 기고한 글에서 어린 시절부터 문학을 하고 싶었고 그래서 서울로 올라 왔다고 회고하였다. 80년대 초 충무로에 있는 설파라는 카페에서 매달 한 번씩 ‘토요일 오후와 시’라는 표제로 시 낭송모임이 있었고 그 회원이 되어 시 공부를 했다고 한다. 가끔 원로 시인 서정주도 그곳에서 만났다고 기억했다.
시인은 월간 문예사조 금년1월호에 이달의 시인으로 선정되어 <허락>외 4편의 시가 수록되는 등 시작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고, 지난해에는 세계 시인대회조직위원회이사로도 활동하였다. 그런 그가 지난 4월 아들 혼사를 치르고 이제 좀은 홀가분한 기분으로 마음의 시 한 편을 지어 혼사의 답례로 지인들에게 보냈다. 제목이 <이부자리>라는 시다.
내가 아는 박영대 시인은 천생(天生)이 시인이다. 나와는 40년 지기인 그는 아직 남에게 큰소리 내는 모습을 본 일이 없다. 하다못해 남들 다하는 술주정 한 번 부리는 법이 없으니 무골호인이다. 반가운 마음에 그의 시를 읽으니 느낀 감흥이 오래남아 여기 감상문을 올린다. 우선 그가 보낸 시 <이부자리>를 소리 내어 읽어보자.
이부자리 (박영대)
개어 있을 때는 아버지 /깔면 어머니 /자식들 맨살에 온기를 깁는다
/한 땀에 울고 /한 땀으로 꽃피워 /짝 맺게 하고 /또 한 땀으로 새집 떠나보내는 손매듭
/손 아니면 /맨손 아니면 /덧나는 민감한 흔적 /태운 재로 소독하고 있다
/발하지 않은 달항아리 /눈부심 걷어가는 도공의 또 한 땀 /재 속에서 찾아낸 달빛 /밤을 모아 젖내 적시고 있다
/뒤트는 잠결 /걷어차는 꿈 /찬 모서리 고이 감싸 다시 덮는다 /
옷 벗는 가벼움으로 /오늘도 너를 깔고 덮는다
시인은 혼사 다음날 아들을 분가시키고 아내와 둘이서 아들의 빈 방을 둘러보았을 것이다. 그 방에 주인을 잃고 홀로 깔려있는 이부자리를 만지면서 문득 돌아가신 부모님 생각이 간절하다. 살아계셔서 당신의 손주 장가가는 그 흰 손을 잡아 보셨으면 얼마나 대견해 하셨을까. 자식들 맨살에 온기를 깁는 아버님의 그 모습이 시인이 되어 돌아온다.
돌아온 자신의 모습에서 이제 떠나버린 아들의 얼굴이 웃는다. 이부자리 만들 때 한 땀 한 땀 바느질하듯이 갖은 정성 다하여 키운 아이가 아니던가. ‘재 속에서 찾아낸 달빛’이라 했으니 얼마나 귀한 자식이던가. 때로는 친구 같고 또 때로는 든든한 세상 같은 아이가 아닌가. 하긴 이제 와서 생각하니 남들처럼 귀히 키우지 못함이 마음에 걸린다. 그래서 아이의 젖내가 그가 떠난 이 방을 맴돌고 있다. 시인의 가슴에 남아있다.
자기 방으로 돌아온 시인은 이부자리에 눕는다. 그러나 잠이 쉬이 들 리가 없다. 이리저리 뒤척인다. 시인은 살아온 길과 앞으로의 길을 생각한다. 시인도 아들도 크면 제 짝을 찾아 부모를 떠나는 진리를 왜 모르겠는가. 그래서 ‘옷 벗는 가벼움으로’ 너를 ‘깔고 덮는다.’고 했으니 부디 잘 살아 달라는 메시지다.
그래요. 세상에 내 인생 누구라 대신 살아 주리. 나 이외에 나인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아내라도 그렇고 자식이라도 그렇다. 인생은 홀로 살아가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그럼 친구는 뭐고 가족은 뭐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하루의 일과를 생각하고 우리의 임종을 생각해 보시라. 그렇게 호락호락한 문제는 아니다. 우리 모두 마음을 단단히 먹고 살아 가야한다.
박 시인은 농협에 은퇴하기 전에 단양에 글방을 손수 지었다. 그는 2009년 9월 9일 이 글방을 꾸미고 나서 ‘부디 이 산방이 도회에서 찌들고 억매이기만 했던 지금의 나를 더욱 열린 자연인으로 화동순리(和同順理)하는 단초가 되기를 바래본다.’고 그의 소박한 심정을 피력하였다. 그는 구비(굽이)를 이루면서 흐르는 계곡의 유려함이 화동순리라 말한다.
시인은 이 글방을 아리산방이라고 명명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나의 집 이름을 아리산방이라고 지었다. 아리는 아리랑에서 가져왔다. 아리랑은 우리민족 정서의 정수다. 우리민족 문화의 모두가 아리랑으로 요약할 수 있다. 너무 큰 이름이어서 조금 민망하기도하다. 그러나 내가 앞으로 끝까지 추구해야할 화두가 아리랑인 것을......,’이라고 그의 홈피에 적고 있다.
그렇지요. 아리랑이야 말로 삼천리금수강산 뼛속까지 물들어 있는 우리 민족의 혼이 아니겠는가. 또한 ‘아리’는 우리 농협의 마스코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마도 시인은 그런 ‘아리’를 평생토록 간직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의 닉네임도 아리박이다.
시인의 농협사랑은 퇴직하고도 이어지고 있다. 그는 친지들이 찾아오면 먼저 관내 지부장에게 연락하여 음식점 추천을 받아 안내한다. 음식점에 가서는 꼭 농협지부장이 여기가 단양에서 최고라고 하더라. 그래서 왔노라 하고 농협을 팔며, 여가 여가로 옛날 고객에게 안부를 전하면서 농협을 계속 애용해 달라고 부탁도 하고 초청도 한다. 그가 재임 시에 한 말대로 그는 영원한 지게꾼 농협인으로 살아가고 있다.
세월은 흘러도 농심은 떠내려가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하늘 높이 치솟을 것이다. 박시인의 시를 읽으면서 잊었던 아버님이 그리워지고 어린 시절의 아들이 보고 싶다. 아리산방의 화목과 박 시인의 좋은 시를 기다린다. 끝. 2011.6.10
첫댓글 오늘 하루 종일 <이부자리>를 다시 읽고 친구의 홈피를 뒤적였다. 그리고는 혹시나 이런 글을 올려 폐가 되지나 않을까 하여 그에게 전화를 걸었다. 허나 불통이다. 그는 지금 유럽 장기 여행중이었다. 어차피 내가 알아서 올리는 글 아무럼 어떠라. 구우회 동지들이여. 자기의 이야기를 여기 올려보자. 그것이 소통이 아닐까? 즐거운 주말 되시길...ㅎㅎㅎ
참으로 깊은 상념에 젖어 자식에 대한 애정이 구구절절이 우러나오는 시구절이구나 생각하니 시원섭섭하지만, 한편으로는 조금씩 늙어가는 세월을 잡을수 없는 한을 읊은 것이라 생각이드는구만.
거기다 회장님의 상세하고도 자상한 해설을 보니 아 인생의 희로애락이 한편에 드라마 같기도 합니다
소백거사, 거사도 잠이 안 오나? 늦은 밤에 글을 올렸군. 늦은 밤에 이 시를 읽으니 더욱 맘이 아리아리 하더군. 좋은 시인과 함께하는 우리들. 구우회. 많이들 부러워하겠지. 그럼 잘지내시게...모두다...
웅석봉 작가께서 대단한 수고를 하시었습니다
제가 잠깐 어디를 좀 다녀 왔는데 와서 보니 이런 멋진 글을 써 놓으셨군요
역시 소설릏 쓰신 분이라서 너무나 훌륭한 글이고 과분한 칭찬과 격려를 주셨습니다
이 글은 작가론으로 부족함이 없는 평전이라 생각합니다
아마도 저를 잘 아는 웅석봉 작가가 이런 글을 쓴데는 문학을 하는 저에게 힘을 주기 위한 배려와 격려의 우정이 밑바탕에 깔려 있을 것입니다. 같은 길을 가는 동반의 길거리에서 만난 반가움과 갈증 난 동반에게 물 한모금 권해 목미름 가시게 해 주려는 길 벗의 따뜻함일 것입니다
시를 이해하는 품이 과이 산과 같이 맑고 크며 강물과 같이 깊고 유연함에 감탄을,,
(계속)
고맙고 반갑습니다
이런 우정이 나에게 얼마나 힘이 되고 에너지 보충인지 모릅니다
때로는 아내에게도 궁색한 말을 들어 가며 가고 있는데 한 우정이 있어 만땅으로 기름 채우고 엑셀레이터를 힘 있게 밟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웅석봉 친구 고맙네.
이 글은 내가 좀 빌어다가 내 블로그에 갖다 놓고 싶네
양해를 부탁함세.
박시인. 긴 여행길 무사히 돌아왔다니 더욱 반갑네. 시인이 시 한편 내 놓을땐 그 속엔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들어 있는지는 시인 말고는 아무도 모르리. 그런 자식같은 시인의 시를 너무 가볍게 감상한게 아닌가하여 송구한데, 졸고를 과찮하니 고맙네. 문학인의 선배로서 앞으로 많은 지도를 바라네.오늘 산에 오르니 밤꽃이 허물거리고 그 향내가 진동을 하더군. 고향 생각 간절하더라. 여행 다녀온 보따리가 궁금하네. 그럼 안녕!!!